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지개발허가

Search Result 33,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Improvement of Access Control at Partially Grade-Separated Intersection (단순입체교차 도로의 진출입로 설치 금지구간 개선방안)

  • Kim, Young-Jin;Kim, Jin-U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12
    • /
    • pp.725-733
    • /
    • 2018
  • With urbanization projects involving trunk roads progressing, many simple interchanges, which separate passing traffic into the main traffic and access subtraffic, are being constructed to maximize the traffic capacity. Under the current Road Connection Rule, the access-prohibited section in an interchange is determined based on the access lane and limit distance in the complete interchange road, but separate criteria for the simple interchange are not defined. This may cause confusion in the Road Management Office's determination of the access-prohibited section in the simple interchange, or lead to the application of the criteria for the access-prohibited section in the complete interchange without considering the features of such interchange.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omestic and overseas systems related to the installation of access section in trunk roads, such as general national roads. This paper presents a survey of the methods for applying the access-prohibited section in the interchange along with the actual cases and proposes improvement measures for a rational calculation of the access prohibited installation section in the simple interchange to minimize the downsides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of the extremely strict criteria. The proposed road connection rule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of installing the simple interchange and on the consideration the features of the simple interchange are expected to prevent administration confusion by the field road management offices as well as the waste of unnecessary efforts and costs by petitioners so they can boost the service satisfaction for people and the administrative reliability.

Establishment of Optimal Management Plans on Agricultural Groundwater Resources of the Yeosu County (여수시 농어촌지역 지하수자원 적정 관리방안)

  • Seo, Hyo Kyoung;Shin, Hyung Jin;Lee, Byung Sun;Lee, Gyu 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82-282
    • /
    • 2020
  • 본 연구는 여수시 농어촌지역에 대하여 지하수 함양특성, 개발가능량 산정 및 오염부하량 등의 조사를 통해서 체계적인 지하수자원의 보전관리(안)을 수립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지역은 여수시 화양면, 소라면 2개 면을 포함하는 농어촌 용수구역(여소지구)으로, 여소지구의 총면적은 130.68 ㎢이며, 이 중 임야면적은 81.57 ㎢, 경지면적은 32.98 ㎢ 이고, 경지면적은 논 15.37 ㎢, 밭 17.42 ㎢, 시설재배 0.19 ㎢로 구성되어 있다. 여소지구의 30년 강수평균은 1,454.08 mm/년이며, 지하수 함양량은 국가지하수관리 기본계획(국토교통부, 2019) 및 전라남도 지하수관리계획(전라남도, 2009) 보고서를 참고하여 평균값인 11.28%로 산정한 결과, 21,279 천㎥/년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하수연보(국토교통부, 2018)의 세부용도별 이용량을 활용하여 지하수 이용량을 산정한 결과, 2,638.35 천㎥/년이었으며, 강수량, 함양률 및 면적 값을 고려하여 지하수 개발가능량을 산정한 결과, 16,387.57 천㎥/년, 개발가능량 대비 이용량은 16.11%로 확인되었다. 여소지구의 질산성질소 항목은 총 181개소(경지면적 0.2 ㎢당 1점)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전체 평균값은 6.67 mg/L이었으며, 농업용수 수질기준(20 mg/L)을 초과한 관정은 8개소(6%)로 확인되었다. DRASTIC을 이용한 오염취약성 지수는 평균값이 119.57점으로 나타나 오염취약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신고·허가된 축사 시설을 기준으로 점오염원 조사결과, 단위면적당 시설수(오염원밀도)는 3.12 개소/㎢로 조사되었으며, 인구, 가축 및 토지이용 등 인자별을 고려하여 오염부하량을 산출한 결과,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량은 75.30 kg/day/㎢로 확인되었다. 행정구역별로 7가지 지표를 반영하여 관심, 주의, 경계 및 심각 4단계로 기준을 설정하여 지하수관리 필요지역을 선정하였다. 수량 측면은 개발가능량 대비 이용량, 단위면적당 이용량 및 관정밀 3가지 지표를 적용하였고, 수질 측면은 질산성질소 평균, 오염취약성 지수, 오염원밀도 및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량 4가지 지표를 적용하여 선정하였다. 지하수관리 필요지역을 분석한 결과, 전체 18개 리 중에서 14개 리에서 수량관리 12개리에서 수질관리 필요지역이 나타났다. 수량관리 필요지역은 지하수 취수량 조정 및 관리 확충 등의 대책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수질관리 필요지역은 주변 오염원관리 및 수질검사 강화 등의 대책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Conservation and culturalization of Archaeological Heritage - On the emphasis of ordering better legitimacy and management system - (고고 유산의 보호 원리와 보존 활용 방안에 대하여 - 법(法)과 제도의 비교 고찰을 중심으로 -)

  • Jang, Ho-su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0
    • /
    • pp.5-34
    • /
    • 2007
  • Archaeological Heritage is material testimony of national and regional history, and it is one of the tourist's attractions. So it has very important meaning and identical value for a local residents. Public concern on the heritage site elevate higher day by day. They are willing to use it for a multiful purpose, cultural, educational, and even commercial one. But Archaeological Heritage is fragile, and visitors can impact negatively for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the authenticity on the heritage site. In this research I try to compare legal and administrative measure for the protection, management, and culturalization of Archaeological Heritage in many countries. And I suppose sustainable and practical strategies for keeping integrity of heri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