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목 시설물

Search Result 31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Hydrological Characteristic Analysis of Multi-purpose Dam Inflow Considering Climate Change (기후변화를 고려한 다목적 댐 유입량의 수문학적 특성 분석)

  • Kang, Ho Yeong;choi, Ji hyeok;Kim, Jong Suk;Moon, Young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49-149
    • /
    • 2015
  • 한반도를 포함한 전 세계가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과 홍수에 노출되어 있으며, 물 공급의 안정성 확보, 공공시설물과 재산 피해 등 엄청난 직 간접적인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유역의 수문학적 거동 특성을 파악하는 일은 가뭄 및 홍수 등의 자연재해를 포함하여 수자원의 효율적 예측과 관리, 안정적인 용수공급 등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특히 극치사상의 특성변화는 하천과 하천주변의 토사유입이나 침전 부유물의 재분포 등 유역 및 하천 생태계의 구조 및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이기 때문에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다목적댐 중 20년 이상의 일유입량 자료를 보유한 8개 지점에 대해 일별, 계절별 변화와 기저유량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태풍자료와 유역평균강우량자료를 활용하여 태풍으로 유입된 강우와 비태풍 강우를 분리하였다. 향후 극치사상에 대한 다양한 수문변화분석을 수행함에 있어 태풍과 집중호우 등 변화 요인을 분리하여 원인에 따른 변화를 진단하여 지속가능한 수자원 이용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Risk Analysis on Inundation of SOC Facilities under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SOC구조물의 외부/내부침수 위험도 분석)

  • Kim, Beom Jin;Keum, Ho Jun;Lee, Jae Yeong;Kim, Hyun Il;Han, Kun 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52-52
    • /
    • 2019
  • 최근 국가시설물에서는 2000년대 이후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대상 부지 내의 홍수 발생 시 주요시설물에 기능 마비가 발생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대규모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외부침수에 대비할 수 있는 위험도 분석이 필요하다. 대상 부지에서의 외부침수의 원인으로서는 LIP(Local Intensive Precipitation)에 의한 홍수 발생조건, 인근에 댐, 제방 등이 위치한 경우 이들 시설물의 붕괴에 따른 홍수류의 원전 유입, 지진해일/폭풍해일에 의한 바다로부터의 홍수 유입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따라서 대상 부지 및 그 SOC시설물의 안전도를 높은 수준에서 관리하기 위해서는 극한홍수가 유입될 때 침수심, 침수유속, 침수시간, 침수강도 등의 재해도를 분석하여야하고, 이들 SOC시설물의 취약도 평가를 실시하고 재해도와 취약도를 결합한 연계분석을 통하여 위험도를 재평가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기후변화를 고려한 외부침수 위험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대상 부지 내의 내부침수 위험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위험도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현장답사를 통해 물이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 가능한 침수패스 경로를 파악하고, 출입문 위치와 창문의 높이, 출입문의 틈간격 및 높이를 파악하였다. 현장답사를 토대로 침수구역을 선정하였다. 침수구역 선정시 대침수구역과 소침수구역 중요기기들이 위치한 구역을 바탕으로 선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2차원 침수 해석을 실시하여 각 구역별로 시간대별 침수가능 높이를 산정하였다. 또한 각 구역별 중요기기의 임계높이를 산정하고, 이를 분석된 최대 침수심과 비교하여 각 구역별 침수에 취약한 구역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바탕으로 사회기반 시설에 대한 보호 및 홍수피해 예방으로 인한 사회비용 절감이 가능하고, 주요시설물의 SSC별 방재대책을 수립하고, 단계별 저감대책을 제시하여 위험도 경감을 위한 대비책을 마련이 가능할 것 이라고 판단된다.

  • PDF

ICT-based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algorithm (ICT 기반 농업용수 관리 알고리즘)

  • An, Hyunuk;Choi, Eunhyuk;Shin, Ankook;Lee, Jaenam;Kang, Mun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74-174
    • /
    • 2020
  • 현재 4차 산업혁명은 산업 전 분야에 걸쳐 일어나고 있다. 농업용수 분야에서도 데이터를 활용한 수요자 중심의 지능형 물 관리사업 뿐만 아니라 일정규모 이상의 저수지 및 양수장에 대하여 농업용수 공급량 측정을 위한 계측기 설치사업이 추진 중에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설치된 계측장치들의 활용방안에 대해서는 뚜렷한 성과가 도출된 바 없기에 농업용수 계측장치들의 활용방안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충북 진천군 소재 무수저수지 유역을 대상으로 농업용수 계측정보를 활용하여 관개용수의 최적 관리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농업용 저수지의 공급량, 용수간선의 수문개도율에 따른 각각의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시나리오별 목적함수를 계산하여 농업용수의 최적 관리를 위한 시설물조작 알고리즘을 도출하였다. 뿐만 아니라 관개구역 내 수리시설물, 영농방식, 용수공급현황 등의 조사를 통해 농업용수 관개수로망을 구성하고 수리해석을 실시하여 농업용수 최적관리 알고리즘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

Evaluating a Positioning Accuracy of Roadside Facilities DB Constructed from Mobile Mapping System Point Cloud (Mobile Mapping System Point Cloud를 활용한 도로주변 시설물 DB 구축 및 위치 정확도 평가)

  • KIM, Jae-Hak;LEE, Hong-Sool;ROH, Su-Lae;LEE, Dong-Ha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2 no.3
    • /
    • pp.99-106
    • /
    • 2019
  • Technology that cannot be excluded from 4th industry is self-driving sector. The self-driving sector can be seen as a key set of technologies in the fourth industry, especially in the DB sector is getting more and more popular as a business. The DB, which was previously produced and managed in two dimensions, is now evolving into three dimensions. Among the data obtained by Mobile Mapping System () to produce the HD MAP necessary for self-driving, Point Cloud, which is LiDAR data, is used as a DB because it contains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However, at present, it is not widely used as a base data for 3D modeling in addition to HD MAP production. In this study, MMS Point Cloud was used to extract facilities around the road and to overlay the location to expand the usability of Point Cloud. Building utility poles and communication poles DB from Point Cloud and comparing road name address base and location, it is believed that the accuracy of the location of the facility DB extracted from Point Cloud is also higher than the basic road name address of the roa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expansion of the facility field sufficiently.

Analytical Behavior of Concrete Derailment Containment Provision(DCP) according to Train Impact Loading (열차 충돌하중에 대한 콘크리트 일탈방호시설물(DCP)의 해석적 거동 검토)

  • Yi, Na-Hyun;Kim, Ji-Hwan;Kang, Yun-Su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11
    • /
    • pp.604-613
    • /
    • 2018
  • In recent years, numerous train derailment accidents caused by deterioration and high speed technology of railways have increased. Guardrails or barriers of railway bridges are installed to restrain and prevent the derailment of the train body level. On the other hand, it can result in a high casualties and secondary damage. Therefore, a Derailment Containment Provision (DCP) within the track at the wheel/bogie level was developed. DCP is designed for rapid installation because it reduces the impact load on the barrier and inertia force on the steep curve to minimize turnover, fall, and trespass on the other side track of the bridge. In this paper, DCP was analyzed using LS-Dyna with a parameter study as the impact loading location and interface contact condition. The contact conditions were analyzed using the Tiebreak contact simulating breakage of material properties and Perfect bond contact assuming fully attached. As a result, the Tiebreak contact behaved similarly with the actual behavior. In addition, the maximum displacement and flexural failure was generated on the interface and DCP center, respectively. The impact analysis was carried out in advance to confirm the DCP design due to the difficulties of performing the actual impact test, and it could change the DCP anchor design as the analysis results.

Establishment of a Standard Procedure for Safety Inspections of Bridges Using Drones (드론 활용 교량 안전점검을 위한 표준절차 정립)

  • Lee, Suk Bae;Lee, Kihong;Choi, Hyun Min;Lim, Chi S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2 no.2
    • /
    • pp.281-290
    • /
    • 2022
  • In Korea, the number of national facilities for which a safety inspection is mandatory is increasing, and a safer safety inspection method is needed. This study aim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bridge safety inspection by enabling rapid exterior inspection while securing the safety of inspectors by using drones to perform the safety inspections of bridges, which had mainly relied on visual inspections. For the research, the Youngjong Grand Bridge in Incheon was selected as a test bed and was divided into four parts: the warren truss, suspension bridge main cable, main tower, and pier.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a five-step standard procedure for drone safety inspections. The step-by-step contents of the standard procedure obtaine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are: Step 1, facility information collection and analysis, Step 2, analysis of vulnerable parts and drone flight planning, Step 3, drone photography and data processing, Step 4, condition evaluation by external inspection, Step 5, building of external inspection diagram and database. Therefore, if the safety inspections of civil engineering facilities including bridges are performed according to this standard procedure, it is expected that these inspection can be carried out more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Study on Coordinates Analysis of Oblique Photographs by means of Analytical Rectification (해석적(解析的) 편위수정(偏位修正)에 의한 경사사진(傾斜寫眞)의 좌표해석(座標解析)에 관한 연구(研究))

  • Yeu, Bock Mo;Lee, Dong Cheon;Jong, Chang Si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 no.1
    • /
    • pp.137-144
    • /
    • 1984
  • In comparison to normal photography, oblique photography has large coverage area and is easily applicable to objects which are difficult to approach. But it has its deficiency of having to go through complex procedures of rectification. Oblique photographs are first analytically rectified, in this paper, then the coordinates of facilities are analysed.

  • PDF

A Study on the Emergency Action Plan using GIS Tool (GIS기법을 이용한 비상대처계획(EAP)작성에 관한 연구)

  • Lee, Jung Sik;Shin, Chang Dong;Jeong, Dae 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91-59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위성사진과 1:5,000 수치지도를 이용하고, 실제 측량자료 및 현장조사를 통하여 GIS기법으로 홍수범람 정도를 중첩하여 보다 세밀한 홍수범람도와 비상대처계획도를 작성하였다. 입력자료는 국내의 실제 지형 및 저수지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현장조사를 수행하여 주요 시설물 및 교량, 도로망 등을 파악하고 재해취약인구를 고려한 현실적인 대피경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으로 저수지 하류유역에서 보다 적합한 실제적인 비상대처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재해의 피해저감에 합리적인 대책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resenting the possibility of using water pipe network data through R-based data mining analysis (R기반 데이터마이닝 분석을 통한 상수관망 자료 활용가능성 제시)

  • Hong, Sung Jin;Lee, Chan Wook;Yoo, Do Gue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36-236
    • /
    • 2020
  • 데이터마이닝은 빅데이터를 활용하는데 주로 활용되는 기술이다. 빅데이터 활용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마이닝을 활용한 생산, 금융, 통신 등의 성공적인 활용사례가 있지만 상수도 시설물에 적용한 사례는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R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확보하기 어려운 데이터를 얻고자 관련 기사를 수집하고 데이터마이닝의 주요 기능인 분류, 군집(K-means)분석을 수행하였다. 예를들어, 상수관로의 정밀한 누수 분석을 위해서는 관경, 매설년도 등의 세분화된 자료가 필요하나 이러한 자료들은 쉽게 확보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수관망 단수, 누수 등의 키워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사를 기반으로 주요 키워드에 대한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세분화된 상수관망 자료를 획득 및 분석하였다. 단수, 누수 키워드 기사에 의해 관경정보 등 파손된 관로의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확보하기 어려운 데이터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데이터의 양과 보다 정교한 군집분석을 위한 키워드설정 등의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Flood Runoff Computation for Mountainous Small Catchments using Rainfall Runoff Model (강우-유출모형을 활용한 소규모 산지 유역의 유출량 산정)

  • Chang, Hyung Joon;Lee, Hyo 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62-362
    • /
    • 2022
  • 최근 급증하는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인하여 소규모 산지 지역의 돌발홍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물적 및 인적 피해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다양한 재해 저감 대책 마련을 수립하고 있으나 소규모 산지 유역 같은 경우 계곡 및 하천부는 제방 증고 및 하상 정리 등과 같은 인위적인 대책수립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충북 지역의 소규모 산지 유역 중 우암산 및 백화산을 대상으로 유역 내 계곡 및 하천부에 대하여 WMS (Watershed Modeling System) 강우 유출모형을 활용한 침수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우암산 및 백화산 소유역에서 재현빈도 50년 이상의 강우 발생 시, 침수가 발생하는 것으로 모의 되었으며, 등산객이 이용하는 등산로 및 시설물에 위험성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소규모 산지 유역에 대한 위험성을 정량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안전한 관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