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통합소화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18초

Dwarf Hamster의 正常染色體와 BUdR에 의해 凝縮遲延된 染色體의 G-banding Pattern에 대한 硏究 (Studies on the G-banding Patterns of Normal and of Delayed Spiralized Chromosomes by BUdR in Dwarf Hamsters)

  • Hahn, Sahsook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1-86
    • /
    • 1975
  • Dwarf hamster의 3가지 染色株를 재료로 trypsin 소화방법에 의한 G-banding pattern을 조사하고 이를 BUdR처리에 의해 凝縮遲延이 일어난 染色體의 G-bnad 와 比較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hinese hamster의 T-233 細胞에서는 65개의 G-band가 觀察되었다. 中心粒部位의 짙은 band가 第 1染色體에서, 엷은 band는 第 2, 3, 8과 $X_2$染色體에서 보였다. 두 X-染色體도 서로 다른 banding pattern을 보였으며, 染色體 末端의 짙은 band는 第 1染色體에서만 발견되었다. 그리고 第 10染色體에서는 band가 보이지 않는 것이 특징이었다. 2. Armenian hamster의 Y-1249細胞에서는 84개의 band가 觀察되었다. 中心粒部位의 짙은 band는 第 5와 10 染色體에서 보엿으며 第 7과 9染色體의 long arm 의 中心粒 가까운 데서도 중간정도의 染色性을 띤 band가 있음을 보았다. 두 X 染色體도 서로 다른 banding pattern으로 식별할 수 있었다. 3. Armenian hamster의 Y-1313細胞에서는 69개의 band가 보였다. 여기서 는 中心粒部位의 짙은 band는 觀察할 수 없었으나 중간정도의 band가 第 9 染色體의 long arm쪽에서만 나타났다. Armenian hamster의 두 細胞株는 서로 다른 banding pattern으로 쉽게 이 둘을 식별할 수 있었으며 단지 第 8 染色體만이 비슷한 banding을 보일 뿐이다. 第 5, 7, 8染色體들은 같은 수의 band를 보이고 있으나 그 위치나 染色强度는 相異하였다. 4. Chinese hamster의 T-233細胞의 第 1, 2, 6, $X_1$, $X_2$ 染色體와 Armenian hamster의 Y-1249, Y-1313en 細胞의 第 1, 4, 5, 7, 8, 9, $X_1$, $X_2$ 染色體들은 BudR에 의한 分裂凝縮의 억제로 染色體들이 伸張되어 있는데 이들 染色體의 G-banding pattern도 正常인 染色體의 G-banding pattern과 동일함을 觀察하였다.

  • PDF

하수처리장 내 나노 TiO2 입자 제거효율 예측을 위한 물질흐름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Material Flow Model for Predicting Nano-TiO2 Particles Removal Efficiency in a WWTP)

  • 반민정;이동훈;신상욱;이병태;황유식;김극태;강주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5-353
    • /
    • 2022
  • 산업과 생활환경에서 사용된 공학적 미세입자는 결국 하수처리장을 거쳐 수계로 배출되므로 미세입자의 수계 배출 제어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다수 연구에서 하수처리장 유출수 내 미세입자의 농도가 무영향관찰농도(No Observed Effective Concentration, NOEC)를 빈번히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전통적인 하수처리 기능과 더불어 미세입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수처리장의 설계와 운영을 최적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하수처리장 내 단위공정별 특성 및 운전조건에 따른 미세입자의 거동특성과 제거효율에 대한 예측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장 내 각 공정 특성별 및 주요 운전조건의 영향에 따른 미세입자 제거효율예측을 위한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하수처리장에서 미세입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도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개발 모델에서는 수처리 계통에서의 4개 단위공정(1차침전지, 생물반응조, 2차침전지, 및 총인처리시설)을 고려하고, 슬러지처리 계통은 농축, 소화, 탈수 공정 등의 다중 공정을 통합한 단일 공정으로 모의한다. 모의 대상 미세입자는 TiO2 (nano-TiO2)로서, 수중에서의 용해와 변환은 미미하므로 부유성 고형물과의 부착 기작만을 고려하였다. 부유성고형물에의 nano-TiO2 부착 기작은 고-액상 간 평형가정에 기반한 겉보기분배계수(Kd)를 매개변수로 반영하였으며 정상상태에서의 미세입자의 농도 및 부하를 공정별로 계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개발 모델 구동의 편의를 위하여 MS 엑셀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작하였다. 개발 모델을 이용하여 주요 운전인자인 고형물체류시간(Solid Retention Time, SRT)이 nano-TiO2 제거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지렁이 움직임 감지 시스템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 토양의 생태독성 발현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Mechanism of Manifestation of Ecological Toxicity in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Using the Sensing System of Earthworm Movement)

  • 이우춘;이상훈;전지훈;이상우;김순오
    • 자원환경지질
    • /
    • 제54권3호
    • /
    • pp.399-408
    • /
    • 2021
  • 배경토양에 카드뮴(Cd), 납(Pb), 아연(Zn) 등의 중금속 오염물질을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후 진동센서 등으로 구성된 시스템(ViSSET)을 이용하여 지렁이 움직임 특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였다. 이로부터 얻어진 지렁이 움직임의 누적 횟수와 전통적인 지렁이 행태지표(실험 전후의 체중 변화, 생체축적농도) 등을 이용하여 중금속 오염물질의 토양 내 생태독성 발현 기작을 규명하였다. 중금속별 농도 증가에 따른 지렁이 움직임을 살펴보면, Cd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렁이 움직임은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Pb는 농도 증가에 따라 지렁이 움직임이 급증하였으며, Zn의 경우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렁이 움직임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렁이의 체중은 Zn 오염 토양에서 가장 크게 감소하였으며, Cd와 Pb에서는 지렁이 체중 변화가 유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생물축적농도는 Cd, Zn, Pb의 순으로 높게 조사되었고, 특히 Pb의 경우에는 토양 내 농도에 따른 생체축적농도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Cd는 metallothionein-bound 형태로 결합되어 지렁이 생체 내에 장기간 축적되며, 특히 고농도에서는 임계효과(critical effect)에 의해 지렁이 움직임에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Pb는 섭취에 의하여 생태독성이 발현되는 것이 아니고 피부를 자극시키거나 감각기관을 손상시킴으로서 독성을 발현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Zn은 소화기관의 세포막을 손상시키거나 물질대사를 과도하게 증가시킴으로써 지렁이 움직임과 체중이 감소하는 것과 같은 생태독성을 발현시킨다. 지렁이 움직임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결과를 분석하여 도출한 Pb의 50% 최대 영향농도(half maximal effective concentration, EC50)는 751.2 mg/kg로 기존 연구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존에 이용되어온 지렁이 행태 지표와 새롭게 제시한 지렁이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얻어진 결과를 통합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중금속 오염물질의 생태독성 발현 기작을 규명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