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과 유량

Search Result 26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nalytic Solution of Electrostatic Precipitator′s Collection Efficiency for Polydisperse Aerosol (다분산 에어로졸에 대한 전기집진 효율의 해석해)

  • 정창훈;박현설;이규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04a
    • /
    • pp.297-298
    • /
    • 2002
  • 전기집진기(ESP)는 보일러, 소각로등 많은 산업 공정에서 발생되는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가장 널리 쓰이는 ESP의 집진효율을 예측하기 위한 수식으로는 Deutsch-Anderson식으로 다음과 같다.(equation omitted) 여기서 η는 포집효율, Ac는 집진판의 표면적(surface area), Ve는 전기집진기 내 입자의 유효 이동속도(effective migration velocity), 그리고 Q는 단위면적을 통과하는 가스의 부피 유량이다. (중략)

  • PDF

Measurement of 100nm Polystyrene Latex sphere using electrical classification method (전기 이동도를 이용한 NIST100nm PSL입자의 측정기술개발)

  • 안강호;안진홍;윤진욱
    • Proceedings of the Korea Crystallographic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56-56
    • /
    • 2002
  • 100 nm 이하의 구형입자를 짧은 시간에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하전된 입자를 전기장내에 투입한 후 이의 이동도를 측정하였다. 100 nm의 표준 입자를 초순수에 분산시킨 후 Collison atomizer를 이용하여 입자를 공기중에 분산시켰다. 이후 입자를 건조시킨 후 입자의 분산과정에서 하전된 입자를 방사능 전기 중화장치를 통과시켜 입자의 하전을 기저상태로 만들었다. 이 후 입자를 전기 이동도 측정장치에 투입한 후 전기 이동도 측정장치의 유량과 전압을 조절하면서 입자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 PDF

Design of exhauster system for high efficiency drive(I) (배풍기 효율 최적화를 위한 시스템 설계(I))

  • Bae, Jinhwan;Ahn, Jinw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07a
    • /
    • pp.280-281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배풍기 효율을 높이고 크기를 줄이기 위해 임펠러의 속도를 높이는 설계에 관한 연구다. 임펠러 속도는 5500rpm으로 증가시키고 크기는 320mm에서 250mm로 줄였으며 효율과 최대 풍량을 향상키기기 위해 임펠러의 Hub/Tip 비율을 줄이며, 날개각도에 변화를 주는 방식을 제안한다. Hub/Tip 비율이 줄어들면 유량이 통과하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되고, 임펠러 중심거리에 따른 날개 각도를 변화시키면 풍압과 풍량이 달라지는 효과를 얻게 되어 동일한 rpm으로 회전하는 배풍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설계된 구동용 SRM과 임펠러의 설계에 따른 운전 특성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해석하고자 한다.

  • PDF

Dynamic Characterization of Passive Flow-Rate Regulator Using Pressure-Dependent Autonomous Deflection of Parallel Membrane Valves (압력에 따른 평행박막 밸브의 자율 변형을 이용한 수동형 유량 제어기의 동적특성 평가)

  • Doh, Il;Cho, Young-H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5 no.8
    • /
    • pp.825-829
    • /
    • 2011
  • We performed a dynamic characterization of passive flow-rate regulators, which compensate for inlet pressure variation and maintain a constant flow rate for precise liquid control in microfluidic systems. To measure the flow rate for a short time, much less than the period of the dynamic inlet pressure, we use the particle image velocimetry (PIV) method. DI water containing fluorescent beads with a $0.7-{\mu}m$ diameter was supplied to the flow-rate regulators, and two successive images of the particles were taken by a pulse laser and a fluorescent microscope to measure the flow velocity. For a dynamic inlet pressure of frequency 60 Hz, the flow velocity was constant with an average of 0.194 ${\pm}$ 0.014 m/s as the inlet pressure varied between 20 kPa to 50 kPa. The flow-rate regulators provided a constant flow rate of $5.82{\pm}0.29\;{\mu}l/s$ in the frequency range of the inlet pressure from 1 Hz to 60 Hz.

Analysis of Baseflow through Application of SWAT-BFlow β Parameter by Flow Conditions (SWAT-BFlow의 β 매개변수 유황별 적용을 통한 기저유출 분석)

  • Jeong Yeonji;Bak Sangjoon;Lee Seoro;Lee Gwanjae;Choi Yonghun;Jeong Yechan;Lim Kyoung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00-200
    • /
    • 2023
  • 기후변화로 홍수 및 가뭄의 빈도 증가로 인해 수자원 부족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하천유량은 기저유출과 직접유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갈수기의 유량의 대부분은 기저유출로 이루어져 있다. 기저유출의 감소는 어류의 서식지 감소, 수질 악화 등 부정적인 영향을 하천 환경에 준다. 하천의 유역별로 직접유출과 기저유출을 분리하여 기저유출량을 정량적으로 산정하고 그 변동성을 해석하는 것은 유역관리에 있어 반드시 필요하다. 기저유출 분리 방법 중 BFlow (Baseflow filter program)는 유역 단위 모형인 SWAT과 연계되어 장기유출에 대한 기저유출 특성을 파악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BFlow는 유역의 특성에 따라 총 3개의 filter 중 한 개를 선택하여 하천유량에 대한 filter의 통과량으로 기저유출을 계산하며 총 세 번의 filter값을 각각 pass 1 ~ 3로 표현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pass 1, pass 2를 이용해서 기저유출을 산정하였으나 pass 2보다 pass 1의 첨두가 하천유출수문곡선의 하강부에 있는 변곡점에 접근하여 기저유출이 분리된다. 또한, BFlow에서 기저유출 분리시 단일 β parameter가 적용되며 수문곡선의 감수부에 민감도가 높은 변수이다. SWAT 모형을 통해 모의된 유출량은 실측자료를 기반으로 검,보정하였고 모의 결과의 기저유출량과 BFlow의 β parameter를 유황별로 적용한 pass 1의 기저유출량 결과를 비교하였다. 기존 SWAT 기저유출량보다 수정된 BFlow를 통해 하천유량에서 기저유량을 분리한 결과가 수문곡선감수부의 변곡점에 기저유출 첨두가 위치되는 것으로 분석되어 유황별로 β parameter를 적용시켜 감수부 특징을 반영할 수 있게 수정하였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하천 및 유역 환경 관련 정책 수립 시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stablishment of a Real-time Available Water Quantity Evaluation System Reflecting Amount of River Water Usage (하천수 사용량을 반영한 실시간 가용수량 평가체계 구축)

  • Gwon, Yong Hyeon;Kim, Kwang Hoon;Byun, Dong Hyun;Lee, Byong 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70-370
    • /
    • 2022
  • 최근 우리나라는 수자원부존량 대비 수자원이용률이 16%에 불과하며 평상시 하천의 많은 가용수량이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하천수 사용은 갈수와 가뭄시를 기준으로 허가 및 관리하고 있으며, 평상시 가용수량을 모니터링하여 하천유지유량, 하천수 사용, 환경대응 등 다양한 수요에 맞게 수량을 합리적으로 배분할 수 있는 수자원관리 체계 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역인 금강유역의 하천수 사용 및 공급 상황을 파악하고 혼합(유역·하도) 물수지를 이용하여 실시간 가용수량 평가체계를 구축하였다. 실시간 가용수량 평가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 유역의 수문상황과 기상전망(기온, 강우) 자료를 이용하여 장래기간의 강우조건(무강우, 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 ESP), 하천수 사용 및 공급계획(댐, 저수지 방류량 등) 시나리오 조건에 따른 예측기반 가용수량을 평가하였다. 대상 하천의 지류 유입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유역 물수지를 수행하고 하도 물수지를 통해 주요 지점별 하천관리유량과 가용수량을 산정한다. 또한, 유역(수계)간 물이동 및 하천수 사용 시설별 용·배수 체계를 고려하여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산정된 각 취수시설별 유입량, 사용량, 회귀수량, 하천유지유량, 하천관리유량, 유량, 가용수량 등을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GIS와 테이블 기반으로 표출하였다. 본 평가체계를 활용하여 홍수통제소에서 수원(저수, 유수)별 가용수량을 다양한 수요에 맞게 적절하게 배분하고 조정할 수 있고 추후 가뭄 등 비상상황 발생 시 용수공급조정 및 연계운영계획에 반영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Urban Inundation Analysis Model Using Dual-Drainage Concept (Dual-Drainage 개념에 의한 도시침수해석모형의 개발)

  • Lee, Chang Hee;Han, Kun Yeun;Noh, Joon W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4B
    • /
    • pp.379-387
    • /
    • 2006
  • An urban inundation model coupling an one-dimensional stormwater model,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 and a two-dimensional inundation model was developed to simulate inundation caused by the surcharge of storm sewers in urban areas. The limitation of this model which can not simulate the interaction between drainage systems and surcharged flow was resolved by developing Dual-Drainage inundation analysis model which was based upon hydraulic flow routing procedures for surface flow and pipe flow. The Dual-Drainage inundation analysis model can simulate the effect of complex storm drainage system. The developed model was applied to Dorim, catchment. The computed inundated depth and area have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data during the flood events. The developed model can help the decision support system of flood control authority for redesigning and constructing flood prevention structures and making the potential inundation zone, and establishing flood-mitigation measures.

Uncertainty Analysis of the Net Flow Discharge and Diffusion Model in Gyeonggi Bay and Han River Estuary (경기만 및 한강하구의 순유량 및 확산모형의 불확실성 분석)

  • Kim, Jeong-Dae;Jeong, Shin-Taek;Cho, Hong-Yeon;Kim, Tae-H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2 no.5
    • /
    • pp.344-351
    • /
    • 2010
  • Uncertainty analysis on the net flow discharge (NFD) influencing the long-term material transport and the simulation results of the salinity and COD concentration distribution using the MIKE21 diffusion model in Gyeonggi bay and Han-River estuary is carried out. The NFD flowing the Gyodongdo - Seokmodo channel via the North channel of Ganghwado is estimated about 97% of the total NFD and the NFD of the Yeomha channel is estimated as only $2.5{\sim}3.0%$. On the other hand, the uncertainty defined as the difference by the different time-scale data input is analysed by the comparison of the model simulation result of the salinity and COD concentration distribution. One is computed based on the daily river flow data, and the other is computed based on the monthlymean river flow data. The results show that the salinity and COD concentration differences are about -10~20 psu and ${\pm}1.0\;mg/L$ during the summer season having a high flow discharge in Yeomha channel, respectively. The difference is clearly negligible in the open sea area.

Measurements of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for Unsaturated Weathered Soils (불포화 풍화토의 투수특성 측정)

  • Ryu, Ji-Hyeop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1
    • /
    • pp.133-142
    • /
    • 2000
  • Series of tests were carried out to study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of unsaturated soils. The weathered soils taken from Inju, Sungwhan, and Kuri, were selected to have different amount of fine grained soils in order to find a possible correlation between the unsaturated permeability behavior and fine grained soils contents. Measurements of permeability for unsaturated soils were performed with a newly developed apparatus, which modeled after Klute's apparatus(1965a). The apparatus was designed to measure volumetric water content and permeability by applying incremental suction pressure. Permeability and volumetric water content of unsaturated soils generally decreased as density of the soil increased.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metric water content and permeability was not related to the fine grained soils contents because the plots scattered widely. By comparing volumetric water content with permeability, empirical parameters A and B could be determined, which made to be possible to predict unsaturated permeability from soil-moisture characteristics.

  • PDF

A Study on the Exhaust Gas Recirculation in a MILD Combustion Furnace by Using the Coanda Nozzle Effect (MILD 연소로에서 Coanda 노즐 효과를 이용한 배기가스 재순환에 관한 연구)

  • Ha, Ji Soo;Shim, Sung H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5 no.12
    • /
    • pp.967-972
    • /
    • 2013
  • A MILD (Moderate and Intense Low oxygen Dilution) combustion, which is effective in the reduction of NOx, is considerably affected by the recirculation flow rate of hot exhaust gas to the combustion furnace. The present study used the MILD combustor, which has coaxial cylindrical tube. The outside tube of the MILD combustor corresponds to the exhaust gas passage and the inner side tube is the furnace passage. A numerical analysis was accomplished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exhaust gas entrainment toward the inner furnace with the changes of coanda nozzle geometrical parameters, nozzle passage gap length, nozzle passage length, nozzle angle and expansion length. The optimal configuration of coanda nozzle for the best entrainment flow rate was gap length, 0.5 mm, expansion angle, 4o and expansion length, 146 mm. The nozzle passage length was irrelevant to the exhaust gas entrain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