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토양 성질

검색결과 409건 처리시간 0.032초

인삼 재배포장에서 Fusarium 밀도와 근부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환경 요인 (Soil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Fusarium Population and Root Rot of Panax ginseng in Ginseng Fields)

  • 오승환;정영윤;유연현;이일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68-72
    • /
    • 1982
  • 인삼 재배포장에서 병원균인 Fusarium spp.의 밀도와 근부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환경요인을 조사하였다. 2년근 포장의 토양을 토성별로 분류하여 결주율, Fusarium spp. 밀도, 화학적 성질을 비교해 본 결과 점토 함량이 들었고 결주율과 질산태 질소는 줄어드는 경향이었으며 다른 성질은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6년근 포장에서는 근부율과 유효인산 함량이 정의 상관(r=0.3162, p=0.05)을 보였으며 Fusarium spp. 밀도와 Streptomyces spp. 밀도는 고도의 부의 상관(r=-0.3976, p=0.01)을 나타내었다.

  • PDF

낙동강 하구 사주식생의 천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lant Succession of Sand Bars at the Nagdong River Estuary I. Vegetation and Soil Environment)

  • Mun, Hyeong-Tae;Kim, Joon-Ho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8권1호
    • /
    • pp.79-93
    • /
    • 1985
  • 낙동강 하구에 형성되어 있는 사주의 식생천이와 그에 따른 토양성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고지도에 의해서 추정한 사주의 형성연령은 옥류등, 백합등, 갈매기등 및 나무싯등이 각각 60년, 25년, 15년 및 10년이었다. 각 사주에 생육하는 식물종수는 갈매기등, 나무싯등, 백합등 그리고 옥류등의 순으로 증가하였다. 우점도-다양성 곡선과 종다양성 지수에 의하여 판정된 식물군집의 안정성은 갈매기등, 나무싯등, 백합등, 옥류등의 순으로 높아졌다. 토양의 산도, 유기물과 전질소 함량은 갈매기 등에서 옥류등으로 이행함에 따라 현저히 증가하였다. 생육식물의 종수, 식물군집의 안정성 및 토양성질의 변화 등을 근거로한 각 사주의 천이정도는 그들의 나이와 대체로 일치하였으나 갈매기등과 나무싯등 처럼 아직도 모레가 불안정한 사주에서는 천이정도와 사주의 나이가 일치하지 않았다.

  • PDF

CCA 방부 목재로 지은 통나무집 주변 토양의 중금속 오염도 평가

  • 박은주;송병열;구진회;류승혜;김동진;김희갑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6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234-237
    • /
    • 2006
  • 방부 목재는 일반 목재에 비해 사용 수명이 20-40년 정도 길기 때문에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부제는 chromate copper arsenate(CCA)이다 CCA 성분인 구리, 크롬 및 비소는 생태계 및 인체에 대한 위해성 때문에 많은 나라에서 처리 목재의 사용을 금지하거나 제한하고 있는 실정인 반면에, 국내에서의 사용은 늘어만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방부 목재를 사용하여 지은 3년 된 통나무집 한 곳과 8년 된 통나무집 두 곳에 인접한 토양시료를 채취, 분석하여 방부 목재 사용으로 인한 토양 오염도를 평가하였다. 건물에 인접한 지점부터 수평 방향으로 25cm 간격으로 100cm까지 5개의 표토 시료를 채취하였다. 또한 배경 농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건물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서 토양시료를 2개 채취하였다. 토양시료는 입도, 전기전도도, pH, 유기물 함량 등의 물리 화학적 성질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CCA성분은 microwave oven을 이용하여 추출한 후 분석하였다. 0cm에서 CCA성분은 배경 농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용출양은 3년 된 통나무집의 경우 크롬(67.2mg/kg)>구리(20.3mg/kg)>비소(4.14mg/kg)의 순으로 측정되었으며, 8년 된 통나무집의 경우 크롬(36.6mg/kg)>구리(21.3mg/kg)>비소(1.93mg/kg)의 순으로 측정되었다. 구리를 제외하고 크롬과 비소의 경우 3년 된 통나무집에서 많이 용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년 된 통나무집의 구리와 크롬은 100cm농도가 배경농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비소의 경우는 100cm농도가 배경농도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구리와 크롬이 100cm이상으로 이동을 한다는 것을 알려주며, 8년 된 통나무집의 경우는 크롬과 비소가 100cm이상으로 이동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CCA로 처리된 방부목재에서는 CCA성분이 용출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크롬과 비소의 경우는 초기에 많이 용출되고, 구리의 경우는 꾸준히 용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년 된 통나무집이 8년 된 통나무집보다. 용출양이 더 컸으며, 이는 CCA성분이 초기에 많이 용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한강지류 하천 주변 토양의 Phthalate ester 오염 분석 (Analysis of Soil Contamination by Phthalate Ester around Tributaries to the Han River)

  • 안승현;이종훈;홍연표;김민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2호
    • /
    • pp.97-100
    • /
    • 2002
  • Phthalate ester는 플라스틱의 물리적 성질, 특히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플라스틱 제품에 첨가하는 가소제이며 내분비계 장애를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되는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한강지류 하천 주변 토양의 phthalate esters의 오염 정도를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GC-MS)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상 오염 지역인 안양천과 서호천, 그리고 예상 청정 지역인 가평천과 남한강 지역에서 채취한 토양시료 모두에서 bis(2-ethylhexyl) phthalate(DEHP)가 일정 수준 검출되었다. 그 오염 수준은 안양천 주변 토양이 113ppb로 가장 높았으며, 서호천 주변 토양이 64 pub,그리고 가평천과 남한강 주변 토양이 약 50 ppb이었다. 따라서 한강 지류 하천 토양의 DEHP오염은 국내 하천 저질의 DEHP오염 수준이 최고 2.04 ppm임을 감안할 때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 Low-Humic Gley Soil의 이화학적(理化學的) 및 광물학적(鑛物學的)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 (Chemical and Mineralogical Properties of Two Low-Humic Gley Soils of Korea)

  • ;한기학;이용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29-136
    • /
    • 1968
  • 우리나라 답토양(畓土壤)의 대부분(大部分)을 차지하는 Low Humic Gley Soil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 및 광물학적(鑛物學的) 성질(性質)을 구명(究明)하는 한편 답토양(畓土壤)의 하층(下層)에서 발견(發見)되는 Iron Concretion의 성상(性狀) 및 생성조건(生成條件)을 고찰(考察)해 보고자 본시험(本試驗)을 실시(實施) 하였던바 김제지방(金堤地方)의 Low Humic Gley Soil은 약(弱)하게 발달(發達)된 토양(土壤)으로써 25~100cm 사이에서 흑색(黑色) 유기물층(有機物層)이 나타나고 있으며 염기포화도(鹽基飽和度)가 70%이상(以上)으로 높은 편이며 Coarse Clay의 C.E.C는 12-15me/100gm, Fine Clay의 CEC는 30me/100gm 전후(前後)이다. 광물학적(鑛物學的) 조성(組成)은 우리나라의 대부분(大部分)의 다른 토양(土壤)과 같이 Kaolinite가 Dominant하고 기타(其他) Mica 또는 Illite, Vermiculite, Qurtz, Chlorite, Montmorillonite 등(等)이 소량(小量) 포함(包含)되며 $10{\sim}14A^{\circ}$에서는 Ch-Mi, Ch-Mo등(等)의 Stratification도 일부(一部) 나타나고 있다. Iron Concertion은 비교적(比較的) 순수(純粹)한 $FeCO_3$로 배수(排水)가 불량(不良)한 환원층내(還元層內)에서 $Fe^{\sharp}$의 농도(濃度)가 높아지면 유기물(有機物)의 미생물(微生物)에 의(依)한 분해(分解)로서 생성(生成)된 $CO_2$와 작용(作用)하여 $FeCO_3$를 형성(形成)하는 것으로 본다. 이와 같은 결과(結果)는 여러 사람(5)(6)에 의하여도 증명된 바 있다.

  • PDF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가 잣나무 유묘(幼苗)의 생장(生長), 엽내함유성분(葉內含有成分) 및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on Growth and Contents of Chemical Substances in Needles of Pinus koraiensis Seedlings and on Chemical Properties of the Tested Soil)

  • 정용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6권1호
    • /
    • pp.33-40
    • /
    • 1987
  • 잣나무(Pinus koraiensis) 파종상(播種床)에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로 처리(處理)하고 생장(生長), 엽내함유성분(葉內含有成分) 그리고 배지(培地)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산도수준(酸度水準)에 따라 평가(評價)하였다. 잣나무 종자(種子)를 1985년(年) 봄에 묘포토양(苗圃土壤)을 채운 pot에 파종(播種)하고, 해당지역(該當地域)의 30년간(年間)의 강우양식(降雨樣式)에 모의(模擬)(simulation)해서, 황산(黃酸)과 질산(窒酸)의 비율(比率)을 3:2로 혼합(混合)하여 지하수(地下水)로 희석(稀釋)한 pH 4.0 및 pH 2.0의 산성우(酸性雨)와 지하수(地下水)(pH 6.5)를 5월(月)부터 8월(月)까지 4개월간(個月間)에 걸쳐 살포(撒布)하고, 동년(同年) 10월(月) 30일(日) 시료(試料)를 채취(採取)하여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1) 잣나무 파종묘(播種苗)의 엽내함유성분(葉內含有成分)의 함량(含量)은 산성우(酸性雨)의 pH 값이 저하(低下)됨에 따라 S와 $K_2O$는 증가(增加)를, MgO 와 $P_2O_5$는 감소(減少)되었다. 2) 산성우(酸性雨)의 pH 값이 낮아짐에 따라 토양산도(土壤酸度)는 저하(低下)되었고, 치환성(置換性) Al 함량(含量)은 크게 증가(增加)하는 상반(相反)된 반응(反應)을 보였다. 3) 토양(土壤)의 치환성(置換性) Ca, Mg 및 K의 함량(含量)과 염기총량(鹽基總量), 염기포화도(鹽基飽和度)는 산성우(酸性雨)의 pH 값이 낮아짐에 따라 현저(顯著)하게 감소(減少)되었다. 4) 토양내(土壤內) sulfate 함량(含量)은 산성우(酸性雨)의 pH 값이 저하(低下) 될수록 크게 증가(增加)하였다.

  • PDF

서울지역 강우자료를 이용한 침투량 산정과 사면에서의 침투거동 모의 (Estimation of Infiltration and Simulation of Seepage Behavior in Slope using the Rainfall Data in Seoul)

  • 이일주;오태석;문영일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5호
    • /
    • pp.103-109
    • /
    • 2008
  • 사면에서의 강우는 경사와 토양의 물리적 성질에 따라 침투와 유출이 분리되게 되는데, 사면 해석에서는 강우가 모두 침투된다는 가정 하에 분석이 이루어져 지하수위가 과대 산정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점의 강우분석에 이어 해석적 침투모형 중 적용성이 뛰어난 NRCS 모형과 Horton 모형을 이용하여 토양형에 따른 침투량과 유출량을 분리시킨 후, 토양을 분석하였다. 사면의 경사는 국내 설계기준에 의해 많이 적용되는 경사에 대한 단면을 구성하였으며, 산정된 침투량을 바탕으로 경사보정을 한 후 수치해석을 통해 침투거동 및 지하수위양상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서 토양형이 D형에서 A형으로 갈수록 지하수위 변화양상이 크게 나타났다.

군위지역 오이 시설 재배지의 토양특성 변화 (Change In Soil Properties After Cucumber Cultivation Under Plastic Film House At Gunwi-Gun Area)

  • 이동훈;최충렬;김광섭;김평열;서정우;박만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4권
    • /
    • pp.43-47
    • /
    • 2006
  • 군위군 오이재배지역을 정밀토양도를 이용하여 토양특성을 조사하고, 군위군 노지 및 시설오이 재배지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연작과 관행적인 토양관리로 인하여 저하된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오이재배에 적합한 토양으로 개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토양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은 군위군 군위읍 외랑리 오이재배단지로서 주요 토양통은 토양도에 나타난 단북통과 신정통이 가장 넓게 분포하였으며, 점토함량은 시설재배지내 토양의 경우 양토이었으며, 시설재배지의 외부 토양의 경우 23.8%로 높게 나타났다. 오이재배지 토양의 화학적 특성 결과에 대한 오이재배지 토양의 적정범위와 비교하여 보면 일반적인 화학적 성질에서 서는 유효 인산의 함량이 적정범위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치환성 양이온 함량은 시설재배지의 외부토양은 적정범위에 속하나 시설재배지 내부토양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상부 토양은 매우 높으나 10cm 이하는 깊이에 따라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오이 재배지 토양 중 중금속 함량은 모두 기준치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구리의 함량이 시설재배지가 노지재배지보다 높게 나타났다. 시설재배지의 경우는 다른 곳과 달리 표토 위에 부숙이 어려운 유기물의 과량투입에 따라 표토 위의 유기물 30% 이상의 유기물 층이 존재하여 모든 양분 성분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서는 토양분석에 따른 토양관리법의 확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ennsylvania주 옥수수 재배 토양의 질소공급능력 평가 (N-supplying Capability Evaluation of Corn Field Soils in Pennsylvania)

  • 홍순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59-367
    • /
    • 1998
  • 미국 Pennsylvania주 옥수수 재배 토양의 질소공급능력을 1986년부터 3년간 수행되었던 47개 토양의 화학성 및 정밀 토양도 속성들과의 회귀분석으로 평가 비교하였다. 질소공급능력과 가장 밀접한 상관을 보인 화학성은 $NO_3-N$ 함량($R^2=0.518$)이었으나 질소공급능력에 대한 표준화 편회귀계수는 년차간 변이를 보이며 0.578로 다른 성질들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질소공급능력에 대한 다중선형 회귀분석은 단순 회귀분석에 비하여 양호한 평가를 보였으며 화학성들에 의한 결정계수는 $R^2=0.599$, 화학성과 Ap층 깊이의 정량적 지표들에 의한 계수는 $R^2=0.698$, 정량적 지표들과 정성적 지표들에 의한 계수는 $R^2=0.839$로 증가되었다. 이는 다중선형 회귀모델식이 단순 회귀모델식보다 토양의 질소공급능력을 보다 신뢰성 있게 평가할 수 있는 접근방법임을 보여주었다.

  • PDF

안정화 처리된 폐광산 토양의 생태기능상태 평가를 위한 효소활성도 및 비소호흡유전자의 적용 (Application of Enzymatic Activity and Arsenic Respiratory Gene Quantification to Evaluate the Ecological Functional State of Stabilized Soils Nearby Closed Mines)

  • 박재은;이병태;이상우;김순오;손아정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265-276
    • /
    • 2017
  • 폐광산은 방치된 광미 등으로 인하여 주변환경에 복합적인 중금속 오염을 야기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국내에서는 1990년대 중반부터 석회석 등의 안정화제와 복토를 이용한 안정화 공법을 기반으로 토양개량사업이 시행 중이다. 복원된 토양의 상부에서는 작물의 재배로 인해 중금속이 고정된 안정화 층이 지화학적 변화를 겪게 되며 이에 따른 중금속의 용출 및 이동이 가능하므로 토양개량사업을 마친 토양에 대한 질 평가 등의 사후 관리는 반드시 필요하다. 토양의 질 평가를 하기 위해서는 이화학적 분석 또는 생물학적인 분석을 개별적으로 하기보다는 이들을 결합한 종합적인 분석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토양의 생태기능상태(ecological functional state)를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시료로 경상북도 봉화군 풍정 광산, 전라남도 광양시 점동 광산, 충청남도 서산시 서성 광산 인근 안정화 처리 토양과 안정화 처리가 되지 않은 오염, 비오염 토양을 선정하였다.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인 pH, CEC, LOI와 중금속 농도를 측정하였고, 미생물 효소활성도와 비소환원유전자를 정량하였다. 다변량 통계분석을 바탕으로 모든 데이터를 분석하여 토양 생태기능상태를 평가하였다. 안정화 심도 토양과 상부복토, 하부오염토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안정화 심도 토양에서 중금속의 농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그리고 풍정광산에서는 안정화 처리 심도 토양이 하부오염토와 유사한 특성을, 점동, 서성 광산에서는 안정화 심도 토양이 상부복토와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점동, 서성 광산 주변 상부복토의 생태기능상태가 좋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