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퇴적설계

Search Result 21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nalysis of outflow pattern considering to prevent blocking in urban sewer (막힘방지를 고려한 관거내 유출양상 분석)

  • Song, Yang Ho;Jun, Hwan Don;Lee, Ju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05-305
    • /
    • 2015
  • 도심지에서의 우수관거시스템의 경우 적정 설계빈도 기준에 따라 유입량에 따른 적정 통수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다. 유입량에 동반되는 토사량의 경우 관내 퇴적 방지를 위한 적정 설계유속 조건 반영을 통해 관내 퇴적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2011년 7월 우면산 토사피해, 2014년 8월 금정산 토사피해와 같이 실제 발생한 주요 침수피해들의 경우 다양한 피해발생 원인들 중 관로 내 토사퇴적에 따른 우수관로의 통수능력의 저하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설계 시 적절히 고려하지 못한 토사의 유입은 관내 토사 퇴적으로 이어지고 결과적으로 통수단면 저하에 따른 월류발생 및 도심지 내 침수피해가 발생으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기존 관거의 통수능력을 적절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관거 내의 퇴사량에 대한 분석과 이를 고려한 관로 설계가 필수적이다. 도시유역에서 일반적인 우수관거로 유입되는 토사의 경우 산지유역과 달리 비교적 작은 입경을 가진 토사들로 구성된다. 즉, 유입되는 토사량에 있어 입경의 적정 크기 및 분포에 따라서 관거내 토사 퇴적량이 달라지게 되며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유속 범위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토사 입경별 관내 유속에 따른 퇴적양상을 검토하기 위하여 특정 제원의 관거 및 우수관거로 유입되는 토사의 입경들을 기준으로 관내 수심의 변동에 따른 우수관거를 지나는 각입자별 부유 퇴적의 기준이 되는 한계유속 조건을 산정하였으며, 이를 고려한 관거의 경사도 조정을 통해 설계유량에 따른 관거 내 토사퇴적량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때, 관로내에 일정량의 토사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유입되는 토사의 입경을 0.1mm~30.0mm까지 세분화하여, 유입되는 토사 전량에 대한 입경을 하나의 입경으로 고정시킨 조건으로 관내 유속에 따른 퇴적 양상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향후 해당 조건을 반영한 설계방안의 경우 설계강우에 대한 고려를 통하여 신뢰도 측면에서 관거내 토사의 퇴적과 유속 관계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하여 일반적인 관거의 설계 기준이 수립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PDF

Effect of infow contaminants on Sediment in the Heung-bu reservior during the Raining Season (강우시 유입된 오염물질이 흥부 저수지내 퇴적물에 미치는 영향)

  • Jung, Hee-Jin;Choi, I-Song;Lee, Tae-Ho;Oh,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078-108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현재 날로 심각해지는 흥부지역 농업용수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기초데이터의 확충 및 현황 파악을 위하여 흥부지구 강우시 저수지내의 퇴적물 상태를 조사 하고자 하였다. 또한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저수지 퇴적물에 의한 내부오염 발생여부 및 저수지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퇴적물에 의한 오염 방지 및 필요수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준설여부를 검토함으로 써 흥부지역 농업용수의 수질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조사연구는 1) 저수지 내 퇴적물 추정량, 2) 퇴적물의 입도분포 및 유기물질 무기물질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본 조사연구 결과는 퇴적물의 준설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인자로 인식되는 저수지의 퇴적속도, 저수지 내 퇴적물의 용적량, 잠재적 오염물질의 함유량에 대한 연구 자료로서, 앞으로 흥부저수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함에 있어 중요한 근거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수질개선 사업의 수행 시 설계 인자로 반영 하고자 한다.

  • PDF

PLANNING, AND CONSTRUCTION OF ARTIFICIAL ISLANDS (인공섬의 계획, 조사, 설계 및 시공)

  • 송병무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2.10a
    • /
    • pp.87-94
    • /
    • 1992
  • 근래 인공섬은 그 수가 많아지고 또 그 크기도 방대해지고 있다. 이 논문은 인공섬의 완성에 앞선 각과정에 대한 제반 문제점들에 대한 지반공학적 분석결과를 포함한다. 최근 인공섬 형성 과정에 사용하는 신공법에 개발되었다. 인공섬의 형성은 단일 공법에 의한 것이 아니고 여러가지 공법의 홍용의한다. 따라서 각 공법에 대한 완벽한 이해는 사업자체의 성공적인 완료와 경제성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 인공섬은 해성퇴적층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해성퇴적층의 형성과정, 환경, 퇴적 후의 변화 그리고 지반공학적인 자료가 채취되어야하고 분석되어야 한다. 해성퇴적층에 위치할 인공섬 완료에 필요한 조사, 설계 및 시공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과정이 실무자들이 이해하고 사용할수 있는 형식으로 제시되었다. 불완전한 자료, 또 그것에 근거한 설계 및 시공이 줄 수 있는 결과에 관해 기술했다.

  • PDF

토양 세척법을 이용한 하천 퇴적토 복원 설계

  • 이정산;차종철;이민희;이정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342-345
    • /
    • 2003
  • 비소로 오염된 폐광산주변 하천 퇴적토 오염 복원을 위한 토양세척법의 복원효율을 규명하였다. 세척액에 대한 비소제거 효율을 규명하기 위해 오염된 3종류의 하천 퇴적토에 대하여 초산, 구연산, 염산 각 0.01, 0.05, 0.1, 0.5, 1N 수용액과 증류수(pH 5.41)에 대한 세척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세척 효율은 염산과 구연산 용액의 경우 0.05N 이상에서 저농도의 구연산을 제외하고 99.9% 이상의 제거효과를 나타내었다. 초산의 경우 1N의 경우에도 36%와 71%의 낮은 세척 효율을 보였으며, 증류수로 세척한 경우에는 20% 내외의 세척 효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세척 효율은 본 오염지역의 복원목표를 토양오염 우려기준의 40% 농도(2.4mg/kg)로 설정하여 하천퇴적토를 복원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결론적으로 오염 퇴적토의 농도 분포에 따라 적절한 세척액을 선택한다면 세척 효과를 훨씬 증대시킬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한 세척효율 결과는 연구지역을 포함한 전국 각지의 폐광산 복원공정 설계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Flow Analysis for Effective Design of Fishway at Wangsuk Stream (효율적인 어도설치를 위한 흐름해석 : 왕숙천을 대상으로)

  • Baek, Kyong-Oh;Ahn, S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100-2104
    • /
    • 2008
  • 현재 전국적으로 하천을 횡단하는 보에 어도시설이 되어 있는 곳은 4.6%에 불과하고, 기존에 설치된 어도의 경우에도 설계단계에서부터 회유성 어류의 통로로 부적합하거나, 시공 후 관리부실로 하상이 세굴되거나 퇴적되어 어도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또한 어도의 위치는 통수장애 및 퇴적을 고려하여 하천의 유심(流心)과 연결되는 위치에 설치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엄밀한 수리계산 없이 어도의 설계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차원 및 2차원 흐름해석을 통해 어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흐름해석 대상구간은 왕숙천의 퇴계원 수위표 지점부터 상류 약 4km 구간이며, 이 구간에 3개의 보가 존재한다. 상하류 연속성 확보를 위해 어도 설치시 고려 대상 종으로 왕숙천 중류에만 출현하는 긴몰개를 삼았다. 보에 어도가 없는 상태에서 흐름 및 하상변동 해석을 수행하여 이를 바탕으로 어도를 설치하기에 적정한 위치를 도출하였다. 2차원 흐름모형의 하나인 RMA-2를 사용하여 유심선을 파악하였으며, 하상변동 해석 모형인 SED-2D를 이용하여 홍수시 어도 입,출구에 예상되는 세굴 및 퇴적양상을 확인하였다. 갈수시 설치된 어도에 충분한 유량이 확보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HEC-RAS를 이용하여 1차원 흐름해석도 병행하였다. 2차원 흐름해석 결과 대상구간의 좌안쪽으로 유심선이 발생하므로 어도는 이를 따라 보체의 좌안쪽에 설치함이 타당하다. 그러나 홍수시 하상변동해석 결과, 좌안쪽에 상당량의 퇴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퇴적이 진행되지 않는 보의 중앙부에 어도를 설치함이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 PDF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depositional patterns of debris flow (횡단 배수로 내 토석류 퇴적 양상의 실험 연구)

  • Kim, Young-Il;Paik, Jo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8-42
    • /
    • 2011
  • 토석류는 산간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장 위험한 자연재해 중 하나로 입자-유체 혼합물인 토석류가 중력에 의해 매우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산간지역에서의 토석류 발생은 도로의 횡단 배수 구조물의 통수능을 저하시키게 되며 그 결과 도로의 유실 등 막대한 피해를 발생시킨다. 잠재적인 토석류 발생 지역에서의 피해 저감을 위해서는 진보된 설계 기준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토석류의 횡단 배수구조물 내에서 토석류의 동적 거동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수리 실험을 통하여 횡단 배수구조물 내에서 토석류의 퇴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수리 실험 장비는 폭이 일정한 사각형 수로로 접근 수로와 하류부 수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접근수로의 상단부에서 일정한 유량의 토석류를 연속적으로 유입시켜 경사가 급변하는 하류부 수로 내에서의 토석류 퇴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실험 결과로 토석류의 거동 특성은 토석류의 체적 농도, 입자의 특성, 그리고 접근수로와 하류부 수로의 바닥 경사에 종속됨을 정량적으로 알 수 있었다. 또한, 토석류의 체적 농도나 수로 바닥경사 등과는 상관없이 토석류의 퇴적은 하류부 수로의 종단부인 자유 낙하 지점에서부터 시작되었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퇴적 지점이 접근 수로 쪽으로 이동하며 퇴적량이 크게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 때, 하류부 수로 내 퇴적된 토석류는 약 $12{\sim}15^{\circ}$의 경사를 보였다.

  • PDF

Experiments and Numerical Analysis on a System for Collecting Organic Sediment from Seabed (해저유기퇴적물 수거시스템의 실험 및 수치해석)

  • Kim, Do-Jung;Park, Je-Woong;Jeong, Uh-Chul;Kim, Seoung-G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4 no.1
    • /
    • pp.15-20
    • /
    • 2008
  • Contaminated sediments are the actual cause for deterioration of coastal-ecosystem. So the developed countries have been in the process of making an effort to develop new techniques for monitoring and solving this problem since 1960. In this research, suction type pump dredging system of pilot size for collecting the filth from the seabed has been designed and manufactured that can prevent or minimize the secondary pollution by filth diffusion. For the practical use,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the developed system has been checked through a system performance test. And, the evaluation of system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underwater body type has been carried out for system optimization by using CFD. The performance tests for checking the efficiency of sediment collecting system are done under two conditions i.e. when the system is non-operational and when the system is self-propell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of dredging system to remove just the upper parts of filth from seabed.

  • PDF

Development of the Dredged Sediments Management System and Its Managing Criteria of Debris Barrier (사방댐 준설퇴적물 관리시스템 개발 및 관리기준 제안)

  • Song, Young-Suk;Yun, Jung-Mann;Jung, In-Keun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17 no.4
    • /
    • pp.267-275
    • /
    • 2018
  • The dredged sediment management system was developed to have an objective, quantitative and scientific decision for the optimum removal time of dredged sediments behind debris barrier and was set up at the real site. The dredged sediment management system is designed and developed to directly measure the dredged sediments behind debris barrier in the field. This management system is composed of Data Acquisition System (DAS), Solar System and measurement units for measuring the weight of dredge sediments. The weight of dredged sediments, the water level and the rainfall are measured in real time using the monitoring sensors, and their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offic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 monitoring sensors are composed of the rain gauge to measure rainfall, the load cell system to measure the weight of dredged sediments, and water level meter to measure the water level behind debris barrier. The management criteria of dredged sediments behind debris barrier was suggested by using the weight of dredged sediments. At first, the maximum weight of dredged sediments that could be deposited behind debris barrier was estimated. And then when 50%, 70% and 90% of the maximum dredged sediments weight were accumulated behind debris barrier, the management criteria were divided into phases of Outlooks, Watch and Warning, respectively. The weight of dredged sediments can be monitored by using the dredged sediment management system behind debris barrier in real time, and the condition of debris barrier and the removal time of dredged sediments can be decided based on monitoring results.

A Study on the Sediment Volume Change and Two-dimensional Deposited Characteristics of Pumping-dredged Soil (준설토의 체적변화 및 2차원 퇴적특성에 관한 연구)

  • 김형주;이민선;이용주;김대우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9 no.4
    • /
    • pp.155-165
    • /
    • 2003
  • A series of one-dimensional cylinder sedimentation test, seepage consolidation test and two-dimensional deposition model test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deposition and volume change of dredged soils containing the high water content, and these experimental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sedimentary conditions of actual dredged-reclaimed fields to obtain the relations of a volume change by settling what is required for design. In addition, the change of water content and the distribution of fine grained soils after sedimentation were investigated. Thus, it was concluded that deposition height increased lineary as substantial soil volume increased, and also the elevation of interface increasea proportionately at both the starting time and the finishing time of virtual self-weight consolidation in one-dimensional sedimentation. Furthermore, the two-dimensional model test results were shown to describe the plain distribution of water content and fine grained silt where dredged soil was deposited by two dimensional flowing, and the water content was distributed to wide range from the minimum water content 30% to maximum 180% according to the passed amount of №200 sieve percentage.

Characterization of Deep Shear Wave Velocity Profiles in the Gimhae Plains Using the Microtremor Array Method (상시미동 표면파 분석에 의한 김해평야 퇴적층 심부 전단파 속도 결정)

  • Kim, Jae Hwi;Jeong, Seokho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8 no.8
    • /
    • pp.17-27
    • /
    • 2022
  • To characterize the dynamic properties of Gimhae Plains sediments, we calculated natural frequencies using microtremor horizontal-to-vertical spectral ratios and derived shear wave velocity profiles by inversion of Rayleigh-wave dispersion curves obtained by the high frequency-wavenumber and modified spatial autocorrelation methods. Our results suggest that in this region, strong amplification of ground motion is expected in the vibration frequency (f ≥ 1 Hz). Additionally, obtained velocity profiles show that shear wave velocities are ~200 and 400 m/s for the shallow marine and old fluvial sediments, respectively. Bedrock is possibly encountered at depths of 60-100 m at most sites. We developed a simplified shear wave velocity model of shallow sediments based on the obtained profiles. Our results suggest that a large area in the Gimhae Plains could be categorized as an S6 site based on the Korean seismic design code (KDS 17 10 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