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퇴적물 오염

Search Result 568,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ollutants on bottom sediments in Shin-Gal Reservoir (신갈호 저층 퇴적물에 대한 오염물질 특성에 관한 연구)

  • Ahn, Tae-Woong;Kim, Tae-Hoon;Lee, Sang-Eun;Kim, Sang-Hyeon;Choi, I-Song;Oh,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02-20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정체성 수역인 신갈호를 대상으로 저층 퇴적물의 오염물질에 대한 조사를 실시 하였다. 신갈호 저층 퇴적물의 분석 결과, 함수율의 범위는 49.0~68.2%로 조사되었으며, 평균 함수율은 60.8%로 나타났다. 함수비의 경우에는 지점별 96.1~214.6%의 넓은 범위를 보였으며 평균 함수비는 165.8%로 조사되었다. 퇴적물의 pH는 모든 지점에서 산성을 띄었으며, 하류부로 갈수록 더욱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입도분석 결과, 토성은 SL(사양토) 및 SiL(실트질양토)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토성분포는 입자별 침강속도에 의한 것으로 퇴적물의 지점별 이 화학적 특성에 많은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유기물 함량 분석결과, 강열감량의 경우 8.22~11.36%로 평균 10.22% 의 유기물 함량을 보였으며, COD는 24,92 mg/kg~27,38 mg/kg의 값으로 평균 26,16 mg/kg로 조사되었다. 영양물질 함량 분석결과, T-N의 경우 신갈호 저층 퇴적물 평균 2,916 mg/kg의 질소 함량을 보였으며, T-P의는 평균 710 mg/kg로 조사되었다. 영양물질 함량 분석결과 하류부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총질소의 경우 지점별 비슷한 값을 보인 반면, 총인은 지점별 큰 차이를 보였다. 퇴적물의 중금속 함량은 Cd, Cu, Zn, $Cr^{6+}$, Pb을 분석하였으며, Cd 0.10~0.12 mg/kg, Cu 18.33~20.67 mg/kg, Zn 82.73~110.15 mg/kg, $Cr^{6+}$ 0.78~0.93 mg/kg Pb 11.04~14.53 mg/kg의 범위를 보였으며, 지점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자료는 신갈호 유역의 개발계획 및 준설 검토에 대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flux characteristics from the submerged soils of Yeongju dam (영주댐 수몰지 토양의 용출 특성 분석)

  • Lee, Seungyoon;Shin, Cholong;Choi, Kwangsoon;Kim, Ho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62-462
    • /
    • 2018
  • 국내 신규댐 건설에 있어, 침수토양의 용출에 의한 호내 수질영향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정량화된 사례는 찾기 어려우며, 댐 담수 초기에 증가되는 오염원에 대한 정확한 조사자료의 부족으로 담수이후의 수질변화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외부 오염부하의 강우시 유입과 퇴적물로부터의 영양염용출 등의 내부 오염부하가 함께 고려된 수질예측기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수몰지 토양 및 호내로부터의 내부부하에 있어서는 퇴적물 내의 다량 존재하는 오염물이 재용출 되거나 퇴적물 내의 화학적 생물학적 반응이 하천 수질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대부분 수몰지토양에서 수층으로 용출되는 유기물의 양은 수층에서 퇴적물로 흡수 또는 침강 되는 것보다 많은 경우도 있으며, 오염된 수계에서는 내부 부하량이 과다할 경우 수질 개선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6년 시험담수 예정지인 신규댐 수몰지를 대상으로 토양에 포함된 유기물이 자연상태에서 수체로 용출되는 특성을 분석하여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댐 수몰지의 토양 시료는 시험담수전 2016년 7월, 토지이용 유형별로 5개지점(논, 밭, 대지, 임야, 하천)에서 시료를 채집하여 총 36일간 용출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수층내 용존산소 조건을 호기성 조건과 혐기성 조건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수질분석은 COD, T-N, T-P, $PO_4-P$등 9개 항목에 대해 실험기간 중 13회 실시하였다. 토양별 점유면적 대비 일 용출량은(kg/day) COD 63 kg/day, T-N 93.6 kg/day, T-P 5.8 kg/day, $PO_4-P$ 4.6 kg/day 였으며, 수몰지 내 토지이용현황별 오염원 기여율은 임야, 밭, 하천, 논, 대지 순 이었다. 본 실험은 수몰지토양의 순수용출량만을 담수개시~36일간 측정한 결과로서 실제 저수지환경에서는 실험값보다 낮을 것으로 판단되며, 수중 수질환경 변화 및 퇴적물의 퇴적 등으로 인하여 원토양으로부터의 용출로 인한 수질에의 영향은 시간의 경과와 함께 변화 또는 감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실험결과는 담수초기의 영향으로 국한하여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장기적인 영향파악을 위해서는 담수 후의 퇴적물의 거동(퇴적현황) 파악 및 담수 후 퇴적물의 장기용출실험을 통한 용출량 검토가 필요하다.

  • PDF

Feasibility of Present Soil Remediation Technologies in KOREA for the Control of Contaminated Marine Sediment: Heavy Metals (우리나라 현존 토양정화 기술의 해양오염퇴적물 정화사업 적용 가능성 검토: 중금속)

  • Kim, Kyoung-Rean;Choi, Ki-Young;Kim, Suk-Hyun;Hong, Gi-H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2 no.12
    • /
    • pp.1076-1086
    • /
    • 2010
  • Soil remediation technologies were experimented to evaluate whether the technologies could be used to apply remediation of contaminated marine sediment. In this research, marine sediments were sampled at "Ulsan" and "Jinhae" where remediation projects are considered, and then the possibility of heavy metal removal was evaluated throughout the technologies.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silt and clay fraction was higher than that of sand fraction at "Ulsan". Heavy metal removal of the silt and clay fraction was arsenic (As) 81.5%, mercury (Hg) 93.8% by particle separation, cadmium (Cd) 72.2%, mercury (Hg) 93.8% by soil washing technology, cadmium (Cd) 70.8%, lead (Pb) 65.6% by another soil washing technology. Based on experimental results, tested particle separation and soil washing technologies could be used to remove heavy metals of sand fraction and silt and clay fraction. Heavy metal removal by soil washing technology which was composed of separation, washing and physical or chemical reaction by additives such as acid, organic solvents was more effective comparing to that of particle separation. Since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all treated samples was suitable for national soil standards, all the tested technologies were could be used not only to remove heavy metals of marine contaminated sediment but also to reuse treated samples in land.

Evaluation of the pre treatment tank filter media layer in LID technologies (LID 기법 전처리 시설 내 여재층 특성 평가)

  • Choi, Hye Seon;Jeon, Min Su;Geronimo, Franz Kevin;Reyes, Nash Jett;Kim, Lee 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67-367
    • /
    • 2022
  • 토지이용의 고도화에 따라 비점오염원 부하는 증가하는 추세이며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강도 증가 등으로 지표면에 축적된 고농도의 비점오염물질이 하천으로 유출, 수질오염을 가중시키고 있어 비점오염원 관리가 필요하다. LID 기법은 자연적 기작(mechanisms)과 공정(process)을 이용하여 생태계의 물질순환(물순환 포함)과 에너지 흐름이 원활하도록 조성하는 기법으로, 불투수층면에서 발생되는 강우유출수를 관리 가능하다. LID 시설에는 전처리 시설을 두어 초기 고농도의 입자상 물질을 저감시키고, 강우유출수 저류공간을 통한 유출저감, 첨두유량 등을 저감시킨다. 이러한 전처리 시설에는 유기물질 및 영양소의 생물학적 제거를 위한 미생물 서식공간의 제공 등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양한 여재를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비점오염물질 유입이 LID 기법 전처리 시설 내 여재층의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환경을 평가하였다. 3개 시설 모두 100%의 불투수층에서 발생되는 강우유출수를 처리하는 LID 시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각각의 전처리 시설에는 자갈, 우드칩, 쇄석 등이 적용되어 있다. 퇴적물의 경우 가장 상부에 존재하는 층으로 퇴적물의 오염물질 농도는 2~10.7배 이상 매우 높게 나타났다. 우드칩의 경우 다른 여재에 비해 높은 함수량과 유기물 함량을 보였으며 이는 우드칩의 수분을 보유하는 능력과 거친 표면공극에 오염물질이 부착되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또한, 같은 무기성 여재인 쇄석과 자갈의 경우 여재 크기의 차이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미생물의 군집구성과 함수량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유기물의 함량이 낮은 강우유출수의 생물학적 처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유기성 여재가 필요하며, 다공성 무기 멀칭재를 적용하고 하부의 토양은 적정 유기물을 배합하여 질산화 및 탈질화 유도가 가능하도록 설계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ssessment of Heavy Metal Pollution in Mangrove Sediments of Chuuk and Kosrae,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마이크로네시아 맹그로브 퇴적물 내 중금속 오염도 평가)

  • Ra, Kongtae;Lee, Charity M.;Noh, Jae-Hoon;Park, Heung-Sik;Kim, Eun-Soo;Kwon, Moon-Sang;Kim, Kyung-Tae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v.35 no.4
    • /
    • pp.453-464
    • /
    • 2013
  • Heavy metals in the mangrove sediments of Chuuk and Kosrae,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pollution levels of heavy metals using enrichment factor (EF) and pollution load index (PLI). The mean concentrations of Cr, Ni, Cu, Zn, As, Cd and Pb in surface mangrove sediments were 642, 125, 46.9, 149, 15.6, 0.14 and 8.55 ${\mu}g$, respectively. Kosrae mangrove sediments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Cr and Ni while Chuuk contains more of other metals such as Cu, Zn, As, Cd and Pb. Compared to those from other mangrove regions of the world, Cr, Ni and As levels in mangrove sediments from Micronesia were at higher levels whereas Cu, Zn, Cd and Pb were at lower to median levels. In core sediment of Chuuk, metal concentrations in the upper part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lower part. Based on the EF and PLI values, As is evaluated as the heaviest contaminant in the surface sediment from Micronesia whilst other metals (Cr, Ni, Cu, Zn, Cd and Pb) are present at slightly lesser levels.

Analysis of Water Quality Pollutants Proximated to sediment in Lake (호소내 퇴적물의 근접도에 따른 수질오염물질 분석(I) - COD, T-N, T-P, pH -)

  • Park, Sun-Ku;Yang, Young-Mo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14 no.3
    • /
    • pp.238-243
    • /
    • 2001
  •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sis of the pollutant $COD_{Mn}$, T-N, T-P for water quality proximated to sediment in lake of K river basin. water extracted from sediment showed higher $COD_{Mn}$, T-N, T-P datas than water proximated to sediment. Also, water proximated to sediment and water 5-10cm proximated to sediment showed the following data : $COD_{Mn}$, 1.2~1.9mg/L, T-N, 1.3~6.2mg/L, TP, 0.05~0.26mg/L, respectively. From this results, we have known the fact that the pollution degree of sediment have an effect on the water quality in lake and stream.

  • PDF

Chemical Forms and Release Potential of Heavy Metals from the Lime Treated Sediments (석회 처리에 의한 오염 퇴적물 내 중금속의 형태 변화 및 용출 가능성)

  • Park, Gil-Ok;Jun, Sang-Ho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1 no.2
    • /
    • pp.166-173
    • /
    • 2008
  • Chemical forms and release potential of heavy metals were studied in the lime treated sediment of lake Chungcho. Chemical forms of heavy metals were analyzed using a sequential extraction method, and release potential of heavy metals was evaluated by the ratio of the content of labile forms to total metal one. Dominant form of Cd, Cu, Pb, and Zn in the untreated sediments was organic/sulfidic form that is stable in the reducing environment such as the bottom of Lake Chungcho. With liming of the sediment, the chemical forms of studied metals were greatly changed from organic/sulfidic form to adsorbed and reducible form, especially Cd and Cu to adsorbed and reducible form, but Pb and Zn to reducible form. It is believed that increase of unstable form of heavy metals in the sediments by liming was caused by the increase of pH of the pore water at the expense of organic/sulfidic form. Thus, we concluded that the liming approach currently used in the treatment of dredged sediments might cause the increase of labile form which is easily dissolved, and may increase the release of metals from the sediment into overlying water.

Vertical Profiles and Assessment of Trace Metals in Sediment Cores From Outer Sea of Lake Shihwa, Korea (시화호 외측 해역 주상 퇴적물 내 미량금속 수직분포 특성 및 오염도 평가)

  • Ra, Kongtae;Kim, Joung-Keun;Kim, Eun-Soo;Kim, Kyung-Tae;Lee, Jung-Moo;Kim, Eu-Ye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6 no.2
    • /
    • pp.71-81
    • /
    • 2013
  • Trace metal concentration in sediment cores from the outer sea of Lake Shihwa were determined to study the vertical profiles of metal concentrations and to evaluate the levels of metal contamination. Sediment pollution assessment was carried out using enrichment factor (EF) and geo-accumulation index (Igeo). The mean concentration of metals were 58.8 mg/kg for Cr, 10.3 mg/kg for Co, 22.8 mg/kg for Ni, 18.1 mg/kg for Cu, 74.0 mg/kg for Zn, 6.75 mg/kg for As, 0.14 mg/kg for Cd, 27.4 mg/kg for Pb and 0.026 mg/kg for Hg, respectively. The mean EF values for Cu, Zn, As, Cd and Hg were greater than 1.5 in sediment cores, indicating that these metals in sediments are slightly enriched by anthropogenic activities. The geo-accumulation index (Igeo) suggested unpolluted status for metals of sediments collected from outer see of Lake Shihwa. Igeo values for Cu and Hg nearby LNG station (site C, D, E) ranged from 1 to 2, indicating moderately to unpolluted pollution status for those metals. Even if the higher concentrations of trace metals nearby LNG station were observed, there is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l and trace metals. Thus, the sediment grain size plays an important roles in influencing the distribution of trace metals in sediment cores from the outer sea of Lake Shihwa. Based on the comparison with sediment quality guidelines such as threshold effect level and probable effect level in Korea, the concentration of metals in sediments from outer sea of Lake Shihwa are likely to result in no harmful effects on sediment-dwelling organisms.

해양 저질환경 개선을 위한 제강 슬래그의 복토재 활용 연구(II)

  • 박기영;박헌우;박광석;전희동;정시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348-349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반폐쇄형 오염 수역을 포함해 특히 양식장내 퇴적층과 같이 오염이 상당히 진행된 해저 퇴적물을 효율적, 경제적으로 정화하기 위해 제철 공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인 제강 슬래그를 복토재로 활용하는 데에 있다. 오염된 퇴적물로부터 대량으로 용출되는 황화수소와 인산염 둥은 양식 생물에 직ㆍ간접적으로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해역내 부영양화의 주요한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