• 제목/요약/키워드: 특산

검색결과 653건 처리시간 0.023초

시원한 국물이 일품, 선지국밥

  • 전기환
    • 건강소식
    • /
    • 제29권1호통권314호
    • /
    • pp.36-37
    • /
    • 2005
  • 사실 여행을 즐겨 다니는 사람도 대도시를 목적지로 삼아 여행을 떠나는 경우는 드물다. 특히 대전, 대구 등 대륙의 대도시는 사실 순수한 여행보다는 업무 차 방문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여행은 대개 한나절 또는 당일 일정의 짧은 여정이 대부분으로 시내 관광에 나서는 일은 드문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그 고장의 특산 음식을 맛보는 일은 잠시 만사를 제쳐놓고라도 한번 도전해 볼 일이다.

  • PDF

금강산 희귀 특산식물 버들개회나무 남한에서 자생지 발견

  • 정재민
    • 산림경영
    • /
    • 통권189호
    • /
    • pp.20-21
    • /
    • 2008
  • 국립수목원(원장 박종서) 보전 복원 연구팀은 그 동안 금강산에서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버들개회나무(물푸레나무 과(科))의 자생지를 강원도 남부지방에서 발견하였다고 밝혔다. 국립수목원은 현재 버들개회나무의 생태학적 및 유전적 도태 가능성에 대비하여 현지내 외 보존을 위한 대책 마련을 추진중에 있다.

  • PDF

한국(韓國) 특산종(特産種) 수수미꾸리, Niwaella multifasciata Wakiya et Mori(Cobitidae)의 핵형분석(核型分析) (The Karyotypic Analysis of Niwaella multifasciata Wakiya et Mori(Cobitidae), An Endemic Species in Korea)

  • 남명모;양홍준;채병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6-41
    • /
    • 1991
  • 한국(韓國) 특산종(特産種)으로 낙동강(洛東江) 수계에서만 서식하는 Niwaella multifasciata(수수미꾸리)를 밀양강(密陽江)과 남강(南江)에서 채집하여 핵형(核型)을 분석(分析)한 결과 2n=50, 10m+28sm+12st, AN=88로 나타났다. 이 종은 기름종개과(科)의 다른 종들과는 달리 양완(兩腕) 양색체(梁色體)(biarm chromosome)가 단완(單腕) 염색체(染色體)(monoarm chromosome)보다 많았으며 완수(腕數)(arm number)가 많았다. 또한 핵형에 있어서 체측(體側) 반문(斑紋)의 형태(形態)와 관련한 차이(差異)나 조사된 두 집단간(集團間)의 차이(差異) 및 성적(性的) 현상(現象)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한국 특산 히어리 군락의 식생구조와 맹아지 동태 (Vegetation Structure and Sprouting Dynamics of Corylopsis coreana Community belong to Korean Endemic Plants)

  • 이정환;강호철;안현철;조현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80-287
    • /
    • 199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특산식물인 히어리 군락이 지리산 국립공원 동부지역에 대규모로 분포하고 있는 것을 처음으로 발견하여 군락지의 분포 및 맹아지 특성 그리고 군락의 보호대책을 위한 기초자료를 축적하고자 수행되었다. 각 계층별 중요치는 교목층에서 소나무(134.15) 일본잎갈나무, 산벚나무, 비목나무, 신갈나무 등이 우점하였고 아교목층에서는 히어리, 거제수나무. 비목나무, 졸참나무, 노각 나무 그리고 관목층에서는 히어리가 우점하였으며 그 외에 철쭉꽃, 진달래, 생강나무 등이 출현하였다 그리고 맹아지 특성은 1개 방형구(25m2)에 평균 17.75개의 주간이 형성되고 1개 주간당 맹아지 수는 평균 6.00개 고사지는 2.80개로 조사되었다. 흉고직경급별 분포에서 생장지의 경우 흉고직경 1.0-4.0cm 구간에서 전체의 64.78%를 차지하였으며 대부분 2.0-3.0cm 구간에서 54.74%를 차지하여 히어리 군락의 중심계급이었다 흉고직경 1.0cm 이하의 고사지가 전체의 53.16%를 차지하였는데 이는 근주에서 돋아나는 1년생 맹아지가 대부분 고사하였기 때문이었다 특히 히어리의 번식습성은 실생묘에 의한 번식도 가능하지만 본 조사지에서와 같이 수관이 울폐된 지역에서는 주로 근맹아에 의한 번식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산 부추속(Allium, Alliaceae)의 분류학적 재검토 (A taxonomic review of Korean Allium (Alliaceae))

  • 최혁재;장창기;고성철;오병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9-152
    • /
    • 2004
  • 한국산 부추속 식물을 분류학적으로 재검토하였으며, 3아속, 10절, 17종, 3변종으로 정리하였다. 이 중 한국 특산종은 돌부추(A. koreanum), 한라부추(A. taquetii), 세모부추(A. deltoide-fistulosum), 선부추(A. linearifolium), 세모산부추(A. thunbergii var. deltoides), 등 근산부추(A. thunbergii var. teretifolium) 등의 6분류군이었으며, 노랑부추(A. condensatum), 가는산부추(A. splendens), 산파(A. maximowiczii) 등은 북한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정확한 종 동정을 위해 아속, 절, 종 및 종하분류군에 대한 검색표와 각 분류군의 기재문을 제시하였다.

천관산의 식물상 (The Flora of Mt. Cheongwan)

  • 김동철;정영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53-266
    • /
    • 2011
  • 천관산의 관속식물은 89과 221속 270종 47변종 6품종의 총 323분류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특기할 식물로는 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인 히어리 1종이 분포하였고, 한국특산식물은 6과 6속 5종 1품종 총 6분류군이 생육하며, 구계학적 특정식물은 I등급 29종, II등급 2종, III등급 6종, IV등급 2종, V등급 1종으로 총 40종의 식물이 분포하였다. 귀화율은 3.72%, 도시화지수는 4.14%로 확인되어 비교적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월출산국립공원의 식물상과 그 보전 대책 (Flora and Conservation of Weolchulsan National Park)

  • 임동옥;김용식;황인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30-142
    • /
    • 2006
  • 월출산은 남부형 식물의 북한계 선상에 위치하는 국립공원으로 식물지리학적으로 중요하며, 확인된 소산식물은 106과 318속 453종 59변종 4품종으로 총 516종류이다. 산림청이 지정한희귀 및 멸종위기종은 산닥나무, 수정난풀, 께묵, 끈끈이주걱, 통발 및 이삭귀개 등 6종이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산식물 종 중 III등급에서 V종은 12종으로 확인되었다. 귀화율은 4.65%, 도시화지수는 9.06%로 확인되어 비교적 낮은 비율로나타났다.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 차나무과)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view of the Stewartia koreana Nakai ex Rehder (Theacease))

  • 권혜진;송호경;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33-250
    • /
    • 2008
  • 한국 특산종인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 Nakai ex Rehder)의 분류학적 위치를 재검토하기 위해, 노각나무와 근연 분류군의 외부형태와 ITS 염기서열을 조사하였다. 노각나무는 일본에 분포하는 S. pseudocamellia와 외부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하였으나, 노각나무는 잎이 대형이고 소화경의 길이가 2.5 cm 이상인 점에서 S. pseudocamellia와 구별되었다. ITS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노각나무는 S. pseudocamellia와 별개의 분계조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외부형태 및 ITS 염기서열 결과는 노각나무가 S. pseudocamellia와 다른 별개의 한국 특산종임을 지지해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