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합시험환경

Search Result 25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Research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Virtual Interface on Multi-mode Mobile Nodes (멀티모드 단말을 위한 가상 인터페이스 구현 연구)

  • Lee, Kyoung-Hee;Lee, Seong-Keun;Rhee, Eun-Jun;Cho, Kyoung-Seob;Lee, Hyun-Woo;Ryu, Won;Hong, Seng-Phil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5 no.4B
    • /
    • pp.677-686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virtual interface management scheme on the multi-mode mobile node for supporting multiple connections to various access networks in fixed mobile convergence (FMC) networks. The proposed scheme supports the virtualization of multiple physical network interfaces by presenting only the virtual interface to beyond IP layers and hiding physical network interfaces from them. In the proposed scheme, only one IP address is allocated to virtual interface without any IP allocations to physical network interfaces. Therefore, the proposed scheme does not change its IP address and keep it during the vertical handover, so that it can support the seamless handover of real-time multimedia services among heterogeneous access networks. The proposed scheme is implemented on the multi-mode mobile node with multiple network interfaces by using NDIS (Network Driver Interface Specifications) libraries. Through the mobility test-bed and the test application of virtual interface, we evaluate and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Selection of Irrigation Structures which Effected by Wastewater by GIS (하수처리수에 영향을 받는 관개용 수리시설 선정과 GIS 자료구축)

  • Kim, Hae-Do;Lee, Kwang-Ya;Chung, Kwang-K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73-277
    • /
    • 2007
  • 하수처리장 현황은 2005년을 기준으로 271개소이며 2006년에는 23개소(526.1천톤/일)가 완공되어 총 294개소(22백만톤/일)의 하수처리장이 운영중에 있다. 또한 2006년내에 완공예정인 처리장은 68개소(693.5천톤/일)로서 2007년도에는 총 362개소(23,087천톤/일)로 예상하고 있다. 하수처리수를 년간으로 환산하면 약 84억톤 정도이며 이는 전체 수자원이용량 331억톤의 25%에 해당하는 수치이며, 농업용수이용량인 158억톤의 53%를 차지하는 규모이다. 이처럼 매년 $5{\sim}7%$씩 하수처리수가 늘어나고 있으며 더욱이 대부분 기존의 관개용 수리시설에 인접하여 방류되어 직 간접적으로 재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농업기반시설에 인접한 하수처리수가 얼마큼 농업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GIS 기법을 이용하여 하수처리장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인접하거나 방류지점 하류에 위치한 관개용 수리시설을 찾아내어 재이용 관리지역으로 선정하였고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재이용정보를 DB로 구축하였다. 연구결과 전국 271개소 하수처리장중 관개용 수리시설보다 상류측에 있으면서 반경 1.5km 이내에 위치한 하수처리장은 127개소로 나타났으며 현장조사결과 많은 지역에서 하수처리수를 농업용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이용하고 있었다. 이처럼 주변상황으로 인해 하수처리수를 농촌용수로 이용할 수밖에 없는 지역이 발생하고 있고 앞으로도 하수처리장이 계속 증설되고 있는 한 기존의 농업수리시설물은 하수처리수의 영향이 더욱 커질 것으로 판단되므로 하수처리장 주변의 농업기반시설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의(2005년 10월 19일)에서는 농업용수 10% 절약 대책과 유역단위의 통합적 물 관리를 요구하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현실적으로 매년 홍수 피해가 발생하고 있지만, 다른 한편 인구밀도가 높고 1인당 가용 수자원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국지적 물 부족 문제를 경험하고 있다. 최근 국제적으로도 농업용수의 물 낭비 최소화와 절약 노력 및 타 분야 물 수요 증대에 대한 대응 능력 제고가 매우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2006년 3월 멕시코에서 개최된 제4차 세계 물 포럼에서 국제 강 네트워크는 "세계 물 위기의 주범은 농경지", "농민들은 모든 물 위기 논의에서 핵심"이라고 주장하고, 전 프랑스 총리 미셀 로카르는 "...관개시설에 큰 문제점이 있고 덜 조방적 농업을 하도록 농민들을 설득해야 한다. 이는 전체 농경법을 바꾸는 문제..."(segye.com, 2006. 3. 19)라고 주장하는 등 세계 물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농업용수의 효율적 이용 관리가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내외 여건 및 정책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물 분쟁에 따른 갈등해소 전략 수립과 효율적인 물 배분 및 이용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농업용수 수리권과 관련된 법 및 제도를 분석하였다.. 삼요소의 시용 시험결과 그 적량은 10a당 질소 10kg, 인산 5kg, 및 가리 6kg 정도였으며 질소는 8kg 이상의 경우에는 분시할수록 비효가 높았으며 특히 벼의 후기 중점시비에 의하여 1수영화수와 결실율의 증대가 크게 이루어졌다. 3. 파종기와 파종량에 관한 시험결과는 공시품종선단의 파종적기는 4월 25일부터 5월 10일경까지 인데 이 기간중 일찍 파종하는 경우에 파종적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 Intervention on Cognitive Function in Individuals With Stroke Through Meta-analysis (메타분석을 통한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에 대한 가상현실 중재 효과 연구)

  • Kwon, Jae Sung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10 no.3
    • /
    • pp.7-22
    • /
    • 2021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 interventions (VRIs) on cognitive function in individuals with stroke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Methods : We review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the last 10 years using academic databases. PubMed, MEDLINE, and CINAHL were used for international studies, and DBpia, KISS, Kyoboscholar, and e-article were used for Korean studies. For the quantitative meta-analysis, subgroups of outcomes were classified into general cognitive function (G-CF), attention and memory (A&M), and executive function (EF). Results : Nine RCTs were analyzed.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was 271 (140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effect size (Cohen's d) was estimated using a random effects model. The effect sizes of the outcome subgroups of were as follows: small to medium for G-CF (d=0.422; 95% CI: 0.101~0.742; p=0.010), small for A&M (d=0.249; 95% CI: -0.107~0.605; p=0.170), and medium for EF (d=0.666; 95% CI: 0.136~1.195; p=0.014). Conclusion : Considering the various stimuli provided by the virtual environment and the results from available research, virtual reality should be applied to interventions for integrated cognitive functions. In addition, it would be appropriate to be used as an additional intervention to traditional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stroke.

Changes in Chemical Properties and Effect on Germination of Radish Seed from Aeration of Co-digestate Fertilizers (통합 혐기소화액별 폭기처리에 따른 화학적 성분 변화와 무의 발아효과)

  • Byeon, Ji-Eun;Lee, Hong-Ju;Ryoo, Jong-Won;Hwang, Sun-Goo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65 no.4
    • /
    • pp.508-517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minimum period of aeration treatment of co-digestate to develop it as liquid fertilizer and the chemical changes that occur in the aerobic liquefying process. The co-digestate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depending on their additives: swine slurry anaerobic digestate (SS AD), swine slurry 70% + cow slurry 30% anaerobic digestate (SS + CS AD), and swine slurry 70% + apple pomace 30% anaerobic digestate (SS + AP AD). The pH of all co-digestates increased rapidly after 3 days of aerobic treatment, but had slightly decreased in SS AD after 9 days and in SS + CS AD and SS + AP AD after 15 days. All co-digestates showed a strongly reduced pH between 27 and 36 days of aeration treatment. SS AD had lower pH value, dissolved oxygen (DO), NH4-N, and NO3-N content under aerobic conditions than other co-digestates. To assess the fully decomposed liquid fertilizer, a germination test was performed on the undiluted and diluted co-digestate using the liquid fertilizer germination index (LFGI) method. The relative germination ratio, relative root elongation, and germination index of SS AD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s. When the LFGI method was used for the germination test, all co-digestates showed an appropriate germination index of 70 after 60 days of aeration treatment. Thus, we suggest that the minimum period of aeration treatment for co-digestates might be 60 days to develop the fully decomposed liquid fertilizer.

수학 내신성적에 비해 수능성적이 저조한 학생의 학습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 Kim, Won-Gyeong;Sim, Ju-Seo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1 s.21
    • /
    • pp.69-100
    • /
    • 2005
  • 이 연구는 내신성적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수능성적이 저조한 학생들이 문제 해결과정에서 나타내는 특성과 수학불안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인천시 5고등학교 자연계열 2학년 학생 중 내신성적이 상위 10%안에 드나 수능성적(모의수능성적)은 그렇지 못한 학생 5명이고, 이들의 수학적 성향, 수학 성취도, 개인별 특성 등에 대한 사전 면담자료, 문제풀이과정에 대한 사후 심층면담자료, 현장노트, 수학불안검사를 바탕으로 그들의 특성과 수학불안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내신성적은 좋으나 수능성적이 저조한 학생들의 수학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은 수학전 영역에서의 개념부족, 공식암기 부족 등으로 인하여 문제풀이계획을 세우지 못하거나 설사 문제를 푼다고 해도 계산 실수, 착각, 부주의 등으로 인해 정확한 답을 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내신성적은 좋으나 수능성적이 저조한 학생들은 어느 정도의 수학 불안은 가지고 있었다. 불안의 요인은 개념부족, 응용력 부족 등 개인적 인지능력에 의한 저조한 수학 성취수준과 수학 공부시간 부족, 풀이시간 부족 등의 환경적 요인에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수학개념이 부족한 학생일수록 수학불안 현상이 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학생들의 수학 문제풀이 과정 중에 나타나는 계산 실수, 부주의, 착각은 그들의 수학 자신감에 많은 악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교사가 이를 그냥 방관할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확인하고 지도해줄 필요가 있다. 또 교실 수업에서도 수능시험에서 다루고 있는 수학 내적, 외적 문제해결문제, 추론문제, 응용문제, 통합문제에 대한 문제풀이 경험을 하게하여 수학불안을 해소해줄 필요가 있다.)값을 보였으나, 10,000Hz의 높은 측정주파수에서는 더 큰 $E_a$값을 나타냄으로서 반응온도변화에 민감함을 보여주었다.원으로부터 부유물을 증가로 사료되었으며,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수질이 휴양용수로서 사용하는 데에 적합하도록 충분한 차집시설과 환경 기초시설의 설치 운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TEX>$K_s$값이 높고 $V_m/K_s$비율은 낮아 수게에서 질소가 저농도 일 때에는 다른 미세조류와 비교하면 경쟁력이 떨어지고 질소에 대한 기질 친화력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강 하류지역에서 M. aeruginosa가 대발생하는 시기에 수중 영양염의 농도 변동은 M. aeruginosa의 영양생리 kinetics 특성과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부분을 보완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마방법 간에 상호 연관성이 없었다. FE-SEM관찰에서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후의 표면은 모든 군에서 대체적으로 평활한 표면을 나타내었다. 4. 동일한 복합레진과 연마방법으로 처리된 군에서 레진전색제 적용 전과 후의 표면조도 값은 M1B군이 M1군보다, S1B군이 S1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M4B군과 M5B군은 각각 M4군과 M5군 보다. 그리고 S5B군은 S5군 보다 통계학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p<0.05). 본 연구를 종합하여 보면, 복합레진의 종류에 따라 표면조도의 순서는 다르게 나타났고, polyester strip 하에서 복합레진이 중합된 경우 가장 낮은 표면조도 값과 평활한 표면을 제공하였으며 전반적으로 anishing bur는 가장 높은 Ra값과 거친 표면을 제공하였다.

  • PDF

Comparison of Algal Growth Kinetics using Reclaimed Wastewaters from Various Treatment Processes (다양한 수질정화 공정 별 하수처리수 재이용수의 조류성장 비교)

  • Joo, Jin-Chul;Seo, Sou-Hyun;Song, Ho-Myeon;Kim, Il-Ho;Ahn, Chang-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09-309
    • /
    • 2011
  • 지구온난화와 도시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자연의 생태적 기능을 복원하고 환경에 대한 오염부하를 저감하여 도시 환경의 건강성과 지속성을 높이기 위해 도심 내 물순환시스템(urban water circulating system)의 구축이 요구된다. 즉, 물순환시스템을 활용하여 도심 내 다양한 수원(생태하천/호수 유지용수, 하수처리수, 우수, 지하수 등)을 네트워크 및 통합 관리하여 도시 내 물순환의 건전성과 수자원의 재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연중 발생량이 일정하고 막대한(66.4억톤/년, 2009년 기준) 하수처리수 방류수는 고도처리를 통해 수질이 양호하며 안정적인 대체 수자원으로 고려된다. 또한, 하수처리수의 재이용은 공공수역으로 배출되는 오염부하량의 총량 삭감 및 상수사용량의 절감과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한다는 면에서 최근 재이용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도심 내 친수공간(생태하천/호수)은 저류수량에 비해 유입수량이 적어 체류시간이 비교적 장시간이고, 이로 인해 부영양화가 쉽게 발생해 수질이 악화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수 재이용수를 도심 내 친수공간의 유지용수로 활용 시, 수질정화공정(응집 후 여과, 응집 후 여과+한외여과, 응집 후 여과+한외여과+역삼투 공정)이 친수공간 내 조류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하수처리수 재이용수 pilot plant의 수질정화공정별 유출수를 활용해 M. aeruginosa를 시험조류로 조류성장(growth kinetics)을 조사하였다. 조류는 $5\times104$ cells/mL의 초기 농도로 접종하여 배양하였으며, 조류성장에 직접적인 제한인자인 용존반응성인의 농도에 따른 성장속도를 Monod와 변형 Monod Kinetics를 이용해 반포화상수(Ks)와 최대 성장속도(${\mu}$max)를 산정하였다. 실험결과, 역삼투 공정을 제외한 다른 수질정화공정은 비록 영양염류가 80~90% 이상 제거되어 수계의 화학적 성상이 변하였으나 조류성장역학의 변화는 통계학적 (p=0.05)으로 유의할만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2주 이상이 될 경우, 역삼투 공정을 제외한 수질정화공정 별 유출수에서는 조류의 과다성장으로 인해 부영양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결론적으로 하수처리수 재이용수를 친수용수로 활용시, 조류성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존반응성인의 농도를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수질정화공정 및 유지용수 공급방안을 고려해야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Network Performance Verification for Next-Generation Power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Using FRTU Simulator (FRTU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차세대 배전지능화시스템 네트워크 성능검증)

  • Yeo, Sang-Uk;Son, Sung-Yong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13 no.6
    • /
    • pp.523-529
    • /
    • 2020
  • Power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is essential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and operation of power distribution networks.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is a system that manages the distribution network based on IT, and has been evolving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power industry. The current power distribution system is designed to operate at a relatively low network transmission speed based on the independent operation of the main equipment. However, due to distributed resources such as photovoltaic or energy storage devices, which are rapidly increasing in popularity in recent years, the operation of future distribution environments is becoming more complex, and various information needs to be collected in real time. In this study, the requirements of the next-generation power distribution system were deriv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based on this, th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nd performance requirements for the distribution system were defined. In order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designed system, a software-based terminal device simulator was developed because it takes excessive time and cost to introduce a large-scale system such as a power distribution system. Using the simulator, a test environment similar to the actual operation was established, and the number of terminal devices was increased up to 1,000. The proposed system was shown to satisfy the requirements to support the functions of the next-generation power distribution system, recording less than 10 %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bandwidth.

Development of Simulator for CBRN Reconnaissance Vehicle-II(Armored Type) (화생방정찰차-II(장갑형)용 모의훈련장비(시뮬레이터) 개발)

  • Lee, Sang Haeng;Seo, Seong Man;Lee, Yun Hee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31 no.3
    • /
    • pp.45-54
    • /
    • 2022
  • This paper is about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 simulation training equipment (simulator) for the CBRN Reconnaissance Vehicle-II (armor type). The simulation training equipment (simulator) is a military training equipment in a virtual environment that analyzes the training using various CBRN equipment according to the CBRN situation and make a professional report. The controller or training instructor can construct a scenario using the instructor control system for a possible CBRN situation, spread the situation, and observe the process of the trainee performing the propagated situation appropriately. All process can be monitored and analyzed by the system, and it can be recorded, so it is also used for AAR (After Action Review). To implement CBRN situation training in a virtual environment, instructor control (IOS), host (HOS), video (IGS), input/output device (IOC), and sound (ACS) were implemented, a long-range chemical automatic detector (LCA), a combined chemical detector (CAD), a control (MCC) and an operation (OCC) computer were developed as simulators. In this paper,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simulation training equipment for CBRN Reconnaissance Vehicle-II (armor type) was conducted, and the performance was verified through integrated tests and acceptance tests.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Method of Security Threat Information Using AI Based Named Entity Recognition Technology (인공지능 기반 개체명 인식 기술을 활용한 보안 위협 정보 식별 방안 연구)

  • Taehyeon Kim;Joon-Hyung Lim;Taeeun Kim;Ieck-chae Euom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34 no.4
    • /
    • pp.577-586
    • /
    • 2024
  • As new technologies are developed, new security threats such as the emergence of AI technologies that create ransomware are also increasing. New security equipment such as XDR has been developed to cope with these security threats, but when using various security equipment together rather than a single security equipment environment, there is a difficulty in creating numerous regular expressions for identifying and classifying essential data.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identifying essential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reat information by introduc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entity name recognition technology in various security equipment usage environments. After analyzing the security equipment log data to select essential information, the storage format of information and the tag list for utilizing artificial intelligence were defined, and the method of identifying and extracting essential data is proposed through entity name recognition technolog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result of various security equipment log data and 23 tag-based entity name recognition tests, the weight average of f1-score for each tag is 0.44 for Bi-LSTM-CRF and 0.99 for BERT-CRF. In the future, we plan to study the process of integrating the regular expression-based threat information identification and extraction method and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hreat information and apply the process based on new data.

Study of Geological Log Database for Public Wells, Jeju Island (제주도 공공 관정 지질주상도 DB 구축 소개)

  • Pak, Song-Hyon;Koh, Giwon;Park, Junbeom;Moon, Dukchul;Yoon, Woo Seok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8 no.6
    • /
    • pp.509-523
    • /
    • 2015
  • This study introduces newly implemented geological well logs database for Jeju public water wells, built for a research project focusing on integrated hydrogeology database of Jeju Island. A detailed analysis of the existing 1,200 Jeju Island geological logs for the public wells developed since 1970 revealed six major indications to be improved for their use in Jeju geological logs DB construction: (1) lack of uniformity in rock name classification, (2) poor definitions of pyroclastic deposits and sand and gravel layers, (3) lack of well borehole aquifer information, (4) lack of information on well screen installation in many water wells, (5) differences by person in geological logging descriptions. A new Jeju geological logs DB enabling standardized input and output formats has been implemented to overcome the above indications by reestablishing the names of Jeju volcanic and sedimentary rocks and utilizing a commercial, database-based input structured, geological log program. The newly designed database structure in geological log program enables users to store a large number of geology, well drilling, and test data at the standardized DB input structure. Also, well borehole groundwater and aquifer test data can be easily added without modifying the existing database structure. Thus, the newly implemented geological logs DB could be a standardized DB for a large number of Jeju existing public wells and new well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at Jeju Island. Also, the new geological logs DB will be a basis for ongoing project 'Developing GIS-based integrated interpretation system for Jeju Island hydroge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