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양군

Search Result 90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Ligusricum chuanxing Hort. according to Cultivation Environment (재배지 환경에 따른 토천궁의 생육특성)

  • Hong Woo Park;Ki Yoon Kim;Dae Hui Jeong;Hyun-Jun Kim;Chung Ryul Jung;Yurry Um;Kwon Seok Je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98-9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약재로 사용되는 천궁 중 토천궁(Ligusricum chuanxing Hort.)에 대한 지역별 생육환경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지상부 및 지하부 생장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토천궁의 적정 재배지역 확인 및 지속 가능한 안정적인 한약재 생산에 대한 기초자료로 사용함에 있다. 토천궁이 주로 재배되고 있는 봉화군, 영양군, 평창군과 더불어 기후변화에 의한 재배지 이동을 고려하여 고위도 지역인 인제군을 포함한 4지역의 재배지를 선정하였으며, 생육특성을 비롯 기상 및 토양환경을 분석하여 토천궁의 생육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4지역의 재배지 중 지상부와 지하부의 전체적인 생육은 평창지역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확인되었다. 그리고 생육특성과 기상환경과의 상관관계에서 대기 및 토양온도가 지상부의 전체높이, 줄기직경, 지하부의 생육특성과 P < 0.01수준에서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 잎의 길이 및 너비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일사량이 높아질수록 잎의 크기를 제외한 생육특성이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는데 이는 대기 및 온도의 상승으로 인한 잎의 증발산율 상승과 일사량에 따른 잎의 광합성량의 차이에 의한 결과라 사료된다. 또한 토양특성과의 상관관계에서 OM과 N, P, K는 지상부의 전체 높이와 줄기 직경을 비롯한 지하부의 생육특성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근권의 토양시료를 사용하여 분석한 것이라 실질적으로 토천궁의 생육에 필요한 토양의 성분이 OM과 N, P, K이며, 토천궁에 의해 흡수되었다고 판단되는데 생육이 가장 우수했던 평창지역 토양 내 OM(1.69%)과 N(0.09%), P(897.72mg/kg), K(0.21cmol+/kg)의 수치가 타 지역 대비 상대적으로 낮게 측정된 결과가 본 실험에서 확인된 생육에 대한 OM, N, P, K의 함량과 부의 상관관계를 지지하며,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토천궁의 재배지 선정 및 재배기술 정립에 활용할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PDF

펄스동전기를 이용한 토양의 중금속 제거 기술 연구

  • Choi Chang-Sik;Kim Ho;On Ji-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6.04a
    • /
    • pp.128-130
    • /
    • 2006
  • 충남 청양군에 위치한 삼광광산의 광미장에서 채취한 것을 사용하여 펄스전원을 이용한 동전기실험 결과 실험경과시간 약 200시간 안에 약 50%의 제거효율을 보여 직류전원을 이용한 동전기 실험보다 빠른 제거속도를 보였다. 또한 직류전원을 이용한 동전기 실험과 펄스전원을 이용한 동전기 실험의 시간당 투입된 전력량을 비교해 보면 각각 5.97W와 1.94W으로 이는 직류전원의 약 30%수준이어서 에너지 절약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PDF

Calculation of Soil Moisture Control Section to determine Soil Moisture Regime of Medium Textured Soil Catena in Hilly Area (경사지(傾斜地) 중립질토양연접군(中粒質土壤連接群)에 대한 토양수분상(土壤水分相) 결정(決定)을 위한 부위(部位) 선정(選定))

  • Jung, Yeun-Tae;Kim, Jung-Kon;Son, Il-Soo;Yoon, El-Soo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22 no.1
    • /
    • pp.1-5
    • /
    • 198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using laboratory data to calculate Soil Moisture Control Section (SMCS) for medium textured topo-sequential soils derived from porphyry in Milyang area. The soils studied were characterized by loam to silty clay loam, and the moisture content at -1/3 bar in the solum ranged around 21.06% to 32.42%. The moisture contents per centimeter of soil layer within a solum calculated at field capacity (FC) ranged from 0.11cm to 0.19cm. The upper boundaries of SMCS of the soils calculated on the basis of FC as the water content at -1/3 bar, ranged from 16.2cm to 21.2cm and the lower boundaries from 44.4cm to 63.8cm, and the depth of SMCS were from 27.7cm to 42.6cm in the soil profiles. The Bongsan soil on the summit had shallower in the boundaries and narrower in the depth of SMCS than the soils on side-slopes or on valley.

  • PDF

Estimation of Soil Organic Carbon Storage Using Soil Characteristics (토양 특성을 이용한 토양유기탄소저장량 산정)

  • Lee, Taehwa;Kim, Sangwoo;Chun, Beomseok;Jung, Younghun;Shin, Yo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96-196
    • /
    • 2020
  • 토양은 육상생태계에 있어 가장 많은 탄소를 저장하고 있으며, 대기 중 CO2를 토양탄소로 전환하여 쉽게 방출되지 않고 토양 내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듯 토양 유기탄소 배출관리는 기후변화에 있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토지이용의 변화와 무분별한 관리로 인하여 토양내에 저장되어 있는 토양 탄소배출이 지속적으로 증가 하고 있다. 따라서 토양탄소 배출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 수치적으로 표현하는 가치평가가 필요하다. 현재 토양에 저장된 토양유기탄소 함량을 토양통별로 토양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고 있지만 국내 토양 토양탄소 저장량의 산정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양 특성을 이용하여 토양 유기탄소 저장량을 산정하고, 산정된 토양 유기탄소 저장량과 정밀토양도를 이용하여 남한의 토양 유기탄소 가치평가를 실시하였다. 토양의 특성은 물리적 특성인 모래(Sand), 이토(Silt), 점토(Clay), 자갈(Gravel)함량과 화학적 특성인 유기물함량(Organic Matter)를 사용하였다. 토양 유기탄소저장량 산정의 검증을 위하여 전라남도 진도군의 토양유기탄소 저장량을 산정한 결과 486,696t으로, 선행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남한의 토양 유기탄소 저장량을 산정한 결과 305.54Mt의 유기탄소가 저장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위 면적당 유기탄소 저장량의 경우 3.11kg/㎡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9년 상반기 기준 평균 탄소거래권 가격(27,500원/톤)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국토의 토양탄소 저장량 가치평가를 실시한 결과, 약 8조 4천억원의 경제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토양의 물리적·화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토양의 유기탄소 저장량을 산정하였으며, 토양에 저장되어 있는 유기탄소의 가치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농업, 수문, 기후변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aleomagnetic and Soil Chemical Studies on the Quaternary Paleosol Around the Hantan River (한탄강 인근 제4기 고토양층에 대한 토양화학 및 고지자기학적 연구)

  • 김복철;황재하;이윤수;이규호;남욱현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7 no.3
    • /
    • pp.325-334
    • /
    • 2004
  • Detail downward variation records for paleomagnetic, XRD, photospectrogram, TOC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soil developed along the Hantan River, Gungpyeong-ri, Cheongsan-myeon, Yeoncheon-gun Gyeonggi-do. The unconsoildated sediments underlain by the Jeongok Quaternary Basalt indicates that the paleosol formed twice with different ages, as apparently indicated by sedimentological, paleomagnatic,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The paleosols recorded paleoclimate and paleoenvironments of about 271.21$\pm$89.8 ka before eruption of the Quaternary Jeongok Basalt.

Development of Drought Assessment Scheme using Root Zone Soil Moisture (토양수분을 이용한 가뭄평가기법 개발)

  • Shin, Yongchul;Park, KyungWon;Yoon, Sunkwon;Jung, Yo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4-24
    • /
    • 2015
  • 최근 원격탐사기법을 이용한 많은 가뭄평가기법들이 개발되었으나 산림과 함께 산악지형이 우세한 우리나라의 경우 지형특성으로 인하여 가뭄평가시 불확실성이 증가하게 된다. 특히, 농업가뭄은 기후와 지표특성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기후특성만을 고려한 가뭄지수는 실제 필요한 농업가뭄의 특성을 반영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와 지표특성을 함께 고려할 수 있는 토양수분을 이용한 가뭄평가기법(Drought Assessment Scheme)을 개발하였다. 가뭄평가기법을 위하여 역추적기법(Inverse Modeling-IM) 기반의 자료동화기법(Data Assimilation, DA)을 이용하였다. 자료동화기법은 1-Dimensional (1-D) 기반의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는 SWMI_ST 모형과 최적화 알고리즘(유전자 알고리즘, Genetic Algorithm-GA)을 연계하여 실측 및 위성기반의 토양수분자료로부터 토양의 수리학적 매개변수(${\alpha}$, n, ${\Theta}_{res}$, ${\Theta}_{sat}$, $K_{sat}$)를 추출한다. 본 연구에서는 LANDSAT(30 m X 30 m) 및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MODIS, 500 m X 500 m) 이미지자료를 이용하여 시 공간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토양수분을 산정하였으며, 이후 자료동화기법을 이용하여 LANDSAT/MODIS 토양수분자료로 부터 공간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토양의 매개변수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매개변수, GIS 기반의 지표피복 및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장기간의 토양수분을 산정 및 예측 할 수 있다. 고해상도의 이미지 자료를 사용하는 가뭄평가기법은 필지~시 군 단위까지 실제 우리나라 지형특성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가뭄을 모니터링 및 예측 할 수 있다.

  • PDF

Study on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Soil Moisture (토양수분량 측정 현황 및 분석)

  • Lee, JungHoon;Jang, Eunse;Lee, YeonKil;Kim, SangHyu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23-223
    • /
    • 2016
  • 수문 순환과 물 수지에 관한 연구는 강수량, 지표유출량, 지하수, 토양수분 및 증발산량 등에 대한 관측이 이루어질 때 실제로 규명될 수 있다. 특히 국내 지형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산림 사면에서 토양수분량 측정은 물순환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의 기초수문자료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수문자료의 다양화 목적을 가지고 TDR(Time Domain Reflectometry, TDR) 장비를 이용하여 2시간 간격으로 2015년 3월부터 12월까지 측정을 수행하였다. 관측지점은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설마리의 설마천 유역 내에 위치한 감악산내 범륜사 주변 사면과, 충청북도 음성군의 청미천 유역내의 수레의산 산지 사면에서 수행하였다. 관측소에서 측정된 토양수분량 자료는 토양수분량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토양수분량의 통계분석(평균, 표준편차, 변동계수)를 수행하였다. 설마천유역의 설마천 관측소에서는 2015년 강수량이 적어 2014년의 토양수분량 평균값보다 낮게 측정되었다(평균 12.96%, 표준편차 2.2%). 청미천유역의 청미천 관측소에서도 설마천관측소와 마찬가지로 과거보다 적은 강수량이 발생하였지만, 설마천 관측소와는 다르게 안정적인 토양수분 평균값을 유지하는 것은 설마천 관측소 보다 토양층이 발달하고 토성의 점토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으로 보인다. 청미천 관측소의 토양수분량은 평균 24.3%, 표준 편차 1.7%로 나타났다.

  • PDF

Habitat Characteristics of Saussurea chabyoungsanica (자병취의 생육지 특성)

  • Oh, Young-Ju;Paik, Weon-Ki;Lee, Woo-Chul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5 no.3 s.107
    • /
    • pp.145-152
    • /
    • 2002
  • Saussurea chabyoungsanica was recorded in new species by Lim Hyoung Tak in 1997. In order to understand the entity of new species, we investigated the new distribution sites,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environmental factors. Additionally discovered distribution sites of S. chabyoungsanica were Manduckbong, Mt. Sukbyoung, Mt. Duckhang, and Sukgaejae, which were located on ridge of the Taebaek Mountains. Those sites are typical limestone zones of Korea and among them Sukgaejae belongs to lower great limestone area and Manduckbong, Mt. Sukbyoung and Mt. Duckhang belong to upper great limestone area. According to the result of phytosociological study, plant communities of S. chabyoungsanica were classified by 1 Community group, 4 Communities and 2 Subcommunities; Carex humilis var. nana-Saussurea chabyoungsanica Community group in wide sens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 Lespedeza maximowiczii-Saussurea chabyounsanica Community, Galium kinuta-Saussurea chabyoungsanica Community, Salvia chanryonica-Saussurea chabyoungsanica Community, Zabelia coreana-Saussurea chabyoungsanica Community. Environmental factor analysis of habitat showed that the distribution site of S. chabyoungsanica was ridge of North aspect and displayed pH $7{\sim}8$ typical of limestone. Soil moisture content was high, whereas organic matter content was low. Considering its high occurrence in sites of $1{\sim}10cm$ in soil depth, and of $30{\sim}45%$ in relative light intensity, major distribution sites were outcrops and boundaries between shrubland and forest. After community division by vegetation structure in habitat of S. chabyoungsanica, we investigated characters of soil environment by community. As a result of PCA analysis of soil sample by community, it was possible to divide community by characters of soil environmental factor. The cumulative value of contribution rate represented in second dimension space was 73% and the major factors for that value were soil texture, organic matter content and field capacity.

Analysis of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the Soil and Root System by 168 rRNA Genes (16S rDNA를 이용한 토양, 작물근계의 세균군집 구조해석)

  • Kim, Jong-Shik;Kwon, Soon-Wo;Ryu, Jin-Chang;Yahng, Chang-Sool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3 no.4
    • /
    • pp.266-274
    • /
    • 2000
  • Understanding of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in soil-root system is necessary to use beneficial soil and rhizosphere microbes for improvement of crop production and biocontrol. The knowledge of behavior and function of microbes in soil-root system plays a key role for the application of beneficial inocula. Because the majority of the intact bacteria in soil are unable to grow on nutrient media, both culturable and nonculturable bacteria have to be studied together. In our study, culture-independent survey of bacterial community in the soil-root system of red pepper fields was conducted by the sequence analysis of three universal clone libraries of genes which code for small-subunit rRNA (rDNA). Universal small subunit rRNA primers were used to amplify DNA extracted from each sample and PCR products were cloned into pGEM-T. Out of 27 clones sequenced, 25 clones were from domain bacteria. Two of the rDNA sequences were derived from eukaryotic organelles. Within the domain bacteria, several kingdoms were represented : the Proteobacteria (16 clones). Cytophyga-Flexibacter-Bacteroides group (2 clones). the high G+C content gram-positive group(1 clone) and 4 unknown clones.

  • PDF

Habitat Characteristics of Saussurea chabyoungsanica (자병취의 생육지 특성)

  • 백원기;오영주;이우철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5 no.2
    • /
    • pp.75-82
    • /
    • 2002
  • Saussurea chabyoungsanica was recorded in new species by Lim Hyoung Tak in 1997. In order to understand the entity of new species, we investigated the new distribution sites,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environmental factors. Additionally discovered distribution sites of S. chabyoungsanica were Manduckbong, Mt. Sukbyoung, Mt. Duckhang, and Sukgaejae, which were located on ridge of the Taebaek mountains. Those sites are typical limestone zones of Korea and among them Sukgaejae belongs to lower great limestone area and Manduckbong, Mt. Sukbyoung and Mt. Duckhang belong to uper great limestone area. According to the result of phytosociological study, plant communities of S. chabyoungsanica were classified by 1 Community group, 4 Communities and 2 Subcommunities; Carex humilis var. nana - Saussurea chabyoungsanica Community group in wide sens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 Lespedeza maximowiczii- Saussurea chabyoungsanica Community, Galium kinuta - Saussurea chabyongsanica Community, Saliva chanryonica - Saussurea chabyoungsanica Community, Zabelia coreana - Saussurea chabyoungsanica Community. Environmental factor analysis of habitat showed that the distribution site of S. chabyoungsanica was ridge of North aspect and displayed pH 7∼8 typical of limestone. Soil moisture content was high, whereas organic matter content was low. Considering its high occurrence in sites of 1∼10cm in soil depth, and of 30∼45% in relative light intensity, major distribution sites were outcrops and boundaries between shrubland and forest. After community division by vegetation structure in habitat of S. chabyoungsanica, we investigated characters of soil environment by community. As a result of PCA analysis of soil sample by community, it was possible to divide community by characters of soil environmental factor. The cumulative value of contribution rate represented in second dimension space was 73% and the major factors for that value were soil texture, organic matter content and field capa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