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토양이화학성상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고온 호기성 산화 시스템의 슬러지로부터 펠렛 비료의 생산과 Chinese cabbage의 생육 및 토양 특성에 대한 영향 (Production of Pellet Fertilizer from the Sludge of Thermophilic Aerobic Oxidation System End Its Effects on the Growth of Chinese cabbage and Soil Properties)

  • 이원일;;이명규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1-110
    • /
    • 2004
  • 고온호기성발효장치(TAO system)로 발효 처리한 양돈분뇨고형물을 톱밥과 왕겨로 혼합한 뒤 성형건조장치를 이용하여 펠렛 비료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펠렛 비료(TAO-PF)의 비료이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배추를 이용하여 포장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수확 후 생육량 및 토양의 생물, 이화학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생육실험은 펠렛 비료(TAO-PF)를 포함하여 시판 상토(Bed soil), 발효고형물(TAO-S), 화학비료(NPK), 무비료(대조구)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제조된 발효펠렛(TAO-PF)의 상온저장성은 미생물의 증식경향으로 보아 수분 함량이 $18\%,\;25\%$ 처리구보다는 $12\%$ 처리구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배추를 이용한 각 처리구에서의 생육실험결과, 토양세균의 변화는 TAO-PF 처리구가 NPK, 무비료구 보다 처리기간중 증식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방선균의 증가와 사상균의 감소현상은 NPK, 무비료 처리 에 비해 TAO-S, TAO-PF 처리구에서 현저하여 발효고형물의 토양시비가 토양생물상 변화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생육실험을 통해 배추의 구고, 구폭, 엽수 등으로 보아 TAO-S, TAO-PF 처리구는 각각 화학비료, 시판상토 처리구를 대체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우리나라 Low-Humic Gley Soil의 이화학적(理化學的) 및 광물학적(鑛物學的)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 (Chemical and Mineralogical Properties of Two Low-Humic Gley Soils of Korea)

  • ;한기학;이용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29-136
    • /
    • 1968
  • 우리나라 답토양(畓土壤)의 대부분(大部分)을 차지하는 Low Humic Gley Soil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 및 광물학적(鑛物學的) 성질(性質)을 구명(究明)하는 한편 답토양(畓土壤)의 하층(下層)에서 발견(發見)되는 Iron Concretion의 성상(性狀) 및 생성조건(生成條件)을 고찰(考察)해 보고자 본시험(本試驗)을 실시(實施) 하였던바 김제지방(金堤地方)의 Low Humic Gley Soil은 약(弱)하게 발달(發達)된 토양(土壤)으로써 25~100cm 사이에서 흑색(黑色) 유기물층(有機物層)이 나타나고 있으며 염기포화도(鹽基飽和度)가 70%이상(以上)으로 높은 편이며 Coarse Clay의 C.E.C는 12-15me/100gm, Fine Clay의 CEC는 30me/100gm 전후(前後)이다. 광물학적(鑛物學的) 조성(組成)은 우리나라의 대부분(大部分)의 다른 토양(土壤)과 같이 Kaolinite가 Dominant하고 기타(其他) Mica 또는 Illite, Vermiculite, Qurtz, Chlorite, Montmorillonite 등(等)이 소량(小量) 포함(包含)되며 $10{\sim}14A^{\circ}$에서는 Ch-Mi, Ch-Mo등(等)의 Stratification도 일부(一部) 나타나고 있다. Iron Concertion은 비교적(比較的) 순수(純粹)한 $FeCO_3$로 배수(排水)가 불량(不良)한 환원층내(還元層內)에서 $Fe^{\sharp}$의 농도(濃度)가 높아지면 유기물(有機物)의 미생물(微生物)에 의(依)한 분해(分解)로서 생성(生成)된 $CO_2$와 작용(作用)하여 $FeCO_3$를 형성(形成)하는 것으로 본다. 이와 같은 결과(結果)는 여러 사람(5)(6)에 의하여도 증명된 바 있다.

  • PDF

제주도(濟州道) 화산회토양(火山灰土壌)의 이화학적(理化学的) 특성(特性) 및 유기물(有機物) 성상(性状)에 관(関)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haracterization of Soil Organic Matter in Jeju Volcanic Ash Soil)

  • 이상규;차규석;김인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0-27
    • /
    • 1983
  • 제주도(濟州道) 화산회토양유기물(火山灰土壌有機物)의 화학성(化学性), 유기물(有機物) 성상(性狀) 및 부식산(腐植酸)의 광학적(光学的) 특성(特性)을 알고져 수종(数種)의 화산회토양(火山灰土壌)을 공시(供試)하여 실내시험(室內試験)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가. 토양(土壌)의 화학적(化学的) 성질(性質) 1) 화산회토양(火山灰土壌)은 비화산회토양(非火山灰土壌)에 비(比)하여 유기물(有機物)(4~27%), 유효규산(有効珪酸)(291~884ppm), 활성(活性) 알루미늄(150~478ppm) 및 활성철함량(活性鉄含量)(0.77~0.86%)이 많고 반대(反対)로 유효인산(有効燐酸)(4~15ppm) 함량(含量)이 현저(顕著)히 낮았다. 2) 가리(加里), 석화(石火), 고토등(苦土等)은 밭의 경우 화산회토양(火山灰土壌)에서 높은 편이나 삼림지(森林地) 및 유휴지토양(遊休地土壌)은 낮은 경향(傾向)을 보였다. 3) 화산회토양(火山灰土壌)은 규반비(珪礬比) 및 규산(珪酸)/유기물비(有機物比)가 낮은 반면(反面) K/Ca+Mg, Al/Fe(활성(活性)) 및 C/P비(比)가 현저(顕著)히 높았다. 나. 유기물(有機物) 및 질소분별정량(窒素分別定量) 1) 화산회토양(火山灰土壌)은 유기물(有機物)의 총탄소중(総炭素中) Humin-C의 비율(比率), 유기물중(有機物中) Humin산(酸) 그리고 Humin중(中) C/N율(率)이 비화산회토양(非火山灰土壌)보다 현저(顕著)히 높았다. 2) 화산회토양(火山灰土壌)은 비화산회토양(非火山灰土壌)에 비(比)하여 총질소(総窒素), 산(酸) 및 알카리가용성(可溶性) 질소함량(窒素含量)이 현저(顕著)히 높은 반면(反面) 총질소중(総窒素中) 무기태질소(無機態窒素)로 방출(放出)될 수 있는 무기화율(無機化率)은 높지 않았다. 다. 토양부식(土壌腐植)의 형태(形態) 1) 화산회토양(火山灰土壌)은 비화산회토양(非火山灰土壌)에 비(比)하여 광흡(光吸) 수능(收能)이 높고(K600, RF치(値), ${\delta}logK$) 부식화도(腐植化度)가 진전(進展)될수록 색농도(色濃度)가 짙은 것으로 나타났다. 2) 화산회토양(火山灰土壌)은 산화제(酸化劑)에 대(対)한 저항성(抵抗性)이 높고 산(酸) 및 알카리 가수분해성(加水分解性)이 강(强)하여 부식화도(腐植化度)가 높아 부식(腐植)의 자연분해(自然分解)가 극(極)히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라. Humin의 관능기조사(官能基調査) 화산회토양(火山灰土壌)의 유출부식산(油出腐植酸)의 관능기(官能基)는 phenolic-OH기(基), Alcoholic-OH기(基) 및 Carboxyl기(基)가 많고 비화산회토양(非火山灰土壌)은 Methoxyl기(基) 및 Carbonyl기(基)가 많았다. 마. 부식산(腐植酸)의 흡광도(吸光度) 1) 공시토양(供試土壌)의 가시광역(可視光域)은 200~500nm부근의 단파장영역(短波長領域)이었으며 주로 350, 420, 450 및 480nm 에서 4개(個)의 흡광곡선(吸光曲線)을 나타내었다. 2) 화산회토양(火山灰土壌)인 흑악통(黑岳統)은 362nm부근에서 단일(單一)의 높은 흡광도(吸光度)를 보였으며 비화산회토양(非火山灰土壌)인 영악통(永楽統)은 360nm와 390nm에서 2개(個)의 단순(單純)한 높은 흡광대(吸光帶)를 나타내었다. 마. 분해촉진제(分解促進剤) 처리효과(處理効果) 화산회토양(火山灰土壌)에 대(対)한 분해촉진효과(分解促進効果)는 이도통(統)은 역분해성(易分解性) 유기물(有機物) 첨가(添加)에 따른 "Priming Effect"가 증가(增加)되었으며 남원(南元)과 흑악통(黑岳統)은 Na-Pyrophosphate의 첨가효과(添加効果)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