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토양 물리화학성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5초

맥반석처리가 골프장 잔디의 생육과 토양미생물의 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Quartz Porphyry on Growth of Creeping Bentgrass (Agrostis stolonifera) and Soil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s)

  • 고성철;최정혜;김병혁;김상은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17-325
    • /
    • 2008
  • 최근의 골프 수요의 증가는 골프장의 일일 내장객 수의 증가로 이어져 골프장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의 친환경적 관리방안의 하나로 자연계에 존재하는 광물을 활용하여 토양의 물리, 화학성을 개선 할 수 있는 친환경적 토양개량제 개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들 광물 중 맥반석은 토양개선을 통한 일반농작물의 생육촉진과 증수에 기여함이 밝혀지고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이 광물을 골프장 토양관리에 적용시 야기되는 토양의 물리.화학적 변화로 인한 잔디의 생육영향과 토양미생물 군집변화특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골프장 퍼팅그린 잔디(bentgrass)를 이식한 pot 실험결과 대체적으로 맥반석 20% 처리구가 잔디 잎의 웃자람을 억제하며 생육촉진을 유도하고 뿌리의 생육도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PCR-DGGE 분석결과 이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종풍부도를 나타내었으며 Actinobacteria와 ${\alpha}$-Proteobacteria가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맥반석처리 시 낮은 용탈 유기물 함량과 가용성 양이온($Ca^{2+}$, $Mg^{2+}$$K^+$ 등)의 용탈 감소와 관련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생강 근경부패병의 발생 생태 및 토성 , 토양화학성 및 토양 생물성과의 관계 (Ecology of Rhizome Rot Incidence of Ginger and Relation of Soil Texture, Chemistry and Biology)

  • 이왕휴;이두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4
    • /
    • 1998
  • 충남 서산과 전북 봉동지방의 생강 근경부패병의 발생생태를 조사하였다. 서산지방의 근경부패병 발병율은 봉동보다 낮았다. 서산의 생강 수확량은 평균 1,140Kg였고, 봉동은 818Kg/10a 였다. 발병후 살균제는 서산에서 많이 사용하였다. 포장간 토양물리성은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발병율이 낮은 은하리는 23%의 점토를 함유하고 있다. 반면에 병발생이 많은 유소리는 미사함량이 60%이상이었다. 생강 재배 지역의 토양화학성은 적정 농도 범위였으나, 인산은 적정농도 450-500ppm(mg/Kg)보다 모두 높았다. 이것은 하천의 오염원이 되므로 인산시비를 줄여야 할것을 추정하였다. 재배 중기인 8월에 사상균수가 최고치를 나타내는 경향이었고, 세균과 방선균수도 사상균수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세균수/진균수는 포장간 큰차이를 나타냈다.

  • PDF

산지농경지에 투입되는 모재성토의 특성과 농업환경에 미치는영향 (Evaluation of the Dressed Soil applied in Mountainous Agricultural Land)

  • 주진호;박철수;정영상;양재의;최중대;이원정;김성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45-250
    • /
    • 2004
  • 강원도 고령지 밭작물 재배지역에서는 2-4년 주기로 대량의 모재성토를 시용하고 있으나 모재성토의 질과 이들이 토양환경과 수질에 미치는 악영향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모재성토의 물리 화학적질 및 생물학적 질을 평가하고. 모재성토의 시용현황을 조사하고 이들이 토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모재성토 자체의 화학성은 매우 낮았으며, 특히 유효인산과 유기물 함량은 작물이 생육하기에 매우 부족한 값을 나타냈다. 토양의 생물학적 질 지표의 하나인 토양효소 활성 값에 있어서도 모재성토는 매우 낮은 값을 보였는데, phosphatase 활성의 경우 우리나라 밭토양 평균치의 1/3 정도의 값을 나타냈다. 자운리 지역의 토양 미생물 조사 결과 세균 사상균, 방선균의 개체수는 모재성토의 경우 밭토양에 비해 각각세균은 6-10배. 사상균은 3-4배, 방선균은 11-13배 정도 적은 미생물상을 나타냈다. 홍천군 자운리 지역의 영농활동 및 토양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지역의 43%에 해당하는 농경지에 모재성토가 행해졌으며, 토양침식한계허용치인 $11.2MT\;ha^{-1}\;yr^{-1}$을 초과하는 농경지는 40%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침사지를 설치하여 침사지의 토양 유실 방지 효과 및 토양 유실량을 측정한 결과 모재성토를 시용한 농경지에 설치한 침사지에서의 토양유실은 모재성토를 시용하지 않은 농경지에 비해 6배 이상의 토양유실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침사지 유역에서의 토양 유실발생량을 조사한 바에 의하면 동일한 밭일지라도 경사도, 경운방법, 토성 및 강우강도 등의 영향인자에 따라 변화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습식체별에 안정한 대입단과 토양특성과의 관계 (Stable Macro-aggregate in Wet Sieving and Soil Properties)

  • 한경화;조현준;이협성;오동식;김이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55-261
    • /
    • 2007
  • 토양입단은 물리화학, 생물학적 인자의 종합적 결과로 토양 중 탄소행동과 물질이동 해석에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습식체별에 안정한 대입단(>지름 0.25mm)과 토양특성과의 관계를 15개 토양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토양은 먼저 깊이 0-10cm에서 통기성을 현장측정한 후 3인치 코아 5반복으로 채취하여 습식체별에 안정한 대입단과 토양이화학성을 분석하였다. 대상토양의 점토함량은 1~33%범위였고 토지이용은 과수, 일년생 밭작물(채소, 옥수수), 초지를 비롯하여 도로변 나지 등이었다. 습식체별에 안정한 대입단은 점토함량 2%이하의 사토에서 함량이 0%로 낮고, 사토를 제외한 토양에서 일년생 작물을 재배하는 밭이 27~35%, 과수원 51%, 초지 75%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운 등의 토양교란정도와 연관이 깊은 것으로 보인다. 습식체별에 안정한 대입단은 양이온치환용량, 유기물함량, 모래, 점토, 미사, 용적밀도, 그리고 교환성 K, Mg와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으나 pH, EC 및 수용성 인 등의 토양특성은 상관이 유의하지 않았다. 특히 교환성 칼슘의 경우, 칼슘 과포화 토양을 제외하였을 때 내수성입단함량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습식체별에 안정한 대입단은 토지이용과 토양특성을 반영하나 칼슘 과포화도 및 토성간의 차이를 고려해서 파악해야 함을 제안한다 하겠다.

건답직파 벼-보리 장기간 이모작 재배시 벼 수량 및 토양 물리화학성 변화 (Changes of Rice Yield and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Long-term Dry Seeded Rice-Barley Double Cropping)

  • 신상욱;박성태;황정동;황동용;김상열;문헌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459-463
    • /
    • 2001
  • 벼 단작 만기 및 보리후작 건답직파의 수량성과 토양물리 과학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영남농업시험장 답작포장에서 1990년부터 1999년까지 10년간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품종은 동해벼('90-'96), 금오벼2호, 화영벼('97-'98), 금오벼 1호, 영해벼('99)를, 작부방식은 벼 단작 만기직파와 보리후작 벼 직파를 하였고 보리후작 벼 직파는 보릿짚제거후 직파와 보릿짚 시용후 직파를 실시하였던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일수는 보리후작 건답직파는 8~9일로 벼단작 직파 9 일과 비슷하였고 $m^2$당 적정 입모 확보는 문제가 없었으나, 벼 단작 직파보다 입모수의 변이가 약간 컸으며 파종후 15~35일 초기생육에 있어 엽수는 비슷하였으나 초장은 2.8-10.7% 억제되었다. 2. 출수기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고 초기 생육은 보리후작에서 약간 떨어졌으나 점차 회복되어 간장과 수장은 비슷하였으며 $m^2$당수수 증가로 영화수가 많았다. 3. 평균쌀수량('00~'99)은 보릿짚 시용구는 4.72 MT/㏊으로 벼 단작 직파보다 9%증수되었고 년차간 변이가 적었다. 4. 보리후작시 완전미 비율이 낮고 청미비율이 높아 품위가 떨어졌고 벼 단작과 비교시 이밀로즈함량, 단백질함량 및 Mg/K당량비는 비슷하였다. 5. 보릿짚시용시는 고상율이 낮아 토양공극율이 높고 토양 유기물이 증가되었으며('90(27.1 g/kg) $\longrightarrow$ '99(보릿짚시용 : 36.1 g/kg, 벼 단작 : 25.5 g/kg)) 치환성양이온 Mg 및 K의 함량은 벼단작과 비슷하였으나 Ca함량은 증가 되었다.

  • PDF

우리나라 논, 밭토양의 미생물상(微生物相)에 한 연구 -I. 논토양의 미생물(微生物) 분포조사(分布調査) (Studies on Microflora of the Paddy and Upland Soils of Korea -I. Distribution of Microflora of the Paddy Soils)

  • 유익동;윤세영;이명구;류진창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95-202
    • /
    • 1983
  • 우리나라 논토양의 미생물(微生物) 취락정도(聚落程度)를 밝히기 위하여 각(各) 도당 8개지역(個地域), 총 60개지점(個地点)의 논토양을 임의(任意)로 선정하여 미생물(微生物) 분포조사(分布調査)를 실시하였다. 또 이들 미생물(微生物) 분포정도(分布程度)와 농업기후대별 및 토양화학성, 물리성(物理性)과의 관계를 검토조사하였다.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논토양의 평균 미생물(微生物) 취락수(聚落數) 세균(細菌) $121.8{\times}10^5$, 방선균(放線菌) $25.5{\times}10^5$, 사상균(絲狀菌)이 $32.4{\times}10^3$으로 나타났으며 B/F, B/A 및 A/F율(率)은 각각(各各) 385, 5.1, 82정도(程度)이었다. 2. 농업기후대별 논토양 미생물(微生物) 분포정도(分布程度)는 산간권(山間圈)이 제일 낮았으며 동해안권(東海岸圈), 경기만권(京畿彎圈), 충청내륙권(忠淸內陸圈)이 비교적(比較的) 낮은 편(便)이었고 호남평야권(湖南平野圈) 및 남부권(南部圈)에서 높은 미생물(微生物) 취락수를 나타냈다. 3. 논토양 미생물(微生物) 취락정도(聚落程度)와 토양화장성 (인산(燐酸), 가리(加里), 총탄소(總炭素), 고토(苦土) 및 pH)과는 통계적(統計的)으로 유의성(有意性)있는 상관관계가 인정(認定)되었다. 4. 각(各) 토성별(土性別) 미생물(微生物) 취락정도(聚落程度)는 식토양에서 제일 높았고 그 다음이 식토(埴土), 토양 및 사토양의 순(順)으로 저하(低下)하는 경향(傾向)이었다.

  • PDF

볏짚과 파쇄목 시용이 시설하우스 토양 성질과 작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ice Straw and Woodchip Application on Greenhouse Soil Properties and Vegetable Crops Productivity)

  • 서영호;임수정;김승경;정영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11
    • /
    • 2007
  • 시설하우스 토양의 염류 집적은 연작장해로 인한 작물의 수량성 감소뿐만 아니라 지하수 등 수계의 오염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설하우스 토양의 염류집적 양상을 개선하는 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시행되었다. 볏짚 (RS)과 파쇄목 (W)의 시용으로 토마토의 수량은 높아졌고 배꼽 썩음과의 발생은 줄었으며, 배추의 수량도 표준시비했을 때보다 증가되었다. 토양에 잔류하는 질산과 인산, 카리의 함량 및 전기전도도가 표준시비 처리구보다 낮았는데, 이는 토양검정을 기준으로 한 비료 시용량 절감도 한 이유일 것이다. 또한, 볏짚과 파쇄목의 시용은 토양 가비중을 낮춰 공극량을 높였으며, 토양 미생물체 탄소와 dehydrogenase 활성을 증가시켰다. 파쇄목의 시용은 볏짚과 비교하여 토마토와 배추의 수량이 높았으며, 작물 수확 후 토양에 질산과 인산이 덜 잔류하였고, 토양 미생물체와 dehydrogenase 활성은 높았다. 본 연구는 파쇄목 시용과 검정시비에 의한 화학비료의 절감이 하우스토양의 염류집적을 경감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토양의 화학성뿐만 아니라 물리성과 미생물성도 함께 검토하면 토양 질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됨을 보여주었다.

우리나라 토양(土壤)의 대표적(代表的)인 물리화학적(物理化學的) 특성(特性) (정밀토양조사결과(精密土壤調査結果)를 중심(中心)으로) (Representativ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Soils by the Results from Detailed Soil Survey)

  • 허봉구;조인상;민경범;엄기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30-336
    • /
    • 1984
  • 우리나라 토양(土壤)의 대표적(代表的)인 물리화학적(物理化學的) 성질(性質)을 구명(究明)하여 토지생산력(土地生産力) 향상(向上)을 위(爲)한 토양(土壤) 개량(改良)에 필요(必要)한 자료(資料)를 제공(提供)하고자 정밀(精密) 토양조사(土壤調査) 결과(結果) 밝혀진 제주도(濟州道) 토양(土壤)을 제외(除外)한 315개(個) 토양통(土壤統)에 대(對)한 토성(土性), 수분특성(水分特性), 유기물함량등(有機物含量等) 14개(個) 물리화학성(物理化學性)을 수집(蒐集)하여 토지이용(土地利用), 배수등급(排水等級), 토양유형별(土壤類型別)로 단순(單純) 평균치(平均値)와 분포면적(分布面積)을 고려(考慮)한 가중(加重) 평균치(平均値)를 전산처리(電算處理)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전체(全體) 토양통(土壤統)의 단순(單純) 평균치(平均値)는 점토(粘土) 20.0%, 유기물(有機物) 2.03%, 양(陽)이온 치환용량(置換容量) 10.3me/100g이었으며 분포면적(分布面積) 가중평균치(加重平均値)는 점토(粘土) 18.0%, 유기물(有機物) 1.85%, 양(陽)이온 치환용량(置換容量) 8.6me/100g 으로 밝혀졌다. 2. 토지이용(土地利用別)로 점토함량(粘土含量)을 보면 논이 19.7%에 비(比)하여 밭과 임지(林地)는 각각(各各) 17.9%, 16.7%로 낮은 편이고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은 논이 2.0%로서 밭과 임지(林地)의 1.8%보다 높았으며 양(陽)이온 치환용량(置換容量)도 논이 9.1me/100g으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임지(林地)는 8.6me/100g, 밭은 8.1me/100g의 순(順)이다. 3. 배수등급별(排水等級別) 가중평균치(加重平均値)를 보면 배수(排水) 약간(若干) 양호(良好)한 경우 점토함량(粘土含量) 18.9%, 유기물(有機物) 1.7%, 양(陽)이온 치환용량(置換容量) 8.4me/100g이고 약간(若干) 불량(不良)인 경우는 점토함량(粘土含量) 21.3%, 유기물(有機物) 2.2%, 양(陽)이온 치환용량(置換容量) 9.5me/100g 이었고 불량(不良)인 경우는 점토함량(粘土含量) 15.1%, 유기물(有機物) 1.8%로서 양(陽)이온 치환용량(置換容量)만이 9.9me/100g으로 제일 높았다. 4. 논, 밭토양(土壤)에 대(對)한 유형별(類型別) 점토함량(粘土含量), pH, 유기물(有機物), 양(陽)이온 치환용량(置換容量), 염기포화도등(鹽基飽和度等)이 밝혀졌다.

  • PDF

시판 부산물비료의 화학성 분포 (Chemical Properties Distributions of Commercial Organic By-product Fertilizers)

  • 이창호;윤영만;옥용식;임수길;김정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6
    • /
    • 2004
  • 각종 농업생산 활동을 통해 배출되는 유기성 부산물을 자원으로 재활용하기 위하여 퇴비화시켜 사용하고 있다. 퇴비화에 의한 재활용은 식물양분의 공급뿐 아니라 토양의 물리, 화학, 생물학적 특성의 개량을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시판되는 퇴비의 경우 부재료 관리 등에 한계성이 있어,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을 함유하거나 미부숙된 비료가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부산물비료의 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 각지에서 생산되는 약 600여종의 시판품 중에서 100 여종을 입수하여 화학성 및 유해물질 함량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부산물 비료의 중금속 (Cd. Pb, Cu, Cr) 함량과 OM/N의 경우 좌측으로 극편향된 분포를 보여서 집단의 대표 값으로는 평균 보다는 중위값이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한편 현재의 품질기준을 넘어서는 부산물비료의 출현빈도는 낮았지만, 그 비료들 중의 유해물질 함량은 전체 분석시료의 중위값보다 훨씬 큰 값을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부터 부산물비료 각각의 품질 평가에는 중위값,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부산물비료 전체가 미치는 영향의 파악에는 가중평균값을 이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었다.

석탄바닥재의 골프장 토양 및 잔디생육 개량 영향평가 (Assessment of Bottom Ash Amendment on Soil and Turfgrass Qualities in Golf Course)

  • 이주영;최희열;심규열;양재의
    • 한국잔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잔디학회 2011년도 제24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25-32
    • /
    • 2011
  • 본 연구는 화력발전의 부산물로 발생하는 석탄바닥재가 골프장 사질 토양의 개량재로 사용 적합한지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석탄바닥재의 화학성을 분석한 결과 총질소 0.34%, 가용성 인산 $52mgL^{-1}$, 치환성 칼륨 $51mgL^{-1}$ 뿐만 아니라 소량의 치환성 칼슘과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있어 식물생육에 이롭고, 유해중금속함량은 Cd, $Cr^{6+}$, Pb, Ni, As는 $1mgL^{-1}$ 이하, Cu 농도는 $1.25mgL^{-1}$ 검출되어 토양환경보전법의 토양오염우려기준 이하이므로 석탄바닥재 재활용으로 인한 토양오염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2. 모래 토양에 석탄바닥재를 부피비로 0~50% 비율로 혼합한 시료의 투수계수와 유효수분함량을 측정한 결과 석탄바닥재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투수계수는 유의성 있게 감소하고 유효수분함량은 유의성 있게 증가해 석탄바닥재가 모래 토양의 낮은 수분보유력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3. 모래 토양에 석탄바닥재를 부피비로 0~50% 비율로 혼합한 시료를 잔디식재층으로 조성한 라이시미터에 잔디종자 파종 후 약 4개월 뒤 잔디밀도가 완전히 형성된 후에 시비 후 3일 간격으로 채취한 용탈수를 분석한 결과 1일과 4일 후에 채취한 초기 용탈수에서는 석탄바닥재 혼합비율이 높을수록 $NO_3-N$, $NH_4-N$ 및 K함량이 유의성 있게 감소했으며, 대조구에 비해 석탄바닥재 혼합비율이 높은 처리구일수록 $NO_3-N$, $NH_4-N$ 및 K함량이 용탈수 채취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용탈되었다. 이 결과로 석탄바닥재가 모래 토양의 낮은 양분 보유력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이고 석탄바닥재처리가 대조구에 비해 오랫동안 식물 생육에 필요한 양분을 공급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4. 골프장 그린상구조와 동일한 시험포장을 만들고 모래 토양에 석탄바닥재 10%와 20% 그리고 피트, 액시스, 이소라이트를 부피비로 10% 비율로 혼합한 시료를 잔디식재층으로 조성하고 크리핑 벤트그래스(Agrostis paulstris Huds), Penn A-4 $10gm^{-2}$을 파종한 후에 처리구별로 잔디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잔디 밀도, 뿌리길이, 색상 및 시각적 품질을 조사한 결과 석탄바닥재 처리구는 기존에 사용하는 개량제인 피트, 액시스, 이소라이트 처리구와 동등한 잔디생육 촉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 결론적으로 석탄바닥재는 골프장 토양의 물리적 특성과 화학적 특성을 개선하고 잔디생육에 필요한 양분을 공급하는데 효과적인 토양개량재라고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