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트리메칠아민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분변토 Biofilter를 이용한 Trimethylamine의 제거 (Biodeodorization of Trimethylamine by Earthworm Cast Bioflter)

  • 김성건;이성택
    • 유기물자원화
    • /
    • 제4권2호
    • /
    • pp.71-75
    • /
    • 1996
  • Trimethylamine, dimethylamine, methylamine 등의 아민류를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을 TMA를 성장기질로 사용한 농화배양으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은 Methylobacterium sp. T32에 속하는 균으로 동정되었다. 이 균은 메탄올, 메틸아민류를 분해할 수 있으나, 다탄소화합물중에서는 malate, succinate, betaine과 같이 극히 제한된 종류의 유기화합물만을 분해할 수 있는 restricted facultative methylotroph였다. 이 균을 분변토에 고정하여 biofilter를 제작하였을 때 TAM gas를 SV $30h^{-1}$, 농도 120ppm를 연속적으로 분해했다.

  • PDF

탈취제품의 탈취 성능 측정 연구 (Measurement of Deodorization Efficiency of Indoor Air Cleaner)

  • 허귀석;김정우;유연미;이계호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7-258
    • /
    • 2003
  • 사회가 고도로 발달하면서 현대인의 생활공간은 대부분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보내는 시간이 하루의 80-90% 이상을 차지하므로 오히려 실외공기보다 실내환경의 공기오염이 수백 배 높은 실정이다1). 대부분의 시간을 특정공간에서 보내게 되므로 현대인의 건강과 편리함을 위해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탈취제품(공기 청정기)이 많이 상품화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암모니아(NH$_3$), 트리메틸아민(($CH_3$)$_3$N), 초산($CH_3$COOH), 황화수소(H$_2$S), 메칠멀켑탄($CH_3$SH), 황화메틸 ($CH_3$S$CH_3$), 이황화메틸($CH_3$SS$CH_3$), 아세트알데히드($CH_3$CHO), styrene(C$_{8}$H$_{8}$)등 9종의 악취물질을 대상으로 탈취제품의 객관적인 탈취 능력 평가를 위한 시험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중략)

  • PDF

충주시 악취발생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악취원인물질 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Odorous Elements from Emission Sources in Chungju)

  • 조병렬;조영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15-422
    • /
    • 2008
  • 충주시에 소재하는 주요 환경시설로부터 배출되는 악취성 물질의 배출특성을 주민 민원에 대한 설문과 정치형 시료채취기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네 군데의 조사시설 가운데 분뇨처리장이 가장 높은 악취농도를 보여주었다. 악취성물질의 주요 성분은 황화합물, 트리메칠아민, 알데히드 등이었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공정은 황화합물과 알데히드를 많이 배출하였다. 도시하수처리장은 고농도의 알데히드를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악취의 관능 수준은 기상여건에 따라 다양하였으며, 심야의 악취 강도가 주간보다 훨씬 심각하게 나타났다.

토질 특성에 따른 가축사체 매몰지의 악취 저감 연구 (The Effect of Soil Characters on Removal of Odorous Gases during Carcasses Degradation with Efficient Microorganisms)

  • 김현숙;박수정;정원화;;이상섭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77-28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구제역으로 인해 발생된 가축사체 매몰지의 조기 안정화를 위하여 유용 미생물 KEM을 사용하였고, 토질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매몰지 모형의 반응기를 통해 연구하였다. 반응기는 랩 스케일로 제작하였고, 토질 특성에 다양성을 주기 위하여 일반 토양, 20%의 사토와 섞은 일반 토양, 20%의 점토와 섞은 일반 토양을 각각 준비하였다. 각각의 토양과 유용 미생물 KEM과 섞은 후 사체를 매몰하였다. 분석 대상 악취 성분은 총 8가지로 이산화탄소, 메탄,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황화수소, 메칠메르캅탄, 황화메틸과 이황화메틸이었다. 악취 분석 결과 황화수소와 메틸메르캅탄은 사토를 적용한 반응기에서 저감 효과를 보였고(각각 배출 잔량 0.09, 0.35 mg), 암모니아와 트리메틸아민은 점토를 적용한 경우 저감 효율이 높았다(각각 배출잔량 0.31, 2.06 mg). 이에 근거하여 사토는 황 화합물 악취 저감에, 점토는 질소 화합물 악취 저감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토질의 특성에 따라 우점화된 미생물의 군집과 분포도가 변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