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석류 재해

Search Result 12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Study for Enhancing Resilience to Debris Flow at the Vulnerable Areas (토석류 재해발생 시 레질리언스 강화를 위한 연구)

  • Kim, Sungduk;Lee, Hojin;Chang, Hyungjoon;Dho, Hyonse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2 no.8
    • /
    • pp.5-12
    • /
    • 2021
  • Climate change caused by global warming increases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super typhoons and causes various types of sediment disasters such as debris flows in the mountainous area.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behavior of debris flow according to the multiplier value of the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and the quantity of debris flow according to the typhoon category. For the analysis of the debris flow, the finite difference method for time elapse was applied. The larger the typhoon category, the higher the peak value of the flow discharge of debris flow and the faster the arrival time. When the precipitation characteristic multiplier is large, the fluctuation amplitude is high and the bandwidth is wide. When the slope angle was steeper, water discharge increased by 2~2.5 times or more, and the fluctuation of the flow discharge of debris flow increased. All of the velocities of debris flow were included to the class of "Very rapid", and the distribution of the erosion or sedimentation velocity of debris flows showed that the magnitude of erosion increased from the beginning, large-scale erosion occurred, and flowed downstre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nformation for predicting debris flow disasters, structural countermeasures and establishing countermeasures for reinforcing resilience in vulnerable areas.

Assessment of dam function deterioration by landslides-debris flows: a numerical modeling based on vegetation distribution scenarios (산사태 및 토석류 발생에 따른 댐의 기능저하 현상 평가)

  • Seungjun Lee;Hyunuk An;Minseok Kim;Heemin K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39-139
    • /
    • 2023
  • 산사태는 사면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토사재해이다. 그리고 산사태가 발생하여 사면이 붕괴하였을 때 동반되어 나타나는 토석류는 지형 변화의 중요한 원인으로 간주한다. 산사태와 토석류가 도시나 농촌 등 인구가 밀집된 지역에서 발생할 경우 직접적인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발생시키며, 댐이나 저수지가 위치한 유역에서 발생할 경우 댐/저수지에 토사가 유입되어 유효저수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시설물의 기능을 저하할 수 있다. 댐/저수지의 지속적인 운영과 관리하고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수치 모형을 활용하여 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한국은 국토 70%의 산지에 약 18,000개의 댐과 저수지가 설치되어 있으나, 댐과 저수지 유역에서 발생하는 산사태와 토석류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댐이나 저수지 유역에서 발생하는 산사태-토석류로 인해 해당 시설물에 발생하는 피해를 집중적으로 분석하고자 수치모형을 활용하였다. 또한 산지에서 발생하는 토사재해의 특성을 반영하고자 식생을 고려하기 위한 분포 시나리오를 구축하여 사면 안정성 및 토석류 유동에 있어서 식생의 영향을 파악하였습니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Debris Flow Area Using Hyper KANAKO Model (Hyper KANAKO모형을 이용한 토석류 발생지역의 수치모의)

  • Kim, Young Hwan;Jun, Ke Won;Jun, Byeong Hui;Tak, Won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60-160
    • /
    • 2016
  • 토석류 재해규모의 예측이나 효과적인 사방 구조물의 검토에 있어 토석류 수치모형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의 유동특성을 파악하고 토석류 피해지역의 정확한 분석을 통해 토석류 유출저감시설(사방댐)의 설치 위치 및 저감효과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토석류해석시 침식 및 퇴적작용 해석이 가능한 Hyper KANAKO모형을 이용하여 토석류 수치모델링을 수행하였고, 대상지역의 정확한 분석을 위해 지상LiDAR로 실측된 고정밀도 DEM자료를 구축하고 수치모델링을 통해 사방댐의 적정 설치 위치 및 제원에 따른 토석류 저감효과 등을 분석함으로써 토석류 저감 대책 수립 시 기본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Umyeon Mountain Debris Flow Movement Analysis Using Random Walk Model (Random Walk Model을 활용한 우면산 토석류 거동 분석)

  • Kim, Gihong;Won, Sangyeon;Mo, Se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2 no.5
    • /
    • pp.515-525
    • /
    • 2014
  • Recently, because of increasing in downpour and typhoon, which are caused by climate changes, those sedimentation disasters, such as landslide and debris flow, have become frequent. Those sedimentation disasters take place in natural slope. In order to predict debris flow damage range within wide area, the response model is more appropriate than numerical analysis. However, to make a prediction using Random Walk Model, the regional parameters is needed to be decided, since the regional environments conditions are not always same. This random Walk Model is a probability model with easy calculation method, and simplified slope facto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alculate the optimal parameters of Random Walk Model for Umyeon mountain in Seoul, where the large debris flow has occurred in 2011. Debris flow initiation zones and sedimentation zones were extracted through field survey, aerial photograph and visual reading of debris flow before and after its occurrence via LiDAR DEM.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depositional patterns of debris flow (횡단 배수로 내 토석류 퇴적 양상의 실험 연구)

  • Kim, Young-Il;Paik, Jo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8-42
    • /
    • 2011
  • 토석류는 산간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장 위험한 자연재해 중 하나로 입자-유체 혼합물인 토석류가 중력에 의해 매우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산간지역에서의 토석류 발생은 도로의 횡단 배수 구조물의 통수능을 저하시키게 되며 그 결과 도로의 유실 등 막대한 피해를 발생시킨다. 잠재적인 토석류 발생 지역에서의 피해 저감을 위해서는 진보된 설계 기준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토석류의 횡단 배수구조물 내에서 토석류의 동적 거동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수리 실험을 통하여 횡단 배수구조물 내에서 토석류의 퇴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수리 실험 장비는 폭이 일정한 사각형 수로로 접근 수로와 하류부 수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접근수로의 상단부에서 일정한 유량의 토석류를 연속적으로 유입시켜 경사가 급변하는 하류부 수로 내에서의 토석류 퇴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실험 결과로 토석류의 거동 특성은 토석류의 체적 농도, 입자의 특성, 그리고 접근수로와 하류부 수로의 바닥 경사에 종속됨을 정량적으로 알 수 있었다. 또한, 토석류의 체적 농도나 수로 바닥경사 등과는 상관없이 토석류의 퇴적은 하류부 수로의 종단부인 자유 낙하 지점에서부터 시작되었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퇴적 지점이 접근 수로 쪽으로 이동하며 퇴적량이 크게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 때, 하류부 수로 내 퇴적된 토석류는 약 $12{\sim}15^{\circ}$의 경사를 보였다.

  • PDF

토석류 유발 시나리오에 따른 충격력 분포도 작성

  • Kang, Dong Ho;Lee, Seok Ho;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56-156
    • /
    • 2017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국지성 집중호우 및 태풍으로 인한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많은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그 중 토석류 피해가 산지뿐만 아니라 도심지에서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토석류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토석류 연구를 위한 다양한 토석류 모형이 있으며 토석류 거동 분석, 토석류 피해범위 분석 등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토석류에 의한 충격력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의 유속과 유동심을 이용하여 피해범위에 따른 충격력을 산정하고 충격력 분포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대상지역으로는 2011년 집중호우로 인해 토석류가 발생하였던 서울 우면산, 춘천 마적산 2개소, 용인시 능원리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토석류를 유발시키는 홍수량을 해석하기 위해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인 S-RAT모형을 사용하였으며, 토석류 충격력 해석을 위해 토석류 2차원 수치해석모형인 RAMMS모형을 사용하였다. 모의 시나리오는 빈도별 확률강우량(30년, 50년, 100년, 200년)과 토사농도(Cv : 0.4, 0.5)를 이용하여 RAMMS모형에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시나리오에 따른 충격력 분포도를 구축하였다. 분석 결과로 나온 토사재해 충격력 분포도를 통하여 재료별(콘크리트, 철골, 조적식, 목재) 저항력에 따른 시설물 설치 가능 지점을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A Study on Estimation of Amount of Debris-Flow using Terrestrial LiDAR (지상 LiDAR를 이용한 토석류 발생량 산정에 관한 기초연구)

  • Jun, Kyewon;Jun, Byonghee;Ahn, Kwangkuk;Jang, Changdeok;Kim, Namgyun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1 no.3
    • /
    • pp.63-6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estimating of the amount of debris flow in hazard area using terrestrial LiDAR surveying data. Jecheon area was selected for this study. Then, the surveyed LiDAR information of DEM and 1:5000 digital map of DEM have been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the amount of debris flow has been estimated.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shown that the amount of erosion was $24,150m^3$ and deposition was $14,296m^3$. Well shape of channelized debris flow, hillslope debris and deposition at the bending reach of a channel can be found in the area. This study on estimation of the amount of debris flow was expected to provide more informations for debris flow of disaster mitigation and simulation work.

A Study on Numerical Analysis for Debris Flow considering the Application of Debris Flow Mitigation Facilities (토석류 저감시설 적용에 따른 토석류 수치해석에 관한 연구)

  • Bae Dong Kang;Jung Soo An;Kye Won Jun;Chang Deok Ja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6 no.4
    • /
    • pp.33-43
    • /
    • 2023
  • The impact of prolonged rainfall, such as during the monsoon season or intense concentrated rainfall over a short period, can lead to mountainous disasters such as landslides and debris flows. These events, such as landslides and debris flows, cause both human and material damage, prompting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measures and research to prevent them. In the context of researching debris flow disasters, numerical models for debris flows provide a relatively simple way to analyze the risk in a study area. However, since empirical equations are applied in these models, yielding different results and variations in input variables across models, the validation of numerical models becomes essential. In this study, a numerical model for debris flows was employ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mitigation effects of facilities such as check dams and water channel work, aiming to reduce the damage caused by debris flows.

Simulation of the Debris Flow Diffusion in the Mountainous Watershed Using 3D Terrain Data (3D 지형데이터를 활용한 산지유역 토석류 흐름 모의에 관한 연구)

  • Oh, Chae-Yeon;Jun, Kye-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2 no.3
    • /
    • pp.1-11
    • /
    • 2019
  • This study selected the national park area of Mt. Seorak in Inje-gun, Gangwon-do, where a lot of debris flow occurred due to the heavy rainfall and conducted a field survey. In addition, topographic spatial data were constructed using the GIS technique to analyze watershed characteristics. For the construction of terrain data after the disaster, the debris flow occurrence section was scanned and the 3D topographic data was constructed using the terrestrial LiDAR. LiDAR terrain data are compared to digital maps(before disaster) to assess precision and topographic data before and after the disaster were compared and analyzed. Debris flow diffusion area was calculated using FLO-2D model and compared debris flow occurred section.

Modeling of Debris Flow Around Road (도로에서의 토석류에 의한 홍수위험도 모델링)

  • Lim, Jae Tae;Kim, Byung Hyun;Han, Kun 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04-304
    • /
    • 2015
  • 산지가 많은 우리나라에서 도로는 필연적으로 산지부를 지나가게 되어 토석류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2000년대 초반이전까지만 해도 통계자료조차 없었던 도로 인접지에서의 토석류의 발생이 최근 늘어나고 있는데 반해 도로에서의 토석류에 대한 연구는 초기단계에 있다. 도로에서의 사례를 제외하고 보면 2011년 발생한 서울 우면산에서의 토석류 발생 등 일부사례를 중심으로 발생 거동 해석을 수행한 연구결과가 있으나 이러한 연구 결과를 도로에 직접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특히 도로에서 발생한 토석류에 대한 거동 분석을 수행할 필요가 있으나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해 실제 도로에서 발생한 토석류 사례에 대한 거동 분석은 현재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GIS를 이용한 지형분석 및 HEC-HMS를 이용한 수문분석을 실시하였고, 미연방재난관리청(FEMA)의 홍수보험지도와 하천재해해석을 위한 공식 인증 프로그램으로 등록되어 있는 토석류 거동 해석 프로그램인 FLO-2D을 이용하였다. 실제 도로에서 발생한 토석류 사례에 대하여 FLO-2D 모형을 이용하여 거동을 해석하고, 해석결과를 실제 발생한 토석류 자료와 적합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국내 도로 인접지에서의 토석류 해석에 대한 FLO-2D 모형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