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통증간호중재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4초

라벤더향기요법이 통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Lavender Aromatherapy on pain)

  • 박양숙;이미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300-310
    • /
    • 2019
  • 본 연구는 라벤더 향기요법이 통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무작위 실험연구 및 비무작위 실험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메타 분석하여 근거기반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이다. 메타 분석에 포함된 자료는 2000년부터 2018년까지 발표된 18편의 연구로서 중재 대상자는 수술 환자, 산모, 관절염 환자, 투석 환자 등이며 중재 유형은 흡입법, 마사지, 도포, 온습포, 복용 등이다. 연구 결과 통증에 대한 효과크기(Hedges' g)는 - 1.06[95% CI:-1.40:-0.72]로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중재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는 복용 -1.36[95% CI:-1.96, -0.77], 국소 도포 -1.11[95% CI:-1.57 -0.66], 흡입 -1.05[95% CI:-1.54, -0.56], 마사지 -0.92[95% CI:-1.62, -0.23]의 순으로 모두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러나 통증의 효과크기에 대한 이질성($I^2=88%$, p<.01)이 커서, 중재 유형, 연구 설계를 조절변수로 하여 조절효과 분석인 메타 아노바를 시행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중재 방법 Q=0.25, df=3, p=.968, 연구 설계 Q=0.22, df=1, p=.642).

통증자가조절기 융합교육이 척추수술환자의 수술 후 통증관리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Convergence Education on Postoperative Pain Management in Spinal Surgery Patients)

  • 최가영;김주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371-380
    • /
    • 2018
  • 본 연구목적은 통증자가조절기(patient controlled analgesia:PCA)융합교육이 척추수술 후 통증관리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60명의 척추수술환자를 대상으로, 실험군(30명)에게 수술 전 PCA동영상, 소책자, 및 PCA실습으로 구성한 PCA융합교육을 적용하였다. 구조화된 질문지로 자료수집한 후 기술통계, ${\chi}^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및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척추수술 후 실험군의 PCA지식태도, PCA만족도, 통증관리만족도는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p=.001; p<.001). 실험군의 수술 후 통증과 추가 진통제사용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1; p=.001). 따라서 시청각매체와 PCA실습을 접목한 PCA융합교육은 척추수술환자의 통증관리에 효과적인 실무중재임을 확인하였으며 다양한 간호실무에서 융합중재개발에 응용 가능할 것이다.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말기 암환자의 통증 예측요인 (Factors for the Prediction of Pain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in Hospice Units)

  • 용진선;한성숙;노유자;홍현자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5권2호
    • /
    • pp.125-135
    • /
    • 2002
  • 목적 : 본 연구는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말기 암 환자의 통증과 통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우울, 불편감, 신체적 간호 시행 횟수, 진통제 사용, 및 영적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대상 : C 대학 3개 부속병원의 호스피스 병동에 새로 입원한 말기 암환자 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1998년 1월부터 1999년 1월까지 1년간 연구원들의 직접 면접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ANOVA, Pearson correlation oefficient, 및 Multivatiate mulitiple regression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결과 : 1) 인구학적 특성:대상자의 나이는 평균 57세 이었고, 60세 이상이 28명(48.3%)으로 가장 많았다. 교육정도는 고등학교 이상 졸업자가 약 53%를 차지하였고, 종교는 가톨릭이 62.1%로 가장 많았다. 결혼 상태는 대부분이 기혼(89.7%)이었고, 가족 수는 2명인 경우가 25.9%, 4명이 19.0%, 없는 경우가 17.2%, 3명이 15.5 % 순이다. 임상적 특성으로 진단명은 위암이 24.1%, 폐암이 17.2%, 직장암이 13.8% 순 이었다.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하게된 동기는 통증완화가 67.2%, 영적 간호가 39.7%, 증상완화가 27.6%였다. 수술을 받은 경우는 44.8%, 받지 않은 경우가 55.2%였다. 가족력에 암이 있었던 경우는 27.6%이었고, 일상 수행 정도는 부분적으로 가능한 경우가 65.5%로 가장 많았으며, 전혀 불가능이 22.4%, 그리고 12.1%는 가능하였다. 돌봄과 관련된 특성에서 주 돌봄 제공자가 주로 가족(72.4%)이었으며, 간호 장소는 84.5%가 병원을 선호하였고 그 이유는 통증 조절(51.7%), 언제나 치료가 가능한 점(15.5%), 정서적 안정(15.5%), 그리고 영적 간호(12.1 %)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자 모두는 가정에서의 간호를 염려하고 있었는데 그 이유는 통증 조절이 어렵다는 것(77.6%), 영적 간호 제공자 부재(15.5%), 돌봐줄 사람의 부재(13.8%), 및 가족의 부담감(6.9%)이었다. 통증의 종류를 보면, 대상자의 53.4%가 심부 통증, 20.7%가 복합적인 통증, 17.3%가 내장 통증, 5.2%가 신경성 통증, 3.4%가 표재성 통증을 호소하였다.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한 경우는 77.6%였다. 통증 정도는 평균 4.69점이었고, 우울감은 6.13점, 불편감은 4.13점, 그리고 신체간호 시행은 2.59점이였다. 2) 통증과 통증 관련요인과의 상관 관계 :통증과 우울(P<.05), 통증과 신체적 간호(P<.05), 통증과 불편감(P<.05), 우울과 불편감(P<.05)사이에 순 상관 관계를 보여, 우울하고 불편감이 심할 수록 통증이 더 심했으며, 신체 간호 횟수가 많은 경우일수록 통증을 더 느꼈고, 우울할 수록 불편감도 더 심했다. 3) 통증예측 요인 분석: 우울 정도(${\beta}=0.41$, P=0.0049) 와 마약성 진통제 사용 여부(${\beta}=2.11$, P=0.0132)가 환자의 통증 정도($R^2=.46$)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말기 암환자들 대부분이 입원 당시 중등도 이상의 통증이 있었으며, 통증정도는 우울과 불편감 그리고 신체간호 횟수와 상관관계가 있었고, 우울과 마약성 진통제 사용이 통증 예측인자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말기 암환자의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약물요법은 물론 신체적, 심리적, 및 영적 측면과 관련된 총체적인 접근에 의한 다학제간의 중재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본다.

  • PDF

심리사회적 중재가 암환자의 통증완화에 미친 효과: 메타분석 (Meta-analysi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to Reduce Pain in Patients with Cancer)

  • 오복자;한숙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58-668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on pain in cancer patients. Methods: Eight studies published between 1980 and 2012 in Korean and ten studies published between 2002 and 2012 in English met the inclusion criteria with a total of 1539 participants. Methodological quality assessed by Cochrane's Risk of Bias for randomized studies and Risk of Bias Assessment tool for non randomized studie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RevMan 5.2 program of Cochrane library. Results: Overall, study quality was moderate to high. Effect sizes were heterogeneous and subgroup analysis was don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were effective for pain (ES= -0.35; 95% CI= -0.56, -0.13). Pain education studies measured with NRS and VAS were effective for pain (ES= -0.77; 95% CI= -1.01, -0.52). Publication bias was not detected. Conclusion: This study support the use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administered to cancer patients for their pain management. However, more well-designed studies are needed.

암환자의 통증에 적용한 중재효과의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Intervention Studies on Cancer Pain)

  • 민영춘;오복자
    • 종양간호연구
    • /
    • 제11권1호
    • /
    • pp.83-92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 size of intervention studies in reference to cancer pain. Methods: In order to conduct a meta-analysis, a total of 208 studies were retrieved from search engine. And 29 studies published from 2000 to 2010 were selected upon their satisfaction with the inclusion criteria.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RevMan 5.0 program of Cochrane library. Results: 1) Intervention studies included 7 studies on reflexology (24.1%), 5 for pain management education (17.2%), 3 studies for each music therapy, spiritual care and hand massage (10.3%, respectively), and 2 studies for each hospice and horticultural therapy (6.7%, respectively). 2) The effect size of the intervention studies were high in hand massage (d=-0.98), reflexology (d=-0.74), spiritual care (d=-0.72), pain management education (d=-0.66), music therapy (d=-0.41), and horticultural therapy (d=-0.32).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 that non-drug therapy can reduce the levels of cancer pain intensity, even though the numbers of intervention studies a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re very rare.

아로마 롤온 흡입법이 경로당 이용 노인의 스트레스, 통증, 우울 및 혈압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Aroma Roll-on Inhalation Method on Stress, Pain, Depression and Blood Pressure in the Elderly in a Senior Citizen Clubs )

  • 한은경;조수아;박가을;김지은;이수연;최은경;채연주;오은빈;김조현;이하영;양지우;정영주;박수아;권진아;김민정;최은서;양주언;조가은;양지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3-23
    • /
    • 2023
  • 본 연구는 아로마 롤온 흡입법이 경로당 이용 노인의 스트레스, 통증, 우울 및 혈압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원시실험연구이다. 대상자는 경기도 S시에 위치한 경로당 2곳에 등록된 노인 가운데 선정기준에 부합한 33명이 참여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11월 14일부터 2022년 12월 19일까지 시행하였다. 아로마 롤온 흡입 전후에 경로당에 직접 방문하여 혈압 측정 후 자가설문으로 구성된 스트레스, 통증, 우울을 조사하였다. 실험군에게 적용한 에센셜 오일은 마조람, 제라늄, 페페민트, 오렌지 스위트를 캐리어 오일인 호호바오일에 희석한 것으로 하였다. 중재는 4주 동안 1일 3회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아로마 롤온 흡입법은 대상자의 스트레스(t=2.63, p=.013), 통증(t=2.46, p=.019), 수축기 혈압(t=3.01, 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아로마 롤온 흡입법은 경로당 이용 노인의 스트레스 감소 및 통증 완화, 혈압 관리에 유용한 간호중재로 활용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만성통증 관리를 위한 비약물적 중재: 주제범위 문헌고찰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Chronic Pain in Older Adul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 Scoping Review)

  • 황경혜;김혜경;조옥희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98-310
    • /
    • 2023
  • Purpose: This study synthesized the literature on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chronic pain in older adul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Methods: Scoping review and thematic analysis methods were combined. On June 1, 2023, searches of primary electronic databases, including PubMed, Embase, PsycINFO, CINAHL DBpia, KMbase, NDSL, and RISS, were performed, restricting the publication date from January 1, 2010 to December 31, 2022. Guidelines from the Joanna Briggs Institute were used as a framework to set and conduct the scoping review. Results: The review identified 1,095 abstracts, from which 14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review. Consequent to the study, there were 10 randomized controlled experimental study designs, and 6 out of 14 studies were conducted in China. The numeric rating scale was widely used for pain assessment. Exercise intervention was provided in 7 studies and physiotherapy was provided in three studies. The outcome variables measured were pain self-efficacy, physical functions, and depression. Conclusion: This comprehensive overview guided nursing staff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planning and intervention of effective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chronic pain in the elderly.

지능형 통증 간호중재 유헬스 시스템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Intelligence Pain Nursing Intervention U-health System)

  • 정호일;류현;정경용;이영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7
    • /
    • 2013
  • 개인화 추천 시스템은 자동화된 정보 필터링 기술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상품을 추천해 주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기술 중 협력적 필터링은 비슷한 패턴을 가진 형태들을 식별해 내는 기법이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면 과거 유사한 형태를 가진 환자의 자료를 통하여 통증 강도를 유추 하거나 분류된 환자의 프로필의 유사도에 따라 관련 사정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유사도 가중치 추출의 대표적인 방법인 피어슨 상관계수를 사용하는 방법은 데이터의 양에 따라 표본 데이터가 적은 경우 예측 값이 부정확해지고 양이 방대한 경우 계산량이 제곱으로 늘어 신속한 결과를 추출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MAE와 순위 스코어를 사용하여 의미있는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표본 자료의 규모와 유사도 군집량을 비교하여 구현된 지능형 통증 간호중재 유헬스 시스템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통증환자의 고통호소를 간호사가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와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게 되고, 따라서 환자의 안위 증진이 향상되게 된다.

슬관절 밸런스 테이핑 요법이 노인의 무릎 통증과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Knee Balance Taping Therapy on Knee Pain and Range of Motion in the Elderly)

  • 김두미;김보경;권오윤;박경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213-22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밸런스 테이핑 요법이 노인의 무릎 통증과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은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로 자료수집은 2014년 12월 5일부터 10일까지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노인여가복지시설을 이용하며 무릎 통증이 있는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n=21)에게는 슬관절 밸런스 테이핑을 적용하였고, 대조군(n=19)에게는 테이핑 적용을 하지 않았다. 두 군의 무릎 통증 및 관절가동범위를 중재 전, 중재 1시간 후, 중재 24시간 후에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chi}^2$ test,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test, t-test,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조군에 비해 슬관절 밸런스 테이핑 요법을 받은 실험군에서 무릎 통증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F=34.03, p<.001), 무릎 관절가동범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F=7.83, p=.006). 본 연구를 통해 슬관절 밸런스 테이핑 요법이 노인의 무릎 통증에 적용 가능한 독자적인 간호중재임을 확인하였다.

향 흡입법이 슬관절 전치환술 여성노인 환자의 수동적 관절운동 시 통증, 불안 및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roma inhalation on pain, anxiety, and heart rate variability among elderly women with total knee arthroplasty during continuous passive motion exercise)

  • 박소영;김태임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6호
    • /
    • pp.1383-1402
    • /
    • 2017
  • 본 연구는 버가못, 라벤더, 자스민을 혼합한 향유를 사용한 향 흡입법 중재프로그램이 슬관절 전치환술 여성노인 환자의 수동적 관절운동 시 통증, 불안 및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설계를 이용한 순수 실험연구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D 광역시에 소재 일 관절전문병원에서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고 수동적 관절운동을 처음 시작하는 여성노인 환자 총 53명 (실험군 26명, 대조군 27명) 이었다. 실험군에게는 수동적 관절운동 시 버가못, 라벤더, 자스민을 혼합한 향유를 4*2 inch 거즈에 3방울을 떨어뜨려 향 흡입법을 적용하였으며, 대조군은 향유 대신 증류수를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향 흡입법 중재프로그램은 슬관절 전치환술 여성노인환자의 수동적 관절운동 시 통증완화와 불안을 경감시키는 데 안전하고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통증과 불안을 완화시키는 독자적 간호중재로 간호 실무에 확대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