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사규칙

Search Result 3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Maximally Efficient Syntactic Parsing with Minimal Resources (최소자원 최대효과의 구문분석)

  • Shin, Hyo-Pi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242-248
    • /
    • 1999
  • 이 논문은 지역적 동사구 분할에 바탕을 두고 서술어가 문말에 위치하는 언어에 특성에서 기인하는 속성을 반영하는 부분적 그러나 빠른 구문분석에 관해 논한다. 즉 완벽성 보다는 신속함 그리고 신뢰에 바탕을 둔 새로운 한국어 구문분석에 대해 논의한다. 기존의 문법이론 대신 한국어의 형태적 통사적 특성에 기인한, 성분들의 분할(partitions)에 의한 단위 (chunks) 분석방법을 제안한다. 근간은 동사구 장벽(VP-barrier) 알고리즘이며, 이 알고리즘은 한 문장안에서의 다양한 동사의 파생접사에 의해 형성되는 관형화, 명사화, 부사화 등의 파생구조와 내포된 동사구(인용문, 종속문 등)에 의해 형성되는 지역적 동사구내에서 그 성분들의 논리적인 분할을 구성하고 다시 그 다음 요소와 체계적으로 결합하는 관계로 확장하여 가능한 구조들을 생성한다. 다시 언어의존적인 발견적 규칙(heuristics)들을 점수화하여 가장 높은 점수의 단위구조를 적격한 구조로 선택한다. 이 방법은 하위범주화 및 의미정보를 사용하지 않는, 빠른 구문분석이 요구되는 시스템을 위해 고안되었으며, 집단적인 노력이 아닌 개인적인 노력 및 최소의 자원으로도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PDF

moHANA: Morphological Hangul Analyzer using Multi-Dimensional Analysis Dictionary (moHANA: 다차원 해석 사전을 기반으로 한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

  • Seo, SeungHyeon;Kang, In-Ho;Kim, JaeD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7.10a
    • /
    • pp.99-106
    • /
    • 2007
  • 본 연구는 국어의 모든 언어적 특성을 기술하고 이를 실제 형태소 분석에 적용할 수 있도록 다차원 해석 사전을 이용하는 형태소 분석 시스템인 moHANA(Morphological Hangul Analyzer)에 관한 연구이다. moHANA의 해석 사전은 태그정보 사전, 어휘 사전 그리고 문법 사전으로 구성된다. 태그정보 사전은 기존 형태소 해석기의 일차원적인 품사 정보와 달리 어류 태그정보, 형태적 정보, 통사적 정보, 의미적 정보 및 화용 정보의 5 차원 벡터 정보로 작성된다. 어휘 사전은 어휘와 그 어휘가 가질 수 있는 태그정보를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순서열로 가지며, 문법 사전은 특수 문법 연산자를 이용하여 태그정보 사전에 정의된 각각의 태그가 연결 가능한지 여부를 규정하는 문법이 구축되어 있다. 형태소가 가지는 태그정보를 다차원으로 정의하고 이에 따른 문법 규칙의 표현을 통해 보다 자세한 형태소 분석 및 새로운 형태소 태그의 삽입과 삭제의 용이함을 얻을 수 있다.

  • PDF

The Part-of-Speech Ambiguity Problems in Morphological Analysis (형태 분석에서의 품사 중의성 문제)

  • Lee, Young-Je;Kang, Beom-M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4.10d
    • /
    • pp.264-269
    • /
    • 2004
  • 이 연구는 한국어의 형태 분석(Morphological Analysis) 과정에서 도출되는 품사 중의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강승식(2002)에서는 품사 중의성 문제를 품사 체계의 대 중 소분류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나누고, 이를 1 2 3차 품사 중의성으로 구분하였다. 본고에서는 이에 해당하는 예를 각각 명사-부사 통용어, 보조용언 구성, 고유명사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들의 중의성 문제 해결에 필요한 방법들을 형태적, 통사적 조건들을 중심으로 설정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통용어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통 용어를 표시할 수 있는 중간표지를 부여하는 방법을 주장할 것이다. 그리고 본용언과 중의성을 보이는 보조용언구성에서는 본용언간의 결합 관계도 함께 고려한 규칙을 제안하는 바이며, 고유명사의 중의성 문제는 고유명사의 범위를 '특정한 개체성'을 지니는 것으로 제한함으로서 실제 형태 분석에서의 모호성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주장할 것이다.

  • PDF

Deciding on Inflectional Classes in a Word-and-Paradigm Morphology (낱말.패러다임 형태론에서의 굴절 부류 설정)

  • No, Yung-Kyo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3.10a
    • /
    • pp.405-411
    • /
    • 1993
  • 한국어 동사의 굴절은 (1) 접사의 누적 (2) 어간과 접사의 변이형 (allomorphy) (3) 원격한 접사의 꼴이 어간에 민감한 점 등의 이유로 단순한 접사 추출(affix-stripping)에 의한 형태소 분석이 감당하기 어려운 부분을 갖고 있다. 따라서 형태소에 바탕을 둔 형태이론보다 더 세련된, 낱말에 바탕을 둔 형태이론이 요구되는데, 이 논문에서는 "낱말 패러다임 형태이론 (Word and Paradigm Morphology)"에서 실현규칙(rules of realization)이 언급하는 요소 중의 하나인 굴곡 부류(inflectional classes)가 어떻게 설정되어야 할 것인가를 다룬다. 특정한 형태 통사적 속성들(morpho-syntactic properties)이 실현될 때 (1) 주요 어간(primary stem)이 요구되느냐 아니면 부차 어간 (secondary stem)이 요구되느냐, 그리고 (2) 접사의 어떤 꼴이 요구되느냐에 바탕을 두고 한국어의 동사를 열 다섯개의 굴절 부류로 분류한다.

  • PDF

Emotion Classification in Song Lyrics using the Emotion Ontology (감정 온톨로지를 활용한 노래 가사의 감정 분류)

  • Kim, Min-Ho;Kwon, Hyuk-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340-343
    • /
    • 2011
  • 음악 감정 분류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템포, 박자, 음정, 음표, 리듬 등과 같은 음악의 멜로디와 관련된 자질을 이용하여 음악 감정을 분류하였다. 그러나 노래(Song)와 같이 가사를 포함한 음악은 같은 스타일의 멜로디라도 가사의 내용에 따라 음악에 대하여 청자가 느끼는 감정이 크게 다르다. 본 논문에서는 감정 온톨로지를 활용하여 노래 가사를 감정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기구축 된 감정 온톨로지를 바탕으로 네 가지 통사적 규칙을 적용하여 노래 가사로부터 감정 자질을 추출한다. 추출된 감정 자질을 이용하여 Naive Bayes, HMM, SVM과 같은 기계학습 기법을 이용하여 8개 감정 그룹에 대해 58.8%의 정확도를 보였다.

A Study on Segmentation Unit for the Real-tim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실시간 동시통역 시스템 개발을 위한 통역 분절단위 연구)

  • Koo, Youngeun;Kim, Jiyoun;Hong, Jungpyo;Hong, Munpyo;Choi, Sung-Kw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229-235
    • /
    • 2019
  • 동시통역에서는 번역이 즉각적으로 빠르게 이루어지면서 원천텍스트의 의미가 정확히 전달되는 것이 핵심이다. 따라서 실시간 동시통역 시스템의 개발을 위해서는 번역정확도와 번역속도가 균형적으로 최적을 이루는 지점에서 분절하는 방법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운율 정보, 문법·통사 규칙, 의미 단위, 담화구조 표지, 분절단위의 길이 등 다양한 언어학적 자질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론을 검증하는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영한 데이터는 82%, 한영 데이터는 90%의 정확도를 보였다.

  • PDF

THE Theory of Barriers and Licensing Condition (장벽이론과 인가조건)

  • 나병모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 no.1
    • /
    • pp.109-142
    • /
    • 1990
  • The present pater aims to review Barriers framework proposed by chomsky(1986b) to point out some potential problems and to give an alternative definition of barriers.Chomsky assumes that adjunction to non-argument is possible for syntactic movement But this assumption results in overgeneration of ungrammatical sentences.We do not allow any adjunction in syntax,and abandin the Empty Category Princile,instead we propose Head Licensing Cindition and Antecedent Condition.HLC requires empty non-proneminals to be marked by head either lexical or functional and AC states that traces should be 0-subjacent to their antecedents.

A Dynamic Link Model for Korean POS-Tagging (한국어 품사 태깅을 위한 다이내믹 링크 모델)

  • Hwang, Myeong-Jin;Kang, Mi-Young;Kwon, Hyuk-Chu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7.10a
    • /
    • pp.282-289
    • /
    • 2007
  • 통계를 이용한 품사 태깅에서는 자료부족 문제가 이슈가 된다. 한국어나 터키어와 같은 교착어는 어절(word)이 다수 형태소로 구성되어 있어서 자료부족 문제가 더 심각하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교착어 문장을 어절 열이 아니라 형태소의 열이라 가정한 연구도 있었으나, 어절 특성이 사라지기 때문에 파생에 의한 어절의 문법 범주 변화 등의 통계정보와 어절 간의 통계정보를 구하기 어렵다. 본 논문은 효율적인 어절 간 전이확률 계산 방법론을 고안함으로써 어절 단위의 정보를 유지하면서도 자료부족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확률 모델을 제안한다. 즉, 한국어의 형태통사적인 특성을 고려하면 앞 어절의 마지막 형태소와 함께 뒤 어절의 처음 혹은 끝 형태소-즉 두 개의 어절 간 전이 링크만으로도 어절 간 전이확률 계산 시 필요한 대부분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문맥에 따라 두 링크 중 하나만 필요하다는 관찰을 토대로 규칙을 이용해 두전이링크 중 하나를 선택해 전이확률 계산에 사용하는 '다이내믹 링크 모델'을 제안한다. 형태소 품사 bi-gram만을 사용하는 이 모델은 실험 말뭉치에 대해 96.60%의 정확도를 보인다. 이는 같은 말뭉치에 대해 형태소 품사 tri-gram 등의 더 많은 문맥 정보를 사용하는 다른 모델을 평가했을 때와 대등한 성능이다.

  • PDF

Emotion Recognition from Natural Language Text Using Predicate Logic Form (Predicate Logic Form을 이용한 자연어 텍스트로부터의 감정인식)

  • Seol, Yong-Soo;Kim, Dong-Joo;Kim, Han-Woo;Park, Ju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411-412
    • /
    • 2010
  • 전통적으로 자연어 텍스트로부터의 감정인식 연구는 감정 키워드에 기반한다. 그러나 감정 키워드만을 이용하면 자연어 문장이 원래 갖고 있는 통사정보나 의미정보는 잃어버리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자연어 텍스트를 Predicate Logic 형태로 변환하여 감정 정보처리의 기반데이터로 사용한다. Predicate Logic형태로 변환하기 위해서 의존 문법 구문분석기를 사용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Predicate 데이터 중 감정 정보를 갖고 있는 Predicate만을 찾아내는데 이를 위해 Emotional Predicate Dictionary를 구축하였고 이 사전에는 하나의 Predicate마다 미리 정의된 개념 클래스로 사상 시킬 수 있는 정보를 갖고 있다. 개념 클래스는 감정정보를 갖고 있는지, 어떤 감정인지, 어떤 상황에서 발생하는 감정인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자연어 텍스트가 Predicate으로 변환되고 다시 개념 클래스로 사상되고 나면 KBANN으로 구현된 Lazarus의 감정 생성 규칙에 적용시켜 최종적으로 인식된 감정을 판단한다. 실험을 통해 구현된 시스템이 인간이 인식한 감정과 약 70%이상 유사한 인식 결과를 나타냄을 보인다.

  • PDF

Constructivist interpretation on the modal logic (양상 논리에 대한 구성주의적 해석)

  • Eun, Eun-suk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16
    • /
    • pp.257-280
    • /
    • 2010
  • I try to formalize the system of modal logic and interpret it in view of constructivism through this study. As to the meaning of a sentence, as we saw, Frege endorsed extensions in view of the fact that they are enough to provide for a compositional account for truth, in particular that (1) the assignment of extensions to expressions is compositional ; (2) the assignment of extensions to sentences coincides with the assignment of truth values. But nobody would be willing to admit that a truth value is what a sentence means and that consequently all true sentences are synonymous. So, if what we are after is meaning in the intuitive sense, then extensions would not do. This consideration has later become the point of departure of modal and intensional semantics. So, it is clear that the language of modal logic do not allow for an extensional interpretation. ${\square}$ is syntactically on a par with ${\vdash}$, hence within the extensional framework it would have to denote a unary truth function. This means that if modal logic is to be interpreted, we need a semantics which is not extensional. The first attempt to build a feasible intensional semantics was presented by Saul Kripke. He came to the conclusion that we must let sentences denote not truth values, but rather subsets of a given set. He called elements of the underlying set possible world. Hence each sentence is taken to denote the set of those possible world in which it is true. This lets us explicate necessity as 'truth in every possible world' and possibility as 'truth in at least one possible world'. But it is clear that the system of modal logic is not only an enlargement of propositional logic, as long as the former contains the new symbols, but that it is of an other nature. In fact, the modal logic is intensional, in that the operators do not determine the functions of truth any more. But this new element is not given a priori, but a posteriori from construction by logic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