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인

Search Result 4,54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Design and Fabrication of Multilayer Diplexer for Dual Band GSM/DCS Applications using Lumped Elements (집중 소자를 이용한 이중 대역 GSM/DCS용 적층형 다이플렉서의 설계 및 제작)

  • 심성훈;강종윤;최지원;윤영중;김현재;윤석진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40 no.11
    • /
    • pp.1090-1095
    • /
    • 2003
  • In this paper, the modeling and design of high-Q multilayer passives and multilayer diplexer for GSM/DCS applications designed and fabricated using these passives have been investigated.. To miniaturize the system, configurations of inductor and capacitor have involved a square spiral structure and a vertically-interdigitated capacitor similar to 3D interdigital structure, respectively. Multilayer diplexers for GSM/DCS applications were designed and fabricated to apply high-Q multilayer passives to practical systems, which were designed by the proposed structural and equivalent circuit model. LPF for GSM band had the passband insertion loss of less than 0.55 dB, the return loss of more than 12 dB, and the isolation level of more than 26 dB by locating attenuation pole at 1800 MHz. HPF for DCS band had the passband insertion loss of less than 0.82 dB, the return loss of more than 11 dB, and the isolation level of more than 38 dB by locating attenuation pole at 930 MHz.

Assessment of River Flow at Jindong of the Nakdong River Using Low Flow Indices (갈수지표를 활용한 낙동강 진동지점의 유량평가)

  • Park, Jungsool;Kim, Keuksoo;Han, Manshin;Hong, Sunghun;Choi, Ky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01-601
    • /
    • 2015
  • 비홍수기 하천유량관리는 정해진 기준 이상으로 유량을 유지하는 데 목적을 두며 유량관리를 위한 기준유량으로는 하천유지유량이나 하천관리유량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 기준유량과 함께 최근에는 하천 유량 변화를 효과적으로 파악하고 유량변화에 따른 갈수상황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의사결정 도구로 갈수지표가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주요 홍수예보지점의 하나인 진동지점을 대상으로 유량자료를 수집하고 갈수지표를 이용한 유량평가를 실시하였다. 다양한 갈수지표 중 특정기간을 대상으로 일정시간 가장 낮은 유량을 갈수지표로 활용하는 기법과 동일기간 유량자료의 저유량백분위 기준을 적용하여 이를 갈수임계값으로 활용하는 기법을 적용하였다. 전자는 7Q10(Singh, 1974)이 대표적이며 이는 10년 중 가장 낮은 값을 갖는 7일의 유량이 갈수의 기준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7Q10의 기간을 20년으로 확대한 7Q20을 적용하였다. 후자는 WMO(2008)에서 적용된 바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1~12월의 월별 저유량90분위(Q90)를 갈수임계값으로 선정하였다. 신뢰할 수 있는 장기유량자료의 활용을 위해 "장기 수문자료 검증 및 평가연구"(한강홍수통제소, 2011)를 통해 수정, 보완된 진동지점의 과거 20년간(1994~2013) 유량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갈수지표와 함께 유량관리를 위한 기준유량으로 활용되는 하천유지유량(2006년 고시)과 하천관리유량(2013년 기준)의 유량만족도를 비교하였다. 과거 가뭄발생 및 제한급수시기, 강수량 등과 비교했을 때 월별 갈수임계값(Q90)을 갈수지표로 활용한 경우가 갈수관리에 효과적이라 판단되었다. 해당 기법은 통계학적 유의성을 갖기 위해서 장기수문자료의 활용이 필요하나 유량의 시계열 변동특성 반영이 가능하므로 우리나라와 같이 갈수기와 홍수기의 구분이 명확하고 하상계수가 큰 지역에서는 장점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Using Flood Inundation Map of Yeongsan and Seomjin River Basin for Coping with Disaster (영산·섬진강 권역 홍수위험지도의 재난대응 활용)

  • Kwon, Minsung;Jung, Chung Gil;Lee, Joonho;Gang, Donghoon;Choi, Kyuhyun;Kim, Kyu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97-497
    • /
    • 2022
  • 홍수위험지도는 홍수발생시 예방되는 침수범위와 침수깊이를 나타내는 지도로 2009년 영산강수계(237.53 km), 2016년에 섬진강수계(251.06 km) 국가하천의 홍수위험지도가 제작되었고, 2021년 영산·섬진강권역 지방하천(4521.31 km) 홍수위험지도가 제작됨으로써 영산·섬진강권역 홍수위험지도 제작이 모두 완료되었다. 홍수위험지도 제작은 GIS 범람해석, 1차원 및 2차원 수치모형으로 구분할 수 있따. GIS 범람해석은 제내지의 지형 수치표고모델(DEM) 등을 활용하여 지형자료를 구축하고, 측점별 홍수위를 이용한 홍수위 DEM을 작성한 후 각 DEM의 고도차를 계산하여 홍수범람구역을 도시하는 방법이다. 도심지 또는 주거지를 관류하는 하천에 대해서는 제방의 편안 파제를 가정하여 FLUMEN모형을 이용한 2차원 범람분석 또는 HEC-RAS모형을 이용한 1차원 범람분석 방법 적용한다. 위와 같은 분석 방법으로 도출된 침수 결과는 제방 월류 및 제방 유실 등의 극한 상황을 가정한 것으로, 2020년 섬진강 대홍수 홍수피해 침수구역과 홍수위험지도의 침수구역의 겨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하천홍수로 발생할 수 있는 피해의 규모를 예측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측정보는 방재계획 수립 및 홍수대응에 활용도가 높을 것이다. 홍수위험지도는 홍수위험지도정보시스템(www.floodmap.go.kr)에서 누구나 확인이 가능하며, 지자체 방재담당자는 회원가입을 통해 홍수위험지도 전산파일 및 보고서 등을 받을 수 있다. 방재담당자는 홍수위험지도의 침수구역을 바탕으로 대피계획을 수립하고, 집중호우로 인한 하천수위 상승 시 홍수위험지도의 침수구역을 중심으로 방재활동을 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Regular TV Programs Regarding Reunification and North Korea in Korean Broadcasting (통일 및 북한관련 지상파 텔레비전 정규 프로그램 연구: KBS의 <남북의 창>과 MBC의 <통일전망대> 분석을 중심으로)

  • Park, Joo-Yeun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Studies
    • /
    • v.20 no.1
    • /
    • pp.43-68
    • /
    • 2012
  • Reunifi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values that the South Korea should pursue, and Korean broadcasting takes duties as a social communicator to practice the reunification ideology. In the context of multi-channel, multi platform broadcasting system, reunification should be emphasized as fundamental broadcasting principles.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regular programs which cover North Korea and reunification in KBS and MBC from 2001 to 2010 in order to show the practices of the reunification ideology in Korean broadcas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ses programs should make efforts to find new material and develop a new program formats. In addition, there should be various genres of reunification programs in order to deliver reunification issues in more interesting ways. TV programs regarding reunification need to be designated as mandatory program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practical suggestions and policy considerations for the practice of reunification ideology in Korean Broadcasting.

Studies on the Red-Yellow Soils in Honam Rolling Area: The morphology,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Yesan and Songjeong series (호남야산(湖南野山)에 분포(分布)하고있는 적황색토(赤黃色土)에 관(關)한 연구(硏究) - 예산통(禮山統) 및 송정통(松汀統)의 형태적(形態的) 및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에 관(關)하여 -)

  • Chae, Sang Suk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6 no.1
    • /
    • pp.1-8
    • /
    • 1973
  • This study examined the morphological,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Yesan and the Songjeong series derived from residuum of the granite developed on gently sloping to rolling relief in Honam reclamable land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Yesan series, the surface soils(Ap horizons) are brown to dark brown sandy loam. The subsoils(B horizons) are yellowish red to red sandy clay loam to sandy loam and the soil profile development is weak. The Songjeong series, the surface soils (Ap horizons) are washed by erosion, so the subsoils are revealed on the surface, and these are dark red silty clay loam. The subsoils (B horizons) are red silty clay loam and thin clay cutans are formed on the ped faces of the structure. The substrata of two soil series are deeply weathered granitic saprolite. 2.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The distribution of clay content tends to increase from surfaces to subsoils with depth gradually. On the Yesan series, the content of clay is less than 18%, soil pH (6.0 in the surface-soil, 4.5-5.0 in the subsoil), the content of organic matter (1.8% in the surface soil, 0.1~0.4% in the subsoil), available phosphate (40 ppm), the cation exchange capacity(4~8 me/100 gr) are very low, and the base saturation (57.8% in the surface soil, 46.3% in the subsoil) is moderate. On the Songjeong series, the content of clay is 30~40%, pH (5.7-6.0), the content of in organic matter (1.25% in the surface soil, 0.1~0.4% in the subsoil), available phosphate(4 ppm), the cation exchange capacity(6.2 me/100 gr in the surface soil, 2~6 me/100gr in the subsoil) are very low, and the base saturation(28.1% in the surfacesoil, 16~23% in the subsoil) is also low. 3. The Yesan and Songjeong series are for med under a temperate humid climate, and classified as Red Yellow Soils in the old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U.S.D.A. 7th approximation the former belongs to Typic Dystrochrepts in Inceptisols, and the latter, Typic Hapludults in Ultisols.

  • PDF

A Study of the Making of Ornamental Metal Quiver Fittings in the Ancient Tombs of Jeongchon, Bogamri, Naju (나주 복암리 정촌 고분 출토 화살통 장식의 제작 방법 연구)

  • Lee, Hyeyou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3 no.2
    • /
    • pp.242-253
    • /
    • 2020
  • Six ornamental metal quiver fittings were excavated from stone chamber No.1 of the ancient tombs of Jeongchon, Bokam-ri, Naju. The ornamental quiver fittings are metal, but the body of the quiver was made of organic material, so that it corroded and disappeared in the burial environment. The ornamental metal quiver fittings were made in pairs, and decorated one quiver according to the location they were found in and their forms. The ornamental metal quiver fitting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A band style ornament (帶輪狀金具) which decorates the arrow pouch, and a board style ornament (板狀金具) which decorates the board connecting the waist belt. Two ornamental metal quiver fittings excavated from wooden coffin 2 of stone chamber No.1, were made in the band style, while the ornamental metal quiver fittings from southeast of stone chamber No.1 were identified as two boardstyle ornaments and two band-style ornaments for what was presumed to be belt loops. Material analysis of the ornamental metal quiver fittings shows that they are made of a gilt bronze plate attached to an iron plate, and the surface is marked with a speck of chisel to make lines and patterns. Chemical composition analysis (XRF) established that 24~40wt% Au and 50~93wt% Cu were detected on the gold surface, and it was confirmed that bronze corrosion had taken place on the gilt surface. SEM-EDS analysis of the gold plating layer identified a working line for glossing, and 7~9wt% Hg and an amalgam of gilt layers was detected, confirming the amalgam gilding. CT and FT-IR analysis established that the band style was double-layered with silk fabric under the iron plate, and there was also a lacquer piece underneath. The band-style ornaments have two layers of silk under the iron plate, along with lacquer pieces. Adding the fabric to the arrow pouch increases adhesion and decorative value. It is assumed that the lacquer pieces indicate that the surface of the lacquered arrow pouch had fallen together with the ornaments. On the other hand, the board-style ornaments have a thick layer of organic matter under the iron plate, but this is difficult to identify and appears to be a remnant of the quiver boar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ornamental metal quiver fittings were similar in Baekje, Silla, and Gaya cultures from the late 4th to the late 5th centuries, and enable us to identify the art of ancient gold craftwork at that time.

A Study on Effects of Breeding Combination for Feeding and Economic Analysis in Broiler Stock (육용종계의 교배조합이 실용계의 사양과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

  • 박준영;오세정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7 no.1
    • /
    • pp.31-42
    • /
    • 1980
  • In order to identify the best superior cross combination of breeder stocks for broiler production, combining ability test and analyses of phenotypic performances for parent stocks were examined on records of 1,440 broiler chicken which were produced from 4 parental strains and 3 maternal strains at Hanhyup Poultry Breeding Farm from September 28, 1978 to January 5, 1979.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t found heterosis effect in viability but it seems to be desirable to select Hubbard strain in paternal line to improve viability. 2. As the paternal and maternal lines, selection of Ross strain showed the best paternal and maternal performance and the best general combining ability in body weight at 8 weeks of age is expected to be able to improve body weight of it s crossbred And the most superior cross combinations based on the specific combining ability and performance of rack crossbred were identified as Hubbard x Ross ana Ross x Hypeco crossbreds. 3. The best paternal and maternal lines on the smallest feed consumption for 8 weeks were Hubbard and Ross strains, and Hypeco strain, respectively. Especially Hubbard x Hypeco cross combination was proved as the smallest feed consumption compared with other cross combinations. 4. In feed requirement per Kg body weight increase, Hubbard strain for paternal line, Hypeco strain for naternal line, and cross combinations of Hubbard x Hypeco, Hubbard x Ross and Ross x Hypeco were certified as the most superiors. 5. Also superior cross combinations of Hubbard x Hypeco and Hubbard x Ross earned the most profit per bird through economic analysis. According to results as shown above, this experiment seems to be able to reach a such conclusion that production of superior cross combinations Hubbard x Ross, Hubbard x Hypeco and Ross x Hypeco through selection of Ross and Hubbard strains to paternal line and Hypeco and Ross strains for maternal line may become to considerable improvement for important economic characters of broiler; viability, body weight, feed consumption and feed requirement.

  • PDF

Estimation of Un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by Tension Infiltrometer (Tension Infiltrometer를 이용한 불포화수리전도도의 추정)

  • Hur, Seung-Oh;Jung, Kang-Ho;Ha, Sang-Keon;Kim, Je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80-188
    • /
    • 2006
  • 수리 전도도는 hydraulic gradient에 대한 flux의 비율 또는, flux-hydraulic gradient 직선의 기울기를 나타내며, 포화된 토양에서의 물의 이동이 포화수리 전도도이고 불포화된 토양에서의 이동이 불포화수리전도도이다. 일반적인 밭 상태에서의 토양수분 조건은 불포화수리 전도도로 표시하는 것이 적절하나 그 상태를 표현하기가 쉽지 않다. 토양의 불포화 상태를 나타내는데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VGM(van Genuchten Mualem) 모형은 토양수분 포텐셜과 수분함량의 함수로 구성된 모형이며 몇 가지 매개변수가 필요하다. VGM 모형의 매개변수를 얻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VGM 모형의 매개변수를 계산해주는 프로그램인 Rosetta를 사용하였다. Rosetta 모형은 신경그물 얼개(neural network)를 이용하여 토양의 물리적 자료들인 토성이나 모래, 미사, 점토 함량 또는 용적밀도나 33kPa, 1500kPa에서의 토양수분 함량 자료를 가지고 VGM의 매개변수인 Ko(effective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theta}r$(residual soil water content), ${\theta}s$(saturated soil water content), L, n, m(=1-1/n)을 예측하는 모형으로 미국 농무성(USDA-ARS)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다. Rosetta를 이용하여 10kPa에서의 불포화수리 전도도를 예측하였다. 또한 Gardner(1958)와 Wooding (1968)의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만들어진 tension infiltrometer의 포화수리 전도도 값을 Gardner 식에 적용하여 1, 3, 5, 7kPa에서의 불포화수리 전도도 값을 17개 토양통을 대상으로 하여 구했다. 토양수분 potential이 3kPa에서는 물의 이동이 거의 없는 토양들이 있었는데 반해 남계통을 비롯한 학곡통, 회곡통, 백산통, 상주통, 석천통, 예산통 등 7개의 토양은 3kPa에서도 약간의 물의 이동이 있었다. 이는 모암이 화강 편마암인 관계로 토양 내에 물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자갈의 함량이 높았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되고 추후의 연구에서는 이 부분에 대한 내용도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1kPa에서 물의 이동은 삼각통에서 35.21 cm/day로 이동 속도가 가장 컸으며 그 뒤로 예산통, 화봉통, 학곡통, 백산통 등이 토양에서 빠른 속도로 이동하였다. 가천통이나 석천통 및 우곡통은 1kPa에서의 이동 속도가 아주 느린 토양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포화되지 않은 상태인 1kPa에서 물의 이동 속도를 VGM 모형에 의해 예측된 값과 측정된 값으로 비교하였을 때 불포화 수리 전도도가 예측되지 않은 토양(석천통, 지곡통, 풍천통)이 존재하여 불포화 수리 전도도 특성평가에 대한 VGM 모형의 적용성에 문제를 보였다. 이는 결과적으로 논이라는 영농형태가 존재하는 우리나라에서 토양의 수리적 특성해석을 위한 VGM 모형의 적용성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Is Radar Rainfall Acceptable to Hydrologic Application? (레이더 강우가 수문모형의 적용에 적합한가?)

  • Lee, 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200-203
    • /
    • 2006
  • 지역의 공간 분포가 내포된 고해상도의 지상강우량을 추정하기 위해서 강수와 구름 입자(고체와 액체)의 양과 성질을 반영한 기상레이더의 반사도(reflectivity) 자료로부터 지상강우강도로 환산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된다. 반사도 (reflectivity) 자료로부터 지상강우강도로 환산하는 핵심은 Z-R 관계식으로, 이 Z-R 관계식의 매개변수 a와 b의 결정이 중요하다. 그러나, 지상우량 관측소에서 측정되는 강우량 자료는 지상에서 관측된 강우자료이나, 레이더에서 추정되는 강우량은 상공 (이 연구에서는1.5km)에서 관측한 반사도로 추정되는 값으로 이에 상응하는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보정하는 기법이 이용된다. 수계내의 정확한 유출량을 모의계산하기 위하여 수문수치모형이 이용되며, 이의 보다 정확한 수치결과를 모의하기 위해서 레이더 강우추정을 사용하여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상청에서 운영하는 레이더 반사도 자료를 사용하여 용담/남강유역 내에서 2002-2004년의 집중호우에 대해 Z-R 관계식을 추정하고, 유역 내 평균 강우량과 지상관측 강우량의 비 (G-R비)를 이용한 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보정을 함으로써 추정된 평균 강우량의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이렇게 추정된 레이더 강우는 지상관측지점 강우만으로 보간 된 강우(gauge-only interpolation)와 비교 되어, 레이더강우의 정확성과 적용성이 수문모형에 적합한가를 평가해 보았다. 공간적 분포의 특성을 내포하며 강우예측 (Quantitative Precipitation Forecasting)에 이용될 수 있다는 잇점은 있으나, 레이더 강우 추정은 정확성과 적용성에 많은 의문점을 남긴다.리 전도도 값을 Gardner 식에 적용하여 1, 3, 5, 7kPa에서의 불포화수리 전도도 값을 17개 토양통을 대상으로 하여 구했다. 토양수분 potential이 3kPa에서는 물의 이동이 거의 없는 토양들이 있었는데 반해 남계통을 비롯한 학곡통, 회곡통, 백산통, 상주통, 석천통, 예산통 등 7개의 토양은 3kPa에서도 약간의 물의 이동이 있었다. 이는 모암이 화강 편마암인 관계로 토양 내에 물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자갈의 함량이 높았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되고 추후의 연구에서는 이 부분에 대한 내용도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1kPa에서 물의 이동은 삼각통에서 35.21 cm/day로 이동 속도가 가장 컸으며 그 뒤로 예산통, 화봉통, 학곡통, 백산통 등이 토양에서 빠른 속도로 이동하였다. 가천통이나 석천통 및 우곡통은 1kPa에서의 이동 속도가 아주 느린 토양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포화되지 않은 상태인 1kPa에서 물의 이동 속도를 VGM 모형에 의해 예측된 값과 측정된 값으로 비교하였을 때 불포화 수리 전도도가 예측되지 않은 토양(석천통, 지곡통, 풍천통)이 존재하여 불포화 수리 전도도 특성평가에 대한 VGM 모형의 적용성에 문제를 보였다. 이는 결과적으로 논이라는 영농형태가 존재하는 우리나라에서 토양의 수리적 특성해석을 위한 VGM 모형의 적용성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 PDF

The Research Trends and Agendas of Geography for Unification in Korea (통일지리학의 연구동향과 과제)

  • Lee, Minboo;Kim, Kirl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1 no.6
    • /
    • pp.873-892
    • /
    • 2016
  • 2015 was the seventieth year from the liberation and the division of Korean peninsular. Although the research on the unification has been performed in various interdisciplinary fields since the liberation of Korea, the geographic research on the unification based on the space stays in a minority. It is time to wrap up the literatures and discourses centered on geography for preparing the unification and taking a view of Korean territory of future unification. The starting point is to define the concept of the geography for unification and give careful consideration to the geograph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unification that has been achieved since the liberation of Korea. The geography for unification should be understood in the concept of time and space. First of all, the geography for unification can be composed of the stages such as the research for unification, the research for unification impact, the research for united Korea, and the geopolitics of East Asia under the concept of time. It also can be divided into the regions such as Korea, North Korea, borderlands between North Korea-China and North Korea-Russia including South and North Korea, and North East Asia and Pan Pacific Ocean. The geographic research on the unification embracing the concept of time and space can be defined as the geography for un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icit the concept and the research field of the geography for unification in the perspective of discourse,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by geographic themes, and suggest the agendas of the geography for future unifi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