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사퇴적

Search Result 21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mount of contained water, earth and sand Monitoring System based on IoT (IoT기반 저수지/사방댐 담수량 및 토사량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Hong, Seong-Pyo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8 no.4
    • /
    • pp.787-793
    • /
    • 2017
  • This paper proposes the IoT based monitoring system to reservoir and erosion control dam that measure amount of contained water and amount of sediment by real time through unit volume block object modeling and support the related image. The proposed system is more effective in establishing a more accurate dredging plan and effectively managing efficient water management plans, and effectively preventing accidents such as landslides, etc.

Tidal Sand Banks in the West Coast of Korea (우리나라 서해안의 조석사주)

  • 최병호
    • Water for future
    • /
    • v.18 no.3
    • /
    • pp.235-241
    • /
    • 1985
  • The predictions of the local and regional sand transport of the offshore tidal sand banks tn the west coast of Korea, east of the Yellow San have been performed on the basis of diagrammatical method suggested by Kenyon et al(1981). There is general agreements between these predictions and the earlier predictions(Choi, 1983) of net regional sand transport paths from the numerical simulation of maximum bottom stress vector during the semidiurnal period due to m2 and m4 tides. Further detailed investigations are proposed for the study of Choongang Chontoe where the predicted net sand transport direction is to the dredged navigation channel.

  • PDF

Discussion on Hydrological and Hydraulic Operation in Design for Construction of Washlands (천변저류지 조성계획에서 수문 및 수리적운영에 관한 고찰)

  • Ahn, Tae-Jin;Kim, Kyung-Sub;Kang, In-Woong;Kim, Bok-C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956-960
    • /
    • 2007
  • 천변저류지의 운영은 홍수기와 평상시 운영으로 구분된다. 본류하천의 홍수저감을 위한 홍수시 저류지 운영을 단기적 운영이라 한다면, 평시 저류지의 수량 관리와 같은 평시 저류지 운영은 장기적 운영이라 할 수 있다. 단기적 운영을 통하여 홍수후 저류지내 퇴적된 토사는 계획홍수조절용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평시 저류지내 생태계에 영향을 미친다. 장기적 운영을 위한 평시 저류지내 수위는 저류지내 수질, 생태, 조경, 친수활동 등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평시 저류지 수위부터 홍수시 수위까지 영역에 관한 수문, 생태, 친수공간, 조경 등의 고려가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천변저류지 조성 계획시 홍수저감, 유입토사 및 평시운영을 위한 수리 및 수문학적 설계기준에서 검토할 내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Sediment in Agricultural Reservoir and Variation of Storage (농업용 저수지의 토사퇴적과 내용적 변화)

  • Park, Jae-Heung;Jeon, Doh-Cheol;Kim, Ja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5.10a
    • /
    • pp.74-79
    • /
    • 2005
  • Many reservoirs have been constructed for sustainable utilization of water resources in Korea. Effective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in Korea becomes very important in resent years. Especially, the dredging in reservoirs is important for effective water resources management and one in easy water resources security methods. According to "The reservoir dredging mid-long term planning investigation report", it was investigated that 1221 reservoirs need to dredge among 3,288 reservoirs managed by KARICO. And, KARICO made a survey of reservoirs for the sediment and storage change in $2002{\sim}2004$. In results, it was investigated total storage $1,406{\pm}10^6m^3$, effective storage $1,344{\pm}10^6m^3$ in mid-small 2,748 reservoirs and the storage ratio decreased total storage ratio 15.7%, effective storage ratio 4.4%.

  • PDF

Studies on the Mechanism Variation of Bed Elevation for an estuary the Han. (한강하구지역에서의 하상변화 기작연구)

  • Byeon, Seong-Joon;Choi, Gye-Woon;Koo, Bon-Jin;Kim, Wo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770-774
    • /
    • 2009
  • 한강하구 일대는 세계최대 규모의 갯벌이 조성되어 해양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곳이다. 육상기원의 퇴적물이 흐름이 완만한 하구 주변부에 퇴적되어 대규모의 갯벌을 생성하여 육상에서 유입되는 많은 유기물이 집중되고 탁도가 높아 대량의 플랑크톤과 같은 일차생산자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대신에 담수 유입이 많아 하구와의 거리에 따른 일정한 염분 구배를 가지고 있어 더욱 다양한 환경이 조성되어 있음에도 1980년대 후반부터 각종 매립사업과 한강종합개발사업($1982{\sim}1986$)이 실시되어 한강하구의 습지가 줄어들고, 해안침식, 토사유입, 퇴적, 적조현상, 갯벌 및 해수오염과 같은 결과를 가져왔다. 1990년대에는 한강하구지역에서 퇴적으로 인한 홍수 예방과 건설골재 확보를 위한 준설이 활발히 이루어졌으나, 이로 인한 습지생물 서식처 파괴와 같은 환경영향이 우려되어 현재는 실시하지 않고 있다. 무차별적인 개발계획으로 매년 홍수 때마다 피해를 입는 김포일대, 한강과 임진강 지역의 수위 및 흐름 영향을 살펴보고 향후 대책 수립을 검토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강하구의 유사이송에 의한 수리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상류로부터 이송되어온 유사에 대하여 시간적 흐름특성을 통하여 조성된 한강하구의 특징을 분석하였고, 지형변화 분석을 위해 MIKE 21 프로그램의 이동상 해석모듈을 사용하여 지형변화에 따른 한강하구에서의 홍수기 하상변화와 유수 흐름 및 수위등의 변화를 모의하였다. 그 결과 예성강과 한강의 유수흐름은 청주초를 통하여 외해로 유출되고 이 흐름은 대부분 강화도와 교동도 사이의 교동수로로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염하수로 합류부 및 임진강 합류부에서는 침식 및 퇴적이 활발히 일어나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향후 수리학적 특성변화에 따른 유사의 퇴적 및 세굴에 의한 한강하구 지역의 지형변화를 분석하여, 주변 환경영향에 대한 대책 수립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flow characteristics and the bottom shear stress in an annular flume (환형수조의 내부 흐름특성 및 바닥전단응력 산정에 대한 연구)

  • Yang, Su-Hyun;Im, Ik-Tae;Hwang, Kyu-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76-176
    • /
    • 2011
  • 환형수조는 점착성 퇴적물의 이송특성 연구를 위해 가장 선호되는 실험 장치로 알려져 있다. 과거 많은 연구자들은 퇴적물의 이송특성, 특히 침식/퇴적 특성 조사를 위해 주로 수로를 이용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최초의 실험적 연구들은 주로 직선수조에서 수행되었다. 그러나 입자간의 응집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점착성 퇴적물의 경우에, 직선수조 끝단에서의 자유낙하 및 재순환 펌프의 날개에 의해 응집된 토사가 쉽게 분리될 수 있어 그 타당성이 의문시 되어 왔으며,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환형수조가 고안되었다. 환형수조는 수면과 접하여 회전하는 상부링의 마찰력에 의해 흐름이 생성되기 때문에 시간의 제약 없이 흐름조건을 동일하게 만들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환형수조는 원주유속의 속도차이 및 원심력으로 인한 2차 순환류를 형성시켜 반경 방향(radial direction)에서의 바닥전단응력을 불균일하게 하는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2차 순환류와 바닥전단응력의 불균일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환형수조의 몸체를 상부링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으로 직접 회전시키는 방법이 채택되어져 왔다. 한편, 환형수조의 상부링과 몸체를 서로 역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키는 양방향 회전(counter-rotation)의 적용을 위해서는 2차 순환류가 최소가 되며 바닥전단응력이 균일해지는 최적 회전속도비에 대한 분석은 필수적 사항이다. 이를 위하여, 상부링과 몸체의 회전속도에 따라 변화하는 수조내부의 흐름특성 및 평균바닥전단응력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만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하여 전북대에 설치된 환형수조의 상부링과 몸체의 회전속도에 따라 변화하는 수조내부에서의 흐름특성 및 바닥전단응력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었다. 또한, 이를 기초로, 환형수조의 최적 회전속도비 산출을 위한 연구가 수행 중에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추후 환형수조를 이용한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퇴적 등과 같은 이송특성 연구시, 퇴적물에 작용하는 흐름조건의 정밀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Weirs Construction in the Han River on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s (보 설치가 퇴적물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ang, Min Kyoung;Choi, In Young;Park, Ji Hyoung;Choi, Jung 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4 no.9
    • /
    • pp.597-603
    • /
    • 2012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eir construction on sediment characteristics of river bed, we conducted sediments sampling on the 9 locations near the weir, Kangchun, Yuju and Ipo in Namhan-River.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s were analyzed by measuring particle size distribution, water content, Ignition loss, COD (Chemical Oxyzen Demand), TOC (Total Organic Carbon), TP (Total Phosphorus), SRP (Soluble Reactive Phosphorus) and TN (Total Nitrogen). Particle classification of all three weir sediments showed sandy loam that was caused by the river bed dredging. Due to the presence of weir, Ignition loss, COD, TOC, TP, SRP and TN showed similar trend such as the concentrations of upward weir had higher than those of downward weir. For the case of SRP concentration and C/N ratio, however,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in the sediment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those of sediments before weir construction. Therefore, It can be predicted that there are little effects of weir construction on sediment characteristics. However, weir construction could influence water quality of the river by controlling the transport and the accumulation of suspended materials from rainfall. Therefore, more intensive monitoring is required to examine the magnitude and patterns of sediment accumulation which could influence overlying water quality.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in Sediments from the Sea off Jinhae and Masan, Korea (마산, 진해 연안해역 해저퇴적물중의 중금속류 함량에 관한 연구)

  • Lee, Jong Wha;Han, Sang Joon;Youn, Oong Koo
    • 한국해양학회지
    • /
    • v.9 no.2
    • /
    • pp.31-38
    • /
    • 1974
  •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the sediments from the sea off Jinhae and Masan have been studied. Concentration of the elements varied among the stations as the following: 0.32-0.76% Fe, 0.01-0.06% Mn, 29-120ppm Zn, 1-16ppm Co, 2-38 ppm Ni, 2.5-12.4ppm Pb and 0.2-0.7ppm Cd. General tendency of the concentraion of elements except Mn showed considerably high values at stations in the inner bay. This tendency seemed to be caused by waste water from industrial activities in the adjacent land. It can be thought that the pollution status of the studied area is still limited in the inner part of the day.

  • PDF

An Physical Disturbance Evaluation on Sand Mining River (골재채취 하천의 물리적 교란 평가)

  • Kim, Ki-Heung;Jung, Hea-Rey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985-1990
    • /
    • 2008
  • 1970년대 이후의 고도경제성장기에 치수대책과 동시에 건설골재로서 하상이 굴착된 하천이 많으며, 국가하천 지정구간외에서는 평균하상고가 1.0m 이상 저하한 하천구간도 많다. 또한 국가하천은 상류의 사방공사나 댐건설에 의한 영향이 복합적으로 하도에 나타나고 있어 하상굴착이 하도특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實證的)으로 검증하는 것은 어려운 과제이다. 하천에서의 골재채취는 제방부의 침식에 의한 호안파괴, 하상저하에 따른 교량이나 취수보 등 구조물의 기초 노출이 치수적인 문제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단시간내에 하도의 지형구조를 급격하게 변화시켜 여울 소의 하상구조 교란이나 수중 및 하천변의 서식처 파괴 등으로 하천의 물리적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침으로써 생태계를 교란하거나 파괴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골재채취로 인하여 교란된 하천의 복원 및 적응관리 계획수립의 전단계에 필요한 교란평가기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황강, 남강 및 감천을 대상으로 하여 대조구간과 교란구간을 선정하고 조사 분석하였다. 하천골재 채취가 없거나 경미한 대조구간에서는 홍수량이 변하지 않으면 terrace 모양의 하안부 재료가 하상재료와 거의 같기 때문에 홍수가 있으면 침식된 원래의 하폭으로 회복되는 방향으로 변하지는 않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면에 골재채취가 많은 경우 큰 홍수시의 저수로부의 수심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수충부 등의 최심하상고가 크게 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고수부는 침수되는 빈도와 수심이 감소하기 때문에 토사의 퇴적속도(고수부의 상승속도)의 감소, 퇴적물의 세립화 경향이 나타나서 모래, 실트가 퇴적하지 않는 고수부상에 모래, 실트가 퇴적되는 경우가 있고, 반대로 고수부의 퇴적속도가 상승하는 경우도 있었다. 골재채취로 횡단방향의 평탄화가 초래되어 여울 소의 하상구조가 교란됨과 동시에 구간별로 종단경사가 완만해지며, 대부분 교량부에 하상유지공을 설치해야 할 정도로 하상경사가 급변하는 구간이 다수 조사되었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하상서식환경, 하상재료, 유속/수심상황, 유사퇴적, 하도흐름상태, 하도개수, 여울출현 빈도, 하안 안정성, 식생피복 및 하반림 등 10개의 교란평가항목을 적용하여 대조구간과 비교 평가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Dredged Soils Estimation System using Multipurpose Surveying Technology (다목적 측량기술을 활용한 저수지 준설토량 산정시스템 개발)

  • Min, Kwan-Sik;Lee, Se-Kang;Park, Se-H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395-396
    • /
    • 2014
  • 지속가능한 물관리 방법으로 중 소규모의 저수지 개발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는 가운데 하천 유지용수의 확보 및 물순환 건전화를 위해서는 저수량 확보를 위한 과학적인 분석과 체계적인 관리 기반으로 단위 저수지에 대한 정량적 퇴적 및 준설토량의 산정 시스템이 필요하다. 저수지 준설을 위한 퇴적 토사량의 산정을 위해서는 최근 측량 현장에 도입되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위성측량시스템 및 음향측심기를 사용한 측량성과와 대상지역 항공사진 및 연속지적도의 다차원지형공간정보 데이터를 활용하여 관련시스템을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