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행시간모형

Search Result 388, Processing Time 0.02 seconds

Development of Travel Time Model at the Signal Coordinated Links Using Traffic Flow Model (교통류 모형을 이용한 도시 연동가로의 통행시간 모형개발)

  • 박용진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2
    • /
    • pp.145-155
    • /
    • 1998
  • 대도시 가로망의 대부분은 신호교차로와 신호교차로가 연결되는 가로(link)로 구성되어 있어 가로의 통행시간은 가로의 주변여건, 차량간의 상호작용 및 교통신호등과 같은 요소에 영향을 받게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도시 가로망에서 신호 연동체계로 운영되는 가로의 통행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가로망을 대상으로 연동가로의 교통흐름을 가장 잘 나타내는 Greenberg모형을 이용하여 연동가로의 통행시간 모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연동가로의 통행시간 모형은 임계통행시간$(t_m$)과 교통량 대가로최대교통량비$(q/q_m)$의 함수로 이루어졌다. $t_m$모형은 안정류상태의 통행시간 및 불안정류상태의 통행시간의 비를 이용하여 개발하였고 가로 용량모형은 상류부와 하류부의 신호조건에 따른 변수와 가로길이를 변수로 하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조사한 12개의 연동가로의 자료를 적용하여 연동으로 운영되는 가로의 통행시간 모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통행시간 모형은 도로용량에 제시한 모형에 비하여 간단하게 가로의 통행시간을 추정할 수 있으며 교통계획에 적용되는 통행시간모형 비하여 가로의 신호 및 운영조건을 포함한 세부적인 통행시간 모형이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mmuter Mode Choice Behavior between Regions : Case of Seoul and Ilsan New Town (촐근통행 교통수단 선택행태의 지역간 비교연구: -서울과 일산 신도시를 중심으로-)

  • 조중래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83-92
    • /
    • 1998
  • 서울과 일산 신도시의 출근통행 교통수단 선택모형을 구축하고, 두 도시간 수단선택행태를 분석.비교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로는 1996년 서울시에서 수행한 가구통행실태조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수단선택모형으로는 다항로짓모형을 사용하였다. 두 지역 출근통행 수단선택모형의 모형구조상의 차이 및 모형의 지역간 이전가능성을 분석하였고, 출근통행의 시간가치 및 탄력성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통계적 검증의 결과 출근통행의 수단선택에 있어서, 모형구조적 측면에서나 선택행태적 측면에서 수단 선택모형의 두 도시간 이전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출근통행의 시간가치가 일산보다 전반적으로 큰 것으로 분석되었고, 특히 서울의 경우, 택시이용자의 시간가치가 자가용 이용자의 시간가치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도시 모두 통행시간에 대한 탄력성 통행비용에 대한 탄력성보다 전반적으로 크며, 버스와 지하철간의 통행시간에 대한 교차탄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Regional Comparative Study on the Commuter Mode Choice Behavior -Case of Seoul and llsan New Town- (출근통행 교통수단 선택행태의 지역간 비교연구 -서울과 일산신도시를 중심으로-)

  • 조중래;김채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4
    • /
    • pp.75-88
    • /
    • 1998
  • 서울과 일산 신도시의 출근통행 교통수단 선택모형을 구축하고, 두 도시간 수단선택형태를 분석.비교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로는 1996년 서울시에서 수행한 가구통행실태조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수단선택모형으로는 다항로짓모형을 사용하였다. 두 지역 출근통행 수단선택모형의 모형구조상의 차이 및 모형의 지역간 이전가능성을 분석하였고, 출근통행의 시간가치 및 탄력성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통계적 검증의 결과 출근통행의 수단선택에 있어서, 모형구조적 측면에서나 선택행태적 측면에서 수단선택모형의 두 도시간 이전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출근통행의 시간가치가 일산보다 전반적으로 큰 것으로 분석되었고, 특히 서울의 경우, 택시이용자의 시간가치가 자가용 이용자의 시간가치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도시 모두 통행시간에 대한 탄력성 통행비용에 대한 탄력성보다 전반적으로 크며, 버스와 지하철간의 통행시간에 대한 교차탄력성이 매유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Evaluating Value-of-Time for Travel Based on The Linear Logit Choice Model ("로-짓" 모형에 의한 교통시간가치 산정에 관한 연구)

  • Yu, W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 no.1
    • /
    • pp.69-88
    • /
    • 1984
  • 통행시간가치에 대한 연구는 독립변수를 이용한 통행시간과 비용에 의한 선택모형 을 대개 사용하여 왔다. 통행시간과 비용에 대한 매개함수를 추정한 후에 통행시간가치를 교통시간과 비용의 $\ulcorner$파라메타$\lrcorner$비로써 얻고 있다. 그러나 통행시간가치에 관한 신뢰구간과 통계적 유의성을 설정하기 위한 적절한 과정은 아직 연구되지 않고 있으나 $\ulcorner$로-짓$\lrcorner$ 모형 자체에 대하여는 되어있다. 본 논문은 통행시간가치를 측정하기 위한 기존의 방향을 비평적 으로 검토하여 본 것으로 통행시간가치를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위한 표준화 과정은 아직 이론적으로 정립 가능하다고 생각되지 않지만 통행시간가치평가의 간편식을 제시하여 보았 다. 간편식에 의하여 제시된 결과에 의하면 선택모형에 입각한 통행시간가치의 통계적신뢰 구간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는바 이에 대한 선택모형에 입각한 통행시간가치 측정을 위한 과정의 타당성에 대한 많은 의문이 아직도 남는다 하겠다.

  • PDF

The study of Estimation model for the short-term travel time prediction (단기 통행시간예측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Seung-jae;KIM Beom-il;Kwon Hyu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3 no.1 s.4
    • /
    • pp.31-44
    • /
    • 2004
  • The study of Estimation model for the short-term travel time prediction. There is a different solution which has predicted the link travel time to solve this problem. By using this solution, the link travel time is predicted based on link conditions from time to time. The predicated link travel time is used to search the shortest path. Before providing a dynamic shortest path finding, the prediction model should be verified. To verify the prediction model, three models such as Kalman filtering, Stochastic Process, ARIMA. The ARIMA model should adjust optimal parameters according to the traffic conditions. It requires a frequent adjustment process of finding optimal parameters. As a result of these characteristics, It is difficult to use the ARIMA model as a prediction. Kalman Filtering model has a distinguished prediction capability. It is due to the modification of travel time predictive errors in the gaining matrix. As a result of these characteristics, the Kalman Filtering model is likely to have a non-accumulative errors in prediction. Stochastic Process model uses the historical patterns of travel time conditions on links. It if favorably comparable with the other models in the sense of the recurrent travel time condition prediction. As a result, for the travel time estimation, Kalman filtering model is the better estimation model for the short-term estimation, stochastic process is the better for the long-term estimation.

  • PDF

Development of Fuzzy Travel Time Estimator for Interrupted Traffic Flow (단속류 퍼지 통행시간 추정기의 개발)

  • 오기도;김영찬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8 no.5
    • /
    • pp.57-67
    • /
    • 2000
  • Two fuzzy travel time estimators for interrupted traffic flow were developed based on field survey data and simulation data 7hat is collected from DETSIM, which is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model that car-following theory is applied. One is FETTOS(Fuzzy Estimator of Travel Time using Occupancy and Spot speed) and the other is FETTOS(Fuzzy Estimator of Travel Speed using Volume and Occupancy). Fuzzy logic controller was applied to the estimators to deal with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traffic variables and travel time. According to results of simulation and field survey. estimation of travel time can be modeled by using percent occupancy better than any other traffic variables. Detector location from storyline and signal timing Plan of intersection are affected to estimate travel time. With a few findings, the estimator was constructed and its performance was tested for observed travel time data and simulated data. FETTOS which needs signal timing plan and detector location estimates travel time with accurate better than FETSVO does. However. FETSVO has excellent transferability because the estimator needs set of input data only; volume and time mean speed.

  • PDF

VOT Derivation for Different Trip Purposes, Travel Modes and Testing of Their Significance (통행목적별 수단별 통행시간가치도출 및 유의성 검정)

  • Kim, Hyeon;Oh, Se-Chang;Choi, Gi-J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7 no.1
    • /
    • pp.113-129
    • /
    • 1999
  •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the value of travel time (VOT) plays an important role both in choosing the transportation alternatives on an individual level, and in analyzing and evaluating transportation plans and other public policy makings on a collective level. There is, however, a great deal of difficulties to correctly estimate the VOT. In addition, although there are lots of methods to estimate the VOT so for, not many recommendations have been presented to reflect the localities associated with the VOT derivation in Korea. This study aims at deriving the VOT for different trip purposes and travel modes with their significances tested. To accomplish this purposes, a logit-based travel mode choice model based on revealed preference (RP) data has been formulated, calibrated using the discrete choice model of LIMDEP package for various trip purpose models. For each trip purpose and travel mode, the VOT has been calculated along with the significance testing of the derived VOTs. From the results given in this research, the VOTs for different purposes and modes are identified different, and they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updated results here in this paper may be a yardstick in evaluating the transportation plans and policies by providing more detailed VOT information for different categories, especially in urban context.

  • PDF

Calculation of Travel Time Valu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Considering Unique Travel Patterns (수도권 통행 특성을 고려한 통행시간가치 산정 연구)

  • KIM, Kyung Hyun;LEE, Jang-Ho;YUN, Il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5 no.6
    • /
    • pp.481-498
    • /
    • 2017
  • Travel time reduction benefit is the most important benefit item in the feasibility study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nvestment projects and calculated by using the value of travel time. The current feasibility study guideline (5th edition) calculate the value of non-business ravel time in a metropolitan area, using the ratio of the value of non-business travel time to business travel time calculated based on the nationwide inter-regional traffic survey data of 1999. The characteristics of metropolitan trip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nationwide regional trips. Metropolitan trips have frequent transfers between multiple public transits and long-time commuter trip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calculate the value of travel time reflecting traffic characteristics in a metropolitan area by improving the limitation of current calculation methods. To reflect these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extracts commuter trips from non-business trips and calculates the value of travel time for commuter trips. The results of the likelihood ratio test for the commuter trip model and the non-business trip model a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 integrated public transportation model was also estimated in this study to reflect the trip condition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tegrated fare system. The results of comparing coefficients between bus and subway in the integrated public transit model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odes.

Development of the Reliability Traffic Assignment Model based on the Travel Time Variation (통행시간변화를 고려하는 신뢰도통행배정모형 개발)

  • 문병섭;이승재;임강원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7 no.5
    • /
    • pp.69-78
    • /
    • 1999
  • This paper defines the reliable based route choice Principle and formulates the reliability based equilibrium traffic assignment using the Principle. The reliability is defined as the difference of travel demand and capacity using the interference theory of the system engineering. An efficient solution a1gorithm based on Frank-Wo1fe algolithm is Presented to calculate and compare the reliability based traffic assignment with conventional travel time based assignment using small and large scaled road networks. The results show that reliability based traffic assignment converges to equilibrium solution in a reasonable computing time. The equilibrium link flows between reliability and travel time based traffic assignment differ each other in the sense that reliability based assignment is assigned based on the maximum difference of travel demand and link capacity whilst travel time based is assigned on the shortest travel time.

  • PDF

An Assessment of Trip-maker's Behavior Under Uncertainty for Value of Travel Time (시간가치의 불확실성 아래 통행자행태에 관한 연구)

  • 문동주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 no.1
    • /
    • pp.64-81
    • /
    • 1983
  • 소비자 행태에 관한 신고전 경제이론을 통행수요의 분석에 그대로 적용하는데 문제 가 되는 특기 사항으로는 운임이외에 통행시간과 같은 서어비스 질도 통행수단의 선택에 영 향을 미친다는 점과 특정 두지점간의 통행에서 동일한 소비자도 여러 수송수단을 이용한다 는 점을 들수 있다. 본 연구의 주제는 이와같은 통행수요의 독특한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소비자의 효용최대화모형의 설정과 이 모형에서 유도된 수요함수의 구조를 분석함에 있다. 상술하면, 통행시간 가치의 불확실성 아래에서 효용을 극대화하는 의사결정문제를 Stochastic Programming 모형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이 모형에서 유도된 특성 통행수단의 수요함수는 이 수단이 가장 유리한 시간가치의 범위에 대한 부정적분으로 표현되며 이 적분 범위와 피적분함수는 모든 경쟁수단의 운임과 통행수단의 함수로 정의됨을 증명하였다. 또 한 수요함수는 통행수요에 관한 통계분석모형에서 묵시적으로 가정되고 있는 통행수단간 대 체성(Property of gross substitute)과 대각방향우세성(Property of diagonal dominance)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