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퇴적량 산출

Search Result 52,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Development of Calculation System of the Sediment for Efficient Management of the Reservoir (저수지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퇴적량 산출 시스템 개발)

  • Park, Joon-Kyu;Kang, Joon-M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6 no.3
    • /
    • pp.285-292
    • /
    • 2008
  • The establishment of the scheme which could be managed the national reservoir efficiently and consideration of a variable management scheme by the application of a new technique for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improvement of national service quality and application of related techniques. In this study, sediment information which was accumulated in the reservoir for a long time and occasioned the decrease of pondage and increase of water pollution was constructed rapidly and accurately using GPS, sub bottom profiler and echo sounder. And the calculation system of sediment was efficiently designed through the applications of 2D and 3D spatial information processing techniques. As a results, the calculation system of sediment which was accomplished a various functions was developed and a basic information of management for the reservoir which was constructed quite a while ago was presented.

A Studies on the Bed Elevation Variation for an estuary using LiDAR (하구지역 하상변화 분석을 위한 지상 LiDAR의 활용)

  • Jun, Kye-Won;Ahn, Myung-Gil;Jun, Byong-Hee;Jang, Chang-Deok;Park, Hwan-Se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66-466
    • /
    • 2012
  • 하천의 하구에서는 해수의 흐름에 따른 연안토사의 이동과 하천유황에 따른 상류에서의 토사량에 따라 하상이 변화한다. 특히 하구부에서의 퇴적토사 증가는 하천의 수질변화와 어도단절 등으로 인해 하천환경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하구폐쇄를 발생시킬 수 있어 이에 따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으로 유출되는 지방 1급 하천인 가곡천과 호산천을 대상으로 하구부 퇴적토사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하상변화의 모니터링은 최신장비인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다시기로 스캔한 지상 LiDAR 측정자료를 활용하여 퇴적량을 산출하고 퇴적과 침식의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퇴적지점과 침식지점 및 이에 대한 체적량 변화를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지상 LiDAR를 활용한 하상변화 분석기법은 정밀한 퇴적량 추이를 빠르게 관찰할 수 있어 하구지역 뿐만 아니라 하천 전반에서의 하상변화를 조사하는 데에 있어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ediment Budget Analysis of the Naesung-cheon Watershed (내성천 유역의 토사 수지 분석)

  • Kim, Dae-Gon;Yang, Moon-Yong;Ha, Sung-Won;Yu, Kwon-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755-1759
    • /
    • 2010
  • 유역내 토사의 산출, 이송, 퇴적, 유출 과정을 분석하는 토사 수지 분석은 유역의 토사 관리 계획을 수립하는 데 핵심적인 과정이다. 또한, 댐건설은 하상에 급격한 변화, 댐 상류 하상의 상승, 댐저수지의 매몰, 댐하류 하상의 저하 등 하상 변동을 일으킨다. 그러나 기존의 하상 변동 분석에서는 모형의 핵심적인 입력 자료인 댐 저수지의 토사 유입에 대해서는 합리적인 검토를 수행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역 자료와 하천 자료, 유사량 측정 자료 등을 이용하여, 유역의 토사 산출량을 추정하고 이를 하상 변동 모형의 입력 자료로 하여, 전체 유역의 토사 수지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유역의 토사 산출은 GIS 자료와 RUSLE를 적용하였다. 이 방법을 영주댐이 건설될 계획이 있는 내성천 유역에 적용하였으며, 댐 건설 후 장기적인 토사 수지의 변화를 추정하였다. 그 적용 결과 제시된 방법에 의해 기존의 하천 유사량 측정에 의한 유역의 비유사량 산정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영주 댐 건설에 따라 상당히 큰 규모의 하상 변동이 예상되며, 이에 대한 토사 관리 대책의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Occurrence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eperite in Mt. Juwang, Cheongsong (청송 주왕산 페퍼라이트의 산출상태 및 형태학적 특징)

  • Woo, Hyeon Dong;Jang, Yun Deuk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7 no.2
    • /
    • pp.97-105
    • /
    • 2014
  • Peperite exposed along the Dajeonsa basalt in Mt.Juwang, Cheongsong emerged as a consequence of the simultaneity of volcano-sedimentary sequences. This study aims to classify peperites a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nfer the formation process by the field investigation, image analysis, X-Ray Diffractometer and polarization microscope for the magma-sediment interaction mechanism and paleoenvironment. As a result of the field investigation globular(fluidal) peperite is the representative feature at the bottom of Dajeonsa basalt, sub-angular peperite at the middle and irregular peperite at the top. Peperite domains range from sheet and pod or feeder conduit. Although the study that the morphologies of peperite are controled by the sorts of sediment and lava or magma has tended to center around the peperite, the study addresses not single mechanism but the multi-stage mechanism because Mt.juwang peperite, under the same conditions, varies in shapes and sizes and also the ratio of sediments that show the most change of the peperite affects to the formation of peperite.

Analysis of Relationships Between Topography/Geology and Groundwater Yield Properties at Pohang using GIS (GIS를 이용한 포항시 지형 및 지질과 지하수 산출능력 간의 상관관계 분석)

  • Lee, Sa-Ro;Kim, Yong-Sung;Kim, Nam-Jin;Ahn, Kyoung-Hwa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1 no.1
    • /
    • pp.115-131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lationships between topography/geology which affects physically groundwater regime and groundwater yield properties in Pohang City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For the purpose, topographic factors such as ground elevation, ground elevation difference, ground slope, and ground regional slope, and hydrogeologic unit, and groundwater yield properties factors such as transmissivity, specific capacity, and well yield, were constructed to spatial data base. Then the relationships between topography, geology and groundwater yield propertie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using GIS overlay technique. As the results, ground-water yield of unconsolidated sediments and porous volcanic rocks is the highest among the hydrogeologic units of study area, and clastic sedimentary rock is the lowest. There ar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vation and elevation difference and the groundwater yield properties and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opographic slope and the groundwater yield propertie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Sediments in the Heung-bu Reservior (흥부저수지내 수질 및 퇴적물 특성에 관한 연구)

  • Ahn, Tae-Woong;Choi, I-Song;Oh,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962-965
    • /
    • 2010
  • 우리나라에서는 막대한 양의 농업용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고, 수많은 수리시설을 확충, 유지 관리 하고 있다. 현재 이러한 농업용수의 공급을 위한 시설로는 저수지, 양수장, 배수장, 양 배수장, 보, 집수암거, 관정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농업용 용수의 급수원으로서 농업용 저수지는 전체의 58.7%를 제공하고 있어 가장 중요한 농업용수 공급원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이 농업용 저수지가 전체의 수리 시설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58.7%로 높은 것은 우리나라의 강우특성 및 하천형상의 특성이 많이 반영된 것으로 그만큼 저수지 설치 여건이 유리할 뿐만 아니라, 풍부하고도 계획적으로 안정된 수량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데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농업용수 확보를 위한 저수지의 신규 건설에는 앞으로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그 이유로는 저수지를 경제적으로 건설할 수 있는 적지가 줄어들고 있고, 저수지의 건설에 필요한 과다한 건설비용과 지역주민의 이주 및 생활을 위한 보상비 증가, 수몰지역 주민들의 반대, 저수지 건설로 인하여 발생되는 환경생태계의 파괴문제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현재 확보되어 있는 저수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종합적 대책 마련이 필요하며, 저수지 수원의 수질오염으로 인한 수자원의 불필요한 낭비를 최대한 막을 수 있는 관리노력이 보다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농업용 저수지는 대부분 하천의 상류부분에 위치하고 있어 하류의 수질오염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는 하류에 위치한 상수원 댐이나 하구언 등의 수질오염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국토전체의 문제로 대두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흥부저수지의 수계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수질 및 퇴적물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수질 및 퇴적물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정체성 수역인 저수지의 오염기여도 및 오염부하량을 산출하고 수질개선방안을 제시하며, 저수지의 수질이 퇴적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흥부저수지의 수질 및 퇴적물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Analysis on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Erosion and Deposition Using a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분포형 수문모형을 이용한 침식 및 퇴적의 시.공간 변동성 분석)

  • Lee, Gi-Ha;Yu, Wan-Sik;Jang, Chang-Lae;Jung, Kwan-Su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3 no.11
    • /
    • pp.995-1009
    • /
    • 2010
  • Accelerated soil erosion due to extreme climate change, such as increased rainfall intensity, and human-induced environmental changes, is a widely recognized problem. Existing soil erosion models are generally based on the gross erosion concept to compute annual upland soil loss in tons per acre per year. However, such models are not suitable for event-based simulations of erosion and deposition in time and space. Recent advances in compute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echnologies have allowed hydrologists to develop physically based models, and the trend in erosion prediction is towards process-based models, instead of conceptually lumped models.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effective and robust distributed rainfall-sediment yield-runoff model consisting of basic element modules: a rainfall-runoff module based on the kinematic wave method for subsurface and surface flow, and a runoff-sediment yield-runoff model based on the unit stream power method. The model was tested on the Cheoncheon catchment, upstream of the Yongdam dam using hydrological data for three extreme flood events due to typhoons. The model provided acceptable simulation results with respect to both discharge and sediment discharge even though the simulated sedigraphs were underestimated, compared to observation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rosion and deposition demonstrated that eroded sediment loads were deposited in the cells along the channel network, which have a short overland flow length and a gentle local slope while the erosion rate increased as rainfall became larger. Additionally, spatially heterogeneous rainfall intensity, dependant on Thiessen polygons, led to spatially-distinct erosion and deposition patterns.

Sustainable Yield of Groundwater Resources of the Cheju Island (제주도 지하수자원의 최적 개발가능량)

  • Hahn, Jeong-Sang;Hahn, Kyu-Sang;Kim, Chang-Kil;Kim, Nam-Jong;Hahn, Ch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 no.1
    • /
    • pp.33-50
    • /
    • 1994
  • The Hydrogeologic data of 455 water wells comprising geologic log and aquifer test were analyzed to determine hydrogeologic characteristics of the Cheju island. The groundwater. of the Cheju island is occurred in unconsolidated pyroclastic deposits and crinker interbedded in highly jointed basaltic and andesic rocks as high level, basal and parabasal types under unconfined condition. The average transmissivity and specific yield of the aquifer are at about 29,300㎡/day and 0.12 respectively, The total storage of groundwater is estimated about 44 billion cubic meters. Average annual precipitation is about 3,390 million ㎥ among which average recharge is estimated for 1,494 million ㎥ being equivalent 44.1% of total annual precipitation with 638 million ㎥ of runoff and 1,256 million ㎥ of evapotranspiration. Based on groundwater budget analysis, the sustainable yield is about 620 million ㎥(41% of annual recharge)and rest is discharging into the sea. The geologic logs of recently drilled thermal water wells indicate that very low-permeable marine sediments(Sehwa-ri formation) composed of loosely cemented sandy silt derived from mainly volcanic ashes at the 1st stage volcanic activity of the area is situated at the 120${\pm}$68m below sea level. Another low-permeable sedimentary rock called Seogipo-formation which is deemed younger than the former marine sediment is occured at the area covering north-west and western part of the Cheju island at the ${\pm}$70m below sea level. If these impermeable beds art distributed as a basal formation of fresh water zone of the Cheju island, the most of groundwater in the Cheju island will be para-basal type. These formations will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hydrogeologic boundary and groundwater occurences in the area.

  • PDF

Radiolarians from Core Sediments (A9-EB2) in Bransfield Basin, West Antarctica (서남극 브랜스필드 동부 분지내 코아 퇴적물(A9-EB2)의 방산충)

  • Bak, Young-Suk;Lee, Jong-Deock;Yun, Hye-Su;Yoon, Ho-Il;Kim, Hyang-Sook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2 no.2
    • /
    • pp.130-137
    • /
    • 2001
  • A total of 58 species of radiolarians belonging to 41 genera were identified in 44 samples from core A9-EB2 of the Bransfield Basin in the Antarctic. The radiolarian assemblages from A9-EB2 are generally very low in abundance.The dominant species are Antarctissa denticulata, A. longa, A. strelkovi, Lithomelissa setosa, Lifhomitra lineata, Peridium longispinum and Phormacantha hystrix, constituting 75% of the total assemblage. Genera Challenge개n and Protocystis belonging to family Challeneriidae, found in core A9-EB2 have been recorded in the Quaternary sediments. Therefore, the geologic age of core A9-EB2 in Bransfield Basin is regarded to be Quternary (Pleistocene-Holocene). Typical circumpolar taxa such as Antarctissa strelkovi, A. denticulata, Cycladophora davisiana and Larcopyle buetschlii are representing the influence of waters from Bellingshausen Sea and Antarctic Circumpolar Current. Plectacantha oikiskos and Phomacantha hystrix are considered as a coastal indicator. Also, low amounts of Lithomelissa setosa are related to pelagic condition and entrance of cold waters from the Western Weddell Sea into Bransfield Basin. Therefore, the core sediments in Bransfield Basin were deposited under the coastal condition mainly influenced by the waters from Bellingshausen Sea and Antarctic Circumpolar Current. but also by the water from the Western Weddell Sea of the open-water condition.

  • PDF

Experimental Study of the mechanism of methane generation under various organic conditions on Lake or Reservoir (호소 환경 조건에 따른 메탄 발생 기작 정량화 실험 연구)

  • Bang, Young Jun;Lee, Sung Woo;Kim, Dong Hyun;Lee, Seong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73-173
    • /
    • 2022
  • 유기 퇴적 오염물은 다양한 형태로 호소 바닥에 축적되어 호소 환경 및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메탄가스와 같은 온실가스의 발생을 유발한다. 또한, 수력 산업, 관개, 이·치수 등 다양한 목적에 의해 수체의 형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하천 및 호소에 의한 탄소유출을 전지구적 탄소순환에 적극적으로 포함시켜야 한다는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하천 및 호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생지화학적 반응에 의한 메탄 발생 메커니즘 파악은 유역의 중요한 환경평가 지표를 나타내며 탄소 순환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수온, 수심, 유기물 조건에 따른 하천 및 호소의 메탄 발생을 분석한 연구들이 선행되었으나 생지화학적 특성을 정리하고 이에 따른메탄 발생을 정량화한 연구들은 거의 없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호소 내 메탄을 발생시키는 기작을 판별하기 위해 수온과 호소 환경과 유사한 TOC(총유기탄소)와 TP(총인) 조건과 같은 유기물 조건을 설정하여 BMP Test를 수행하였다. 반응수조에서 발생한 가스를 포집한 후 GC(Gas Chromatograpghy) 분석을 통해 메탄 생성량을 산출하였고, 유기물 조건에 따라 이론적인 메탄 생성량 대비 실제 발생한 메탄 생성량을 나타내는 생분해도를 산출하여 호소 환경별 주요 기작에 따른 가스 발생을 정량화 하였다. 실험 결과 수온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으며, 수온에 따라 TP, TOC 순으로 메탄 발생의 영향성을 확인하였다. 향후에는 호소 환경에서의 유기물 조건을 반영하기 위해 입도비, 점착성/ 비점착성 조건, 수체의 높이 조건을 포함한 추가 실험을 수행하고 메탄수율을 정량화하여 호소 내 유기퇴적물에 대한 생지화학적 및 수환경 영향 평가 기법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