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퇴행성 관절질환

Search Result 9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The Validity of Computed to Mography in Diagnosis of Temporomandibular Joint Osteoarthritis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 진단에 있어 전산화 단층촬영의 유용성)

  • Jeon, Young-Mi;Choi, Jong-Hoon;Kim, Seong-Taek;Kwon, Jeong-Seung;Ahn, Hyung-Joo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3 no.2
    • /
    • pp.195-204
    • /
    • 2008
  • Osteoarthritis is caused by joint degeneration, a process that includes progressive loss of articular cartilage accompanied by attempted repair of articular cartilage, remodeling and sclerosis of subchondral bone, and osteophyte formation. The most common causative factor that either causes or contributes to osteoarthritis is overloading of the articular structures of the joint. The diagnosis of temporomandibular joint(TMJ) osteoarthritis is based on the patient's history and clinical findings such as limited mandibular opening, crepitation and tenderness to palpation on TMJ. The diagnosis is usually confirmed by TMJ radiographs, which will reveal evidence of structural changes in the subarticular bone of the condyle or fossa. Plain radiography techniques such as panoramic, transcranial, transpharyngeal views can be used in most dental offices for evaluation of the TMJs. However, plain radiographs are often limited due to overlapping and distortion of anatomical structur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linical examination and panoramic view with computed tomography for diagnosis of temporomandibular degenerative joint disease, and to compare the findings of condylar bony changes through panoramic radiography with that of computed tomography, hence, to confirm the limitations of clinical and panoramic radiography, and the validity of the computed tomography for diagnosis of temporomandibular degenerative joint disease. The pathophysiology of the TMJ osteoarthritis remains poorly understood, and current treatments are based more on speculation than science, and symptomatic treatments often fail to provide satisfactory pain relief. For diagnosis of TMJ osteoarthritis, clinical examination and radiographic examination for confirmation of the bony changes are essential, and computed tomography are clearly superior to plain radiographs for their limitations.

A Clinical Report on the Effect of CRS Usage in Degenerative Temporomanibular Joint Disease with Anterior Open Bite Applying Bone Scan (전치부 개교합을 보이는 퇴행성 관절질환에서 골스캔을 이용한 중심위교합장치의 효과 평가에 대한 임상례)

  • 박상배;김병국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3 no.3
    • /
    • pp.289-294
    • /
    • 1998
  • 본 증례는 측두하악관절의 퇘행성 변화를 보이는 환자에서 악교정 수술의 시행 전에 중심위교합장치를 통해 측두하악관절의 안정화를 유도하고, 또한 골스캔을 이용하여 장치의 치료효과를 평가한 임상증례이다. 환자는 24세의 여성으로 5년 전부터 전치부 개교합이 발생되기 시작하였고, 고형식 저작시 좌측 전이부에 간헐적인 통증이 발생한다는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임상검사상 촉진시 양측 관절낭 후방부에 압통을 호소하였으며, 각각 50, 45mm의 최대개구량 및 최대무통성 개구량을 보였다. 좌측 악관절부에서 단순 관절 잡음, 우측 악관절부에서 염발음이 청취되었으며, 저항검사 및 부하 검사에서는 특기할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약 7mm의 전치부 개교합의 소견을 보였으며, 파노라마 사진과 횡두개 방사선 사진 소견상 양측 과두의 크기 및 하악지의 높이가 다소 작은 소견이 관찰되었고 자기공명영상 소견상 양측성 비정복성 관절원판의 전방전위가 관찰되었다. 1997년 10월 27일 첫 번째 골스캔 소견상 양측성 비정복성 관절원판의 전방위가 관찰되엇다. 골스캔의 전방 사진에서 Densitometer를 이용하여 좌, 우측 과두부위와 상악 골부위의 가장 어두운 부분의 흑화도를 측정하였다. 각각 3회씩 구하여 평균을 구하고 좌, 우측 과두 대 상악골의 흑화도의 비율을 계산하였다. 첫번째 골스캔의 평균 흑화도는 우측 과두, 좌측과두, 상악골이 각각 0.88, 0.81, 1.32 였다. 1997년 11월 4일 중심위교합장치를 장착하였고 지속적인 물리치료를 시행하였다. 1997년 12월 10일 두 번째 골 스캔을 평균 흑화도는 우측 과두, 좌측 과두, 상악골이 각각 0.33, 0.37, 088 이었다. 1998년 1월 30일 세 번째 골스캔 소견상 두 번째 골스캔과 비교하여 활성도가 감소된 소견을 보였다. 임상검사시 무통이었다. 1998년 2월 25일 술 전 교정 위해 중심위교합장치의 장작을 중지시켰다. 1998년 6월 5일 네 번째 골스캔 소견상 이전 검사들과 비교시 흡수가 감소된 소견을 보였다. 네 번째 골스캔의 평균 흑화도는 우측 과두, 좌측 과두, 상악골이 각각 0.24, 0.19, 0.85 였다. 현재 지속적인 관찰 중이며 본원 교정과에서 악교정수술 위한 술 전 교장을 시행중이다. 결국 첫 번째 골스캔의 과두 대 상악골의 평균 흑화도의 비율은 우측과 좌측이 각각 0.66, 0.61이었고 두 번째 골스캔에서는 우측과 좌측이 각각 0.37, 0.42였고, 네번째 골스캔에서는 우측과 좌측이 각각 0.28, 0.23 이었다. 각 골스캔의 과두 대 상악골의 평균 흑화도의 비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Standard t-test 와 ANOVA를 시행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첫 번째, 두 번째, 네 번째 골스캔으로 갈수록 좌, 우측 과두 대 상악골의 흑화도의 비율이 유의하게 감소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증례에서는 전치부 개교합이 발생되어 악교정수술이 필요한 환자에게 측두하악관절의 안정화를 위해 중심위교합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퇴행성 관절질환의 진행을 억제시킬 수 있고, 퇴행성 관절질환의 활성도에 대한 평가시 골스캔이 유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고 사료된다.

  • PDF

최근의 직업성 질환 105 - 직업성 근골격계질환 - 관절변형 및 퇴행성관절염

  • Kim, Gyu-Sang
    • 월간산업보건
    • /
    • s.249
    • /
    • pp.19-32
    • /
    • 2009
  • 이 역학조사는 J피혁 토글 공정 근로자 중 일부에서 손가락 관절이 휘는 등 근골격계 질환 의심자가 발견되어 위 증상과 작업내용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노동부가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 역학조사를 의뢰하여 조사를 시행하였다. 본 조사의 목적은 첫째로 역학조사 의뢰내용인 근골격계 질환 의심자의 작업과의 관련성 규명이며, 둘째로 근골격계 증상 조사와 진찰을 통해 근골격계 질환의 진단과 작업환경 개선안을 도출하며, 넷째로 대상 사업장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을 구축하는데 있다.

  • PDF

Development of Model of Joint Instability of the patients with Degenerative Disease in Spine (척추 퇴행성 환자의 관절 불안정 모델 개발)

  • Choi, Dae Kyung;Kim, Yoon Hyuk;Kim, Ky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65-26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 해석 방법을 이용하여 척추 퇴행성 질환을 가진 환자의 관절 불안정 모델을 개발 및 검증하였다. 관절 불안정 모델은 정상요추 유한요소 모델의 인대 및 협부를 결손시켜 개발하였으며, 요추 유한요소 모델의 제 5 요추체를 완전히 고정시키고 추적 경로 방향의 400 N의 압축력을 가한 상태에서 10 Nm의 굴곡과 신전 모멘트를 가하였다. 굽힘 및 신전 시 관절 불안정 모델들의 회전량이 정상의 요추 모델의 회전량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다. 또한 굽힘 시 관절 불안정 모델들의 전위거리가 정상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척추 불안정성의 원인 및 기전의 이해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체정보 콘텐츠 분야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The Occurrence of Degenerative Change in the Mandibular Condyles of Korea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하악과두의 퇴행성 변화의 발생 양상에 대한 연구)

  • Jo, Jung-Hwan;Park, Min-Woo;Kim, Young-Ku;Lee, Jeong-Yu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6 no.1
    • /
    • pp.53-63
    • /
    • 2011
  • Osteoarthritis (OA), the most common form of arthritis, is a result of both mechanical and biological events that destabilize the normal coupling of degradation and synthesis of articular cartilage chondrocytes and extracelluar matrix, and subchondral bone. Although it is likely that the molecular basis of pathogenesis is similar to that of other joints, additional study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is required due to its unique structure and func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TMJ osteoarthrit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TMJ OA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1405 men and 2922 women whose mean age was $30.2\; {\pm}\; 15.4$ and $33.1\;{\pm}\;15.2$ years, respectively) who had visited the TMJ and Orofacial Pain Clinic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in 2007. Orthopantomograms, TMJ tomograms and transcranial radiographs were used to evaluate degenerative change of the mandibular condyl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Degenerative change of the mandibular condyle was observed in 883 (20.4%) of 4327 subjects. The preval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706 patients, 24.1%) than in men (177 patients, 12.6%), and th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was observed in all age groups. 2. The prevalence of degenerative change of the mandibular condyle in TMD patients showed a gentle increase along with age. Such increas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women (P < 0.001), but not in men. 3. Sclerosis was observed the most frequently in all age groups and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ith osteophyte was the highest among four types of degenerative change. 4. Although men showed degenerative change in the left side more often and women showed degenerative change more frequently in both sides, the difference of distribution in sides between genders was not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degenerative change of the mandibular condyle in TMD patients is higher in women than in men, and increases steadily with aging, but not as dramatically as in other joints that show a steep increase in prevalence around the age of 45 years.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epidemiologic characteristic of OA of the TMJ differs from those of other joints, and that a more extensive study based on the general population is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