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퇴적물 환경

Search Result 1,45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Sedimentary Facies and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and Adjacent Coastal Area (낙동강 하구와 주변 연안역의 표층 퇴적상 및 퇴적환경 변화)

  • KIM Seok-Yun;HA Jeong-Su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4 no.3
    • /
    • pp.268-278
    • /
    • 2001
  • To investigate sedimentary facies and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and its adjacent coastal area, the grain size analysis and measurement of organic matter, calcium carbonate, clay mineral and metallic elements were carried out for forty surface sediment samples. Based on regional distribution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sediments, sedimentary facies in the study area can be divided into sand facies (TYPE I), mud facies (TYPE II) and sand-mud mixed facies (TYPE III). TYPE III is the transition of TYPE I and TYPE II in every aspects of sediment characteristics. It suggests that TYPE III may have been formed by the mixture of two different source of sediment : one derived from Nakdong River and the other resuspended fine-grained sediments from the Jinhae Bay by winnowing action during floods or storms. Among many aspects of environmental change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Nakdong Barrage, the most significant is the increase of sand content off the sand barrier region. It could be explained by several reasons including decreased input of fine-grained sediment from river, increased hydrodynamic energy level off the sand barrier region and artificial effects such as dredging and dumping.

  • PDF

Sedimentary Environment of Bimodal Shelf Sediments: Southern continental shelf of Korean Peninsula (복모드 대륙붕 퇴적물의 퇴적환경 연구: 한반도 남해대륙붕)

  • 방효기;민건홍
    • 한국해양학회지
    • /
    • v.30 no.1
    • /
    • pp.1-12
    • /
    • 1995
  • The modal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the total of 216 subface sediments of southern continental shelf of Korean peninsula. Sandy mud or muddy sand distributed in the range of 70∼100 m water depth revealed the bimodal type (sand and mud components). The relations of textural parameters obtained from every modal were consistent with those of shallow marine sediments. The characteristics of sand component between bimodal were as follows: (1) the distributions of mean grain size, sorting, shell content were repeatedly distributed like the directions of depth contour lines. (2) Sand component was composed of medium to fine sand (Mz, 1-3$\psi$) containing many shell fragments, a few pebbles, and iron-stained quartz. (3) The surface of quartz revealed the concordial breakage and V-shaped features formed at high energy environment. (4) In CM-pattern, sand component was plotted in rolling and bottom suspension area. These characteristics imply that sand component probably derives from shoreface sediments deposited at the beach environment.

  • PDF

순천만 갯벌의 온도, 유기탄소 및 대기 중 CO$_2$ 관계 연구

  • Gang, Dong-Hwan;Kim, Seong-Su;Kim, Tae-Yeong;So, Yun-Hwan;Gwon, Byeong-Hyeok;Yu, Hun-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306-30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순천만(전남 순천시 해룡면 농주리) 연안습지에서 온도(퇴적물/대기), 퇴적물 내 유기탄소 및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현장관측은 2008년 3월 16일11시부터 15시 사이에 수행되었으며, 약 300 m X 100 m의 갯벌 지역 내 30개 지점에서 조사되었다. 퇴적물과 대기의 온도와 대기 중 이산화탄소량은 현장에서 측정되었으며, 각 지점에서 채취된 퇴적물 내 유기탄소량은 부경대학교 공실관에서 TOC Analyzer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퇴적물과 대기 중의 온도는 각각 13.2$\sim$17.5$^{\circ}C$ 및 15.0$\sim$18.9$^{\circ}C$의 범위이었으며, 평균은 15.65$^{\circ}C$와 17.51$^{\circ}C$로서 대기 온도가 약 2$^{\circ}C$ 정도 높았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량은 퇴적물 직상부, 상부 0.5 m 및 1.0 m의 3개 지점에서 측정되었다. 각 지점별 평균 이산화탄소량은 퇴적물 직상부 352 ppm, 상부 0.5 m 지점 355 ppm, 상부 1.0 m 지점 363 ppm으로서 거의 유사하였으나, 퇴적물에서 상부로 갈수록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량의 분산은 퇴적물 직상부와 상부 0.5 m 지점에 비해 상부 1.0 m 지점에서 약 3배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주변 대기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현장에서 채취된 퇴적물 내 유기탄소량은 0.60$\sim$1.12%의 범위이었으며, 평균은 0.72% 이었다. 유기탄소량의 분산은 0.01로서 매우 낮았으며, 또한 1개 지점(1.12%)을 제외하면 유기탄소량의 범위는 0.60$\sim$0.82% 정도로서 연구지역 내 유기탄소량의 공간적인 분포가 비교적 균질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량은 온도효과와 주변 대기와의 혼합 정도에 따라 영향을 받고 유기탄소는 이러한 영향성이 적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Sedimentologic Linkage of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Han River and Kyunggi Bay, Korea (한강 유역과 경기만 퇴적환경의 연계성)

  • 오재경;방기영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8 no.3
    • /
    • pp.225-236
    • /
    • 2003
  •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of depositional environment between fluvial and estuarine-embayment in Han River system, including depositional change in main Han River, more than 250 bottom sediment and 70 suspended sediment were analyzed with hydrologic data. Based on the previous data, the study area can be divided into two environment(fluvial and estuarine-embayment) by Singok underwater dam. The gravelly facies occurs in the South and North Han Rivers and sandy and silty facies occupies in the main Han River. Depositional environment of main Han River changed mainly because of limited sediment transport and hydrological condition. In the estuarine-embayment environment, coarse-grained sediments are dominant in tidal channel and of shore whereas fine and poorly sorted sediments are observed in coastal area. During moderate period, relationship between fluvial-estuarine-embayment system is discontinuou s because of flow restriction by artificial construction such as dam and underwater dam, so that each river system characterizes the individual environment. Fluvial and estuarine system is influenced by tide and, thus, transition zone of estuarine- embayment system moves landward. During flooding period, however, each river system is integrated as continuous depositional system by high discharge and, thus, transition zone of fluvial-estuarine-embayment system moves seaward. For further detailed systems about the lower Singok under-water dam, joint research of South-North Korea should be necessary.

Heavy Metal Contents of the Surface Water and Stream Sedi-ments from the Talc Mine Area, Western Part of Chungneam (충남 서부 활석광산 주변의 지표수 및 하상 퇴적물의 중금속 함량)

  • 송석환;김명희;민일식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5 no.2
    • /
    • pp.139-152
    • /
    • 2001
  • 충남 서부 활석광산 주변의 수계에 대한 원소 함량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대흥 및 광천광산에 대해 수질 및 하상 퇴적물 시료와 함께 광산 주변 토양 및 모암 시료를 채취, 비교하였다. 대흥지역 퇴적물은 대부분 원소에서 SP가 GN에 비해 높았는데 이는 퇴적물 내 유색 및 무색광물 함량 차이로 판단된다. 절대 함량 비교에서 광물 결정구조 내 쉽게 Mg와 치환하는 원소는 낮은비율을, Fe와 치환하는 원소는 높은 비율을 보였는데 이는 퇴적물 내 주 구성광물내 원소 치환특성을 반영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절대 함량의 감소 순서와 타원소들과 높은 상관관계(>0.85)의 빈도를 보이는 원소들 사이의 차이는 퇴적물 화학조성에 이차광물과 비정질 광물등의 조성도 반영되었음을 암시한다. 대흥지역 지표수는 대부분 원소에서 MSP가 SP와 GN의 중간값을, MSG는 LGN과 MSP의 중간값을 조여 수계의 혼합특성을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절대 함량관계에서는 SP는 GW1과 유사했고, GN은 LGN과 유사했으며, 절대함량은(Mg, Fe), (As, Sc), (Mo, V, Se) 순서로 낮아졌다. 광천지역은 갱내수가 천부 지하수에 비해 대부분 원소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는데, 이는 갱내수가 더욱더 많은 물-암석반응을 거친 때문으로 판단된다. 절대 함량은 Mg, Br, Fe, (Sc, Cr), (An, Ni, V)순서로 감소하였다. 갱냉수의 지역간 원소 함량 차이는 사문암화가 우세한 광천지역과 활석화가 우세한 대흥지역 모암들 사이의물-암석 상화반응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두 지역의 상부 토양 및 모암 조성에서 SP가 GN에 비해 높은 Mg 비, Ni, Cr, Co 등 함량을 보였는데, 이는 사문암 지역 내 Mg, Ni, Cr 등이 풍부한 광물들 탓으로 판단된다. 퇴적물과 수질 사이에서는 함량 경향을 뚜렷하지 않았고 원소에 따라 서로 다른 힘량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퇴적물 원소 함량이 수계 조성을 반영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낸다. 상부-토양-암석-수계의 조성관계에서 대흥지역 지표수 중 SP 조성이, 광천지역은 갱냉수가 지하수의 조성에 가까웠다.

  • PDF

가막만 해수/퇴적물 계면에서 유기탄소, 질소, 인의 생지화학적 순환

  • 김귀영;이재성;김성수;정래홍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219-220
    • /
    • 2001
  • 연안퇴적물로 유입되는 유기물은 수중과 해수/퇴적물 계면에서 다양한 생지화학적 반응을 거치면서 재순환되며 일부는 퇴적물로 제거된다. 본 연구는 가막만에서 해역의 특성을 반영하는 대표적 환경인 소호지역, 굴양식장, 어류 양식장 그리고 비교적 교란이 없으리라고 생각되는 지역을 선정하여 이 지역 상부퇴적물에서 일어나는 유기탄소와 암모니아 질소, 인산인의 생지화학적 순환 및 각 성분의 플럭스를 추정하고자 한다. (중략)

  • PDF

황해퇴적물중 미량금속의 장기변동에 관한 연구

  • Kim, Pyeong-Jung;An, Gyeong-Ho;Park, Seung-Yun;Heo, Seung;Son, Jae-Gyeong;Kim, Hyeong-Cheol;Hwang, Un-Gi;Lee, Seung-Min;Lee, Wa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290-291
    • /
    • 2008
  • 황해 표층퇴적물중 입도(particle size), 비소(As), 카드뮴(Cd), 구리(Cu), 수은(Hg), 납(Pb) 및 아연(Zn) 등의 미량금속 농도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1998년부터 2006년까지 9개년의 조사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해역에서 전조사 기간동안 퇴적물의 입도와 미량금속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P<0.001)를 보였으며, 퇴적물의 입도가 세립 할수록, 수심이 깊을수록 미량금속의 농도가 높은 전형적인 농도분포특성을 보였으며, 전 조사 성분의 농도는 조사해역의 중앙부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다. 또한 조사 시기의 변동에 따른 농도 변화보다는 퇴적물의 입도에 따라 중금속농도가 유의하게 변화하는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아마도 퇴적물의 퇴적속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10여년간의 시간적 변동에 대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여진다.

  • PDF

A Study on Changes of the Benthic Environment and Microbial Community in Estuarine Polluted Sediments by Mixing Granulated Coal Ash (석탄회 조립물이 혼합된 하구 오염 퇴적물의 환경 및 미생물 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 Kim, Heontae;Woo, Hee-Eun;Kim, Jong-Oh;Kim, Kyungho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7 no.4
    • /
    • pp.492-499
    • /
    • 2021
  • In this study, the benthic environmental and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were investigated by mixing granulated coal ash(GCA) and contaminated estuary sediments. Estuary sediments and GCA were mixed in a ratio of 8:2 and allowed to interact for 1 month, then sediment environmental factors were investigated. The pH of the experimental sediment was mixed increased to 11. The concentration of DIP(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in the experimental case decreased by 30 % compared to the control case, and this should be due to formation of calcium phosphate through the chemical reaction of DIP and calcium which diluted from GCA. The high abundance of Gammaproteobacteria seen in the experimental sediment compare to the control can af ect the DIP reduction. The DIN(Dissolved inorganic nitrogen) concentration increased over two times in the experimental case than the control, and this should be due to the high pH condition and release of NH4+-N from the GCA. Microorganisms related to nitrogen circulation were not identified in both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cases. It was confirmed that the GCA were effective in reducing the DIP concentration in contaminated estuary sediment, and that benthic microbial communities were shown to influenced the phosphorus circ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