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양성질

Search Result 40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Vertical Soi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t Landscape Planting Sites of Pinuse thunbergii Parlatore in Reclaimed Land from the Sea on Kwangyang Bay (광양만 임해매립지 곰솔 식재지역 토양환경의 수직적 특성)

  • 김도균;김용식;김민수;오구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5 no.2
    • /
    • pp.186-192
    • /
    • 2001
  • 본 연구는 전라남도 광양만의 6개 임해매립지 식재지반의 토양환경 특성을 조사분석하였다. 토심이 깊어짐에 따른 토양성질의 수직적 특성은 각 식재지반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토양성질의 수직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토와 준설토의 이질서, 토양의 물리. 화학성의 교란, 지반하부에 잔존하는 염류의 이동, 유기물의 이동과 강우나 가뭄 등이었다. 수목생 상 유리한 식재지반은 식재지반의 높이가 낮은 곳보다 높은 성토지역이었으며, 이것은 토양의 물리. 화학적 교란과 지하부의 염류로부터 안전성이 높기때문이었다. 조경식물의 생육상 불리한 토양성질들은 토성의 이질서, 토양의 경화, 알칼리성 염류토양, 높은 ECe, Na, K. 저농도의 Ca, Mg, T-C등이었으며, 이러한 토양성질들은 표토보다는 지하의 근권부에 주로 분포하여 있었다. 따라서 임해매립지 식재지반 조성시에는 토양의 성질이 교란되지 않은 방법이 모색되어야 하며, 조경수목의 생육에 관련된 토양환경조사는 지하근권부 이하까지 정밀하게 조사. 분석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사료되었다.

  • PDF

Multi-solute Adsorption of Oranic Compounds in Soil (유기화합물들이 혼합상태에서 토양에 흡착하는 성질에 관한 연구)

  • 윤춘경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37 no.2
    • /
    • pp.41-52
    • /
    • 1995
  • 혼합상태에서 유기화합물들이 토양에 흡착하는 성질에 관해서 5개의 유기화합물(페놀,2,4-디크로로페놀, 2,4,6-트리크로로페놀, 부루신, 따이오유리아)과 2종류의 토양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일반적으로 따이오유리아를 제외하고는 한가지 물질이 혼합상태에 있는 다른물질이에 의 흡착력이에 제약을 받아서 단독으로 있을때 보다 흡착율이 낮았다. 따이오유리아는 단독인 경우보다 혼합상태일 때 더 많은 흡착을 보였는데 이는 혼합상태에서 오히려 흡착이 증가할수도 있음을 나타낸다. 혼합이 흡착에 비치는 영향은 페놀의 혼합상태와 단독상태에서의 흡착상태를 여러가지 형태로 비교하여 검토하였는데 산성이고 유기물질이 많은 토양보다 혼합으로 인한 흡착의 억제 효과가 뚜렷하였다.

  • PDF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Soil Water Storage by the precipitation in the Sulma Basin (설마천 유역에서 강우량에 따른 토양저류량 특성 분석)

  • Kim, Kiyoung;Lee, Yo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69-269
    • /
    • 2020
  • 수자원은 유역 내에서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무한하게 순환한다. 이러한 물의 순환의 특성을 지속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지속적인 수자원 확보, 자연 환경에 대한 변화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연구 중 하나이다. 유역 내에 물의 유입은 대표적으로 강우량이 있고 유출로는 하천 및 지하수의 유출량과, 증발산량이 있다. 유입의 형태와 지면의 상태에 의해 다양한 유출 특성이 나타나기 때문에 지면 내에서의 물의 이동 특성을 분석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수분량을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토양내의 물의 저류량을 실증적으로 추정하였으며 초기 토양수분량과 토양 저류량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유역내의 얼마만큼의 강우량이 토양 내에서 저류하고 유출 발생에 기여하는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토양수분량과 강우량이 안정적으로 측정되고 있는 2018, 2019년 설마천 유역에 적용하였다. 특히 선정된 설마천 유역은 증발산량과 유역 하단부에 유량 관측소가 존재하여 물수지 분석에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어 유역 내에 물 흐름에 정량적으로 비교 및 파악할 수 있는 지역이다. 사양토 성질을 가진 설마천 유역은 20%때의 습윤 구간에서 중력에 의한 직접유출이 발생하며 이때를 기준으로 초기토양수분과 선행토양수분량의 조건에 따라 토양내의 저류량의 거동의 경향성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 각 유역의 토양 성질에 따른 토양 저류량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유출량 자료를 결합한다면 수자원 재해에 대한 예보 및 피해 저감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Soil Mineralogy (토양광물)

  • Jang, Yong-Seo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1
    • /
    • pp.36-44
    • /
    • 1998
  • 우리 나라에서 토양의 점토광물에 관한 최초의 연구는 1958년 김제지방의 답 토양에 관한 연구로 (Dewan, 1958)시작되었다. 1960년대 시작하여 1970년대 까지는 주로 토양점토광물의 동정이 이루어 졌다. 점토광물의 동정(同定)에 사용된 잔적토(殘積土)(Residual Soil)로는 화강암(花崗岩), 화강편마암(花崗片麻岩), 현무암(玄武岩), 석회암(石灰岩), 혈암(頁岩), 제(第)3기층(紀層), 홍적층(洪積層) 유래 토양과 토양종류별(土壤種類別)로는 과부식회색토(寡腐植灰色土), 염류토(鹽類土), 충적토(沖積土), 적황색토(赤黃色土), 화산회토(火山灰土), 퇴적토(堆積土), 갈색토(褐色土), 암쇄토(岩碎土), 저위생산답(低位生産畓)이였으며, 토양점토광물(土壤粘土鑛物)과 작물수량성(作物收量性) 관계에 관한 연구가 실시되었다. 1980년대에 들어와서는 토양중의 1차광물과 점토광물의 풍화에 대한 안정도와 1차광물의 동정이 행해졌으며, 이밖에 Kaolinite 입자의 전하에 관한 연구등 점토광물의 흡착과 활성 연구, 점토광물의 토양개량재로서의 흡착과 화학적 특성 변화 연구와 점토광물의 토양개량 시용효과에 관한 연구가 행해졌다. 1990년대에 들어와서는 토양 중의 1차광물과 점토광물의 정량에 대한 자료가 축척되었고, 토양의 풍화에 대한 안정성과 생성기작, Zeolite와 새로운 광물이 합성되었다. 또한 합성광물을 이용한 농업과 산업광물로의 응용성 환경 산업에서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평가가 시도되었다. 토양의 점토광물의 조성에 관한 연구는 토양 모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화강암(花崗岩)에서는 Halloysite, 화강편마암(花崗片麻岩)에서는 Kaolinite, Metahalloysite, Illite, 산성암(酸性岩)에서는 Kaolinite, Venrmiculite와 Chlorite의 중간광물, 현무암(玄武岩)에서는 Illite, Kaolinite, Vermiculite, 석회암(石灰岩)에서는 Vermiculite-Chlorite 중간광물, Kaolinite와 Illite, 혈암(頁岩)에서는 Kaolinite, Halloysite, Illite 외 Vermiculite-Chlorite, 화산회토(火山灰土)에서는 Allophane이 주광물이었다. Soil Taxonomy와 토양광물과의 관계에서, 답 토양에서는 Entisols의 주점토광물은 2:1형과 1:1형 광물이지만 Inceptisols와 Alfisols에서는 Halloysite가 대부분이다. 밭 토양의 경우는 Alfisols의 주점토광물은 Vermiculite, Illite, Kaolinite이었고, Ultisols에서는 Vermiculite-Chlorite 중간광물이었다. 산림토양에서는 Inceptisols중에서 Andept는 Allophane, Alfisols에서는 2:1 광물이지만, Ultisols에서는 Halloysite이다. 모재별 조암 광물의 풍화와 점토광물의 생성과정에서 화강암(花崗岩)과 화강편마암(花崗片麻岩)의 장석류(長石類)는 kaoline광물로, 이 밖의 운모광물(雲母鑛物), 녹니석(綠泥石), 각섬석(角閃石), 휘석(輝石)으로부터 생성된 illite, chlorite, vermiculite는 풍화중간에 혼층단계(混層段階)를 거쳐서 kaoline 광물로 풍화된다. 석회암(石灰岩) 토양의 smectite가 Mg농도가 높은 토양용액으로부터 침전되어 생성되었거나 운모 또는 chlorite에서 유래된 vermiculite의 변성작용에 의해 생성되고, 혈암(頁岩)토양의 점토에 illite가 주로 풍화에 저항성이 큰 미립자의 함수백운모(含水白雲母)로부터 유래되며, 현무암(玄武岩) 중의 장석류(長石類)는 kaoline광물로, 휘석(輝石)은 chlorite${\rightarrow}$illite의 풍화과정을 거친다. Zeolite, 함불석 Bentonite, Bentonite 등 우량점토 광물이 분포과 광물조성, 이화학적 특성이 조사되었고,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의 개선을 필요로 하는 토양의 개량을 위해서 Bentonite, Zeolite, Vermiculite 등의 토양 개량재(改良材)로서의 기초연구와 이들 개량재 시용효과에 관한 연구 등이 주로 논토양에서 수행되었다. 점토광물과 수량관계를 보면 Montmorillonite를 주점토광물로 함유된 답 토양의 수도수량이 1:1 광물을 주점토광물로 함유하고 있는 토양에서의 수도수량 보다 높았다. 토양광물에 관한 기초연구(基礎硏究)로서 양이온교환능과 포화이온의 영향, 입자의 전기화학적 성질, 흡탈착 성질, 표면적과 등전점, 해성점토에 대한 압밀점토(壓密粘土)의 변형율(變形率)의 추정 등이 주로 연구되었다. 부가가치가 낮거나 폐기되는 광물을 이용하여 토양개량재 혹은 흡착제를 형성하는 연구가 알카리 처리에 의한 Zeolite 합성에 집중되었다.

  • PDF

Studies on the Morphologica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Korean Forest soil in Relation to the Growth of Korean White Pine and Japanese Larch (한국산림토양의 형태학적 및 이화학적성질과 낙엽송, 잣나무의 성장(成長)에 관한 연구(硏究))

  • Chung, In-Koo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12 no.4
    • /
    • pp.189-213
    • /
    • 1980
  • 1. Aiming at supply of basic informations on tree species siting and forest fertilization by understanding of soil properties that are demanded by each tree species through studies of forest soil's morphologica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in relation to tree growth in our country, the necessary data have been collected in the last 10 years, are quantified according to quantification theory and are analyzed in accordance with multi-variate analysis. 2. Test species, larch and the Korean white pine, are plantable in extensive areas from mid to north in the temperate zone and are the two most recommended reforestation tree species in Korea. However, their respective site demands are not known and they have been in confusion or considered demanding the same site during reforestation. When the Korean white pine is planted in larch sites, it has shown relatively good growth. But, when larch is planted in the Korean white pine site it can be hardly said that the larch growth is good. To understand on such a difference soil factors have been studied so as to see how the soil's morphological, physical and chemical factors affect tree growth helped with the electronic computer. 3. All the stands examined are man-made mature forests. From 294 larch plots and 259 white pine plots dominant trees are cut as samples and through stem analysis site index is determined. For each site index soil profiles are made in the related forest-land for analysis. Soil samples are taken from each profile horizon and forest-land productivity classification tables are worked out through physical and chemical analysis of the soil samples for each tree species for the study of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chemical and the combined physical/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tree growth. 4. In the study of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properties of soil and tree growth it is found out that larch growth is influenced by the following factors in the order of deposit form, soil depth, soil moisture, altitude, relief, soil type, depth of A-horizon, soil consistency content of organic matter soil texture bed rock gravel content aspect and slope. For the Korean white pine the influencing factors' order is soil type, soil consistency bed rock aspect depth of A-horizon soil moisture altitude relief deposit form soil depth soil texture gravel content and slope. 5. In the study of relationships between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tree growth it is found out that larch growth is influenced by the following factors in the order of base saturation organic matter CaO C/N ratio, effective $P_2O_5$ PH.exchangeable $K_2O$ T-N MgO C E C Total Base and Na. For the Korean white pine the influencing factors' order is effective $P_2O_5$ Total Base T-N Na C/N ratio PH CaO base saturation organic matter exchangeable $K_2O$ C E C and MgO. 6. In the study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combined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tree growth it is found out that larch growth is influenced by the following factors in the order of soil depth deposit form soil moisture PH relief soil type altitude T-N soil consistency effective $P_2O_5$ soil texture depth of A-horizon Total Base exchangeable $K_2O$ and base saturation. For the Korean white pine the influencing factors' order is soil type soil consistency aspect effective $P_2O_5$ depth of A-horizon exchangeable $K_2O$ soil moisture Total Base altitude soil depth base saturation relief T-N C/N ratio and deposit from. 7. In the multiple regression of forest soil's physical properties larch's correlation coefficient is 0.9272 and for the Korean white pine it is 0.8996. With chemical properties larch has 0.7474 and the Korean white pine has 0.7365. So, the soil's physical properties are found out more closely related with tree growth than chemical properties. However, this seems due to inadequate expression of soil's chemical factors and it is proved that the chemical properties are not less important than the physical properties. In the multiple regression of the combined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consisting of important morphological and physical factors as well as chemical factors of forest soils larch's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 is found out to be 0.9434 and for the Korean white pine it is 0.9103 leading to the highest correlation. 8. As shown in the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s larch needs deeper soil depth than the Korean white pine and in the deposit form colluvial and creeping soils are demanded by the larch. Adequately moist to too moist should be soil moisture and PH should be from 5.5 to 6.1 for the larch. Demands of T-N soil texture and soil nutrients are higher for the larch than the Korean white pine. Thus, soil depth, deposit form, relief soil moisture PH N altitude and soil texture are good indicators for species sitings with larch and the Korean white pine while soil type and soil consistency are indicative only limitedly of species sitings due to their wide variation as plantation environments. For larch siting soil depth deposit form relief soil moisture PH soil type N and soil texture are indicators of good growth and for Korean white pine they are soil type soil consistency effective $P_2O_5$ and exchangeable $K_2O$, which is demanded more by the Korean white pine than larch generally. 9. Physical properties of soil has been known as affecting tree growth to greatest extent so far. However,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proved through computer analysis that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re not less important factors for tree growth than chemical properties and site demands for larch and the Korean white pine that have been uncertain So far could be clarified.

  • PDF

As로 오염된 폐광산 토양에 대한 토양세척법 적용

  • 신현무;한경욱;이상화;김민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27-30
    • /
    • 2004
  • 오염토양의 pH는 7.47에서 7.97까지의 범위로 약 알카리성이며, 토성은 80% 이상이 0.425 -2 mm 범위에 분포하는 coarse sand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토양 입도 분석 및 농도 분포의 결과로 볼 때, 입도 2mm 이하의 토양 중 0.85-2.00 mm 범위에 있는 토양이 약 60% 이상의 오염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세척제로 고려된 용액 중 As 용출효율의 결과를 살펴보면, H$_3$PO$_4$ 및 citric acid가 100% 제거율을 보이고 있어 가장 효과적임을 나타내고 있다.

  • PDF

Estimation of Rainfall-Runoff Erosivity Factor Using Scale Invariance Property (스케일 성질을 이용한 강우침식인자 추정)

  • Lee, Joon-Hak;Jung, Young-Hun;Oh, Kyoung-Doo;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69-173
    • /
    • 2010
  • 토양침식은 농경지 면적의 감소 및 사태 유발, 토사의 하천 유입으로 인한 생태계 교란 및 오염물질 확산 등의 피해를 야기시킨다. 토양침식을 유발하는 가장 큰 인자는 일반적으로 강우로 알려져 있으며, 연구대상 지역의 토양침식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강우침식인자를 추정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정필균(1983), 박정환 등(2000)은 각각 1980년, 1996년 이전의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강우침식인자를 제시한 바 있으나,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1시간 단위 강우량으로 30분 최대 강우강도를 추정하는 것이 제한되어, 근래에 들어서는 연강수량을 이용하여 강우침식인자를 산정할 수 있는 국외 추정식을 적용하는 연구사례가 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1시간 단위 강우자료를 바탕으로 각 호우사상별 30분 최대 강우강도를 추정하여 보다 정확한 연강우침식인자를 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강우의 스케일 성질을 이용하였다. 속초 지점의 2007년 강우자료를 바탕으로 각 호우사상의 1시간 최대 강우량을 하향스케일링 하여 30분 최대 강우강도를 산출하여 강우침식인자를 산정한 결과, 기존의 $EI_{30}$$EI_{60}$의 상관관계식 및 연강수량을 이용한 추정방법보다 더 합리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도태품종 고집은 손해만 초래

  • 문종열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8 no.1
    • /
    • pp.61-67
    • /
    • 1987
  • 과수농사를 잘 하려면 식물생리, 토양의 이$\cdot$화학적 성질, 비료의 성질과 작용, 병$\cdot$해충의 생활사, 농약, 유통등의 지식을 갖추어 조화있게 조절할 수 있어야 최소의 경비로 최대의 소득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본지식이 없이 다른 사람들을 따라서 농사를 짓다보면 너무나 몰라서 실패하는 경우가 많은데 과수농사에 성공을 하려면 수시로 발생되는 문제점에 대해서는 실물을 가지고 농촌지도소, 농촌진흥청 또는 농과대학에 가서 완전한 해답을 얻고 그 해답을 기록하여 두는 습관을 길러 지식을 축적한다면 실패의 원인을 감소시킬 수 있다. 과수농사 성공의 비결은 과종과 품종의 선택, 병$\cdot$해충방지, 알맞은 토양관리, 알맞은 전정, 생산물의 상품화 적기판매 등이 잘 되어야 높은 소득을 올릴 수 있다.

  • PDF

유기농업과 퇴비제조 기술

  • 이태근
    • 농업기술회보
    • /
    • v.39 no.6 s.467
    • /
    • pp.34-39
    • /
    • 2002
  • 퇴비를 포함하여 지구상에는 다양한 종류의 유기물이 생산$\cdot$이용되고, 분해되면서 자연계 내에서 순환한다. 환경농업에서는 다양한 유기질 자재를 이용하여 양분의 공급, 토양성질의 개선 등을 도모할 수 있으며, 화학 비료가 같지 못하는 토양개선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는 동시에 품질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환경농업에 이용될 수 있는 기본적인 자재의 이해를 돕고, 그 활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다.

  • PDF

Analysi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Morphologica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Forest Soils and the Growth of the 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and Larix leptolepis Gord by Quantification (수량화(數量化)에 의(依)한 우리나라 삼림토양(森林土壤)의 형태학적(形態学的) 및 이화학적(理化学的) 성질(性質)과 잣나무 및 낙엽송(落葉松)의 생장(生長) 상관분석(相關分析))

  • Chung, In K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53 no.1
    • /
    • pp.1-26
    • /
    • 1981
  • 1. Aiming at supply of basic informations on tree species siting and forest fertilization by understanding of soil properties that are demanded by each tree species through studies of forest soil's morphologica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in relation to tree growth in our country, the necessary data have been collected in the last 10 years, are quantified according to quantification theory and are analyzed in sccordance with multi-variate analysis. 2. Test species, japanese larch (Larix leptolepis Gord) and the Korean white pine, (pinus koraiensis S et Z.) are plantable in extensive areas from mid to north in the temperate forest zone and are the two most recommended reforestation tree species in Korea. However, their respective site demands are little known and they have been in confusion or considered demanding the same site during reforestation. When the Korean white pine is planted in larch sites, it has shown relatively good growth, but, when Japanese larch is planted in Korean white pine site it can be hardly said that the Japanese Larch growth is good. To understand on such a difference soil factors have been studied so as to see how th soil's morphological, physical and chemical factors affect tree growth helped with the electronic computer. 3. All the stands examined are man-made mature forests. From 294 Japanese larch plots and 259 Korean white pine plots dominant trees are cut as samples and through stem analysis site index is determined. For each site index soil profiles are made in the related forest-land for analysis. Soil samples are taken from each profile horizon and forest-land productivity classification tables are worked out through physical and chemical analyses of the soil samples for each tree species for the study of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chemical and the combined physical/properties of soil and tree growth. 4. In the study of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properties of soil and tree growth it is found out that Japanese larch growth is influenced by the following factors in the decreasing order of weight deposit form, soil depth, soil moisture, altitude, relief, soil type, depth a A-horizon, soil consistency, content of organic matter, soil texture, bed rock, gravel content, aspect and slope. For the Korean white pine the influencing factors' order is soil type, soil consistency, bed rock, aspect, depth of A-horizon, soil moisture, altitude, relief, deposit form, soil depth, soil texture, gravel content and slope. 5. In the study of relationships between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tree growth it is found out that Japanese larch growth is influenced by the following factors in the order of base saturation, organic matter, CaO, C/N ratio, effective $P_2O_5$, PH, exchangeable, $K_2O$, T-N, MgO, CEC, Total Base and Na. For the Korean white pine the influencing factors' order is effective $P_2O_5$, Total Base, T-N, Na, C/N ratio, PH, CaO, base saturation, organic matter, exchangeable $K_2O$, CEC and MgO. 6. In the study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combined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tree growth it is found out that Japanese larch growth is influenced by the following factors in the order of soil depth, deposit form, soil moisture, PH, relief, soil type altitude, T-N, soil consistency, effective $P_2O_5$, soil texture, depth of A-horizon, Total Base, exchangeable $K_2O$ and base saturation. For the Korean white pine the influencing factors' order is soil type, soil consistency, aspect, effective $P_2O_5$, depth of A-horizon, exchangeable $K_2O$, soil moisture, Total Base, altitude, soil depth, base saturation, relief, T-N, C/N ratio and deposit form. 7. In the multiple correlation of forest soil's physical properties larch's correlation coefficient for Japanese Larch is 0.9272 and for Korean white pine, 0.8996. With chemical properties larch has 0.7474 and Korean white pine has 0.7365. So, the soil's physical properties are found out more closely related with tree growth than chemical properties. However, this seems due to inadequate expression of soil's chemical factors and it is proved that the chemical properities are not less important than the physical properties. In the multiple correlation of the combined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consisting of important morphological and physical factors as well as chemical factors of forest soils larch's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 is found out to be 0.9434 and for Korean white pine it is 0.9103 leading to the highest correlation. 8. As shown in the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s Japanese larch needs deeper soil depth than Korean white pine and in the deposit form of colluvial and creeping soils are demanded by the larch. Moderately moist to not moist should be soil moisture and PH should be from 5.5 to 6.1 for the larch. Demands of T-N, soil texture and soil nutrients are higher for the larch than the Korean white pine. Thus, soil depth, deposit form, relief, soil moisture, PH, N, altitude and soil texture are good indicators for species sitings with larch and the Korean white pine while soil type and soil consistency are indicative only limitedly of species sitings due to their wide variations as plantation environments. For the larch siting soil depth, deposit form, relief, soil moisture, pH, soil type, N and soil texture are indicators of good growth and for the Korean white pine they are soil type, soil consistency, effective $P_2O_5$ and exchangeable $K_2O$. In soil nutrients larch has been found out demanding more than the Korean white pine except $K_2O$, which is demanded more by the Korean white pine than Japanese larch generally. 9. Physical properties of soil has been known as affecting tree growth to the greatest extent so far. However,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proved through computer analysis that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re not less important factors for tree growth than chemical properties and site demands for the Japanese larch and the Korean white pine that have been uncertain so far could be clarifi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