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테이블 높이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5초

고정 선반입과 Drop 정책을 이용한 VOD 버퍼 관리 알고리즘 설계 및 평가 (Design and Evaluation of a VOD Buffer Management Algorithm Using Fixed Prefetch and Drop Strategics)

  • 박규석;문병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101-111
    • /
    • 2000
  • VBR로 압축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비트 변화율이 매우 큰 편차로 변하기 때문에 자원 예약 관리가 매우 힘들다. 따라서 VOD 서버는 MPEG데이터의 참조 패턴을 오프라인으로 분석한 메타 테이블을 근거로 과부하구간에서 미리 선반입하여 시스템 활용율을 높이는 선반입 기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선반입 기법을 과부하구간에서도 상영실패는 발생하지 않으나, 선반입 임계슬롯이 증가함으로써 버퍼 점유량이 증가하여 버퍼의 최소 적재시간과 적재비용을 유지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선반입 구간을 고정적으로 사용하여, 과부하 구간에서도 적재비용과 적재시간을 일정한 범위 이하로 유지하면서 시스템 자원의 활용율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선반입 구간을 고정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상영 실패는 Drop 모듈을 사용하여 GOP내의 B프레임에 한정하며, 미디어의 질 저하를 전체 사용자에게 고르게 분산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물리치료사의 초음파 작업시 테이블 높이에 따른 척추기립근의 근전도 활동 분석 (Analysis of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of Erect Spinae at Different Height of Table during Ultrasound Therapy Work)

  • 김충유;강종호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89-294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in erect spinae activities at different height of table during ultrasound therapy in order to propose a optimum work environment. METHODS: Twenty five healthy adult males and female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EMG signals of both erector spinae(T10, T12, L2, L4) were recorded throught the surface electromyography system at different height of table(45cm, 56.2cm, 67.5cm) during ultrasound therapy work. RESULTS: The higher table heights was, the lower %RVC of the T10, T12, L2, L4 erect spinae at both sides. The left and right T10, T12 and the left L4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lower the spinal level was, the higher %RVC of both erect spinae at 45cm, 56.2cm, 67.5cm. The left erect spinae at 56.2cm, right erect spinae at 45cm, 67.5c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The muscle activities of both erect spinae decreased at higher table height and increased lower spinal level. We identified lower table height are risk factor of spine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고령자의 전동침대 사용 시 테이블 높이에 따른 상지와 체간의 근활성도 분석 (An Analysis on Upper Extremity and Trunk EMG of Elderly for Table Height Using Electronic Bed)

  • 이명희;이상열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443-448
    • /
    • 2013
  • PURPOSE: In recent years, senior friendly device is growing rapidly because of population aging The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able height of electronic bed on upper extremity and trunk EMG in elderly. METHODS: Thirty right-handed elderly without history of neurological and musculoskeletal dysfunction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ee heights of the table (3/3 height, 2/3 height, and 1/3 height between top of the shoulder and olecranon) were provided. During the eating performance, surface electromyography (EMG) was used to measure muscle activity, and electrodes were attached to the deltoid middle fiber, serratus anterior, suprapinatus, upper trapezius, rhomboideus, cervical part of longissimus, thoracic part of longissimus, lumbar part of longissimus on right. One way ANOVA was conduct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ltoid middle fiber, suprapinatus, upper trapezius, rhomboideus, lumbar part of longissimus in the 3 different height of table (p<.05). The deltoid middle fiber, suprapinatus, upper trapezius, and lumbar part of longissimu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higher table than lower table(p<.05). And the rhomboideu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higher table than lower table(p<.05).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different height of table affect upper extremity and trunk muscle activity. The table height of olecranon is the best for elderly.

대화형 에이전트의 주제 추론을 위한 계층적 베이지안 네트워크의 자동 생성 (Automatic Construction of Hierarchical Bayesian Networks for Topic Inference of Conversational Agent)

  • 임성수;조성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3권10호
    • /
    • pp.877-885
    • /
    • 2006
  • 최근에 대화형 에이전트에서 사용자 질의의 주제 추론을 위하여 베이지안 네트워크가 효과임이 발표되었다. 하지만 베이지안 네트워크는 설계에 있어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스크립트(대화를 위한 데이타베이스)의 추가 변경시에는 베이지안 네트워크도 같이 수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대화형 에이전트의 확장성을 저해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크림트로부터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생성함으로써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화형 에이전트의 확장성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베이지안 네트워크의 구성노드를 계층적으로 설계하고, Noisy-OR gate를 사용하여 베이지안 네트워크의 조건부 확률 테이블을 구성한다. 피험자 10명이 대화형 에이전트를 위한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수동 설계한 것과 비교한 결과 제안하는 방법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진동으로 인한 모래 공시체내의 밀도변화에 관한 연구 (Density Variation within Specimen as Affected by Vibration)

  • 장병욱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3권3호
    • /
    • pp.7-20
    • /
    • 1987
  • 교번 삼축 압축시험, 교번 전단응력 시험, 액상화 시험 및 진동 테이블 시험 등을 하기 위하여 제작되는 공시체로서 잘 다져진 모래를 사용하게 되며 진동에 의해 다져진 모래의 공시체가 균일한 밀도를 갖는다는 가정하에 상기한 실험을 하여 왔다. 지금까지 이러한 가정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되어 있지 않았으며 신뢰도 높은 실험을 하기 위하여는 공시체내에 모래의 밀도가 균일한 공시체를 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진동에 의해서 모래 공시체를 제작할 경우 공시체내에 밀도의 변화가 발생하는지 여부와 각 진동인자가 밀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 결과 진동 전에 균일한 밀도 를 갖는 공시체가 진동 후엔 공시체의 높이에 따라 상당한 밀도의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보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과재 하중, 입도 및 진동가속도의 크기에 따라 상당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인터벤션에서 Calibration Mode에 대한 오차율 비교 (Comparison on the Error Rates of Calibration Modes in Intervention)

  • 공창기;류영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619-626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경피적 혈관내 풍선 확장술이나 스텐트 삽입술에서 Balloon이나 Stent의 직경 및 길이를 예측 할 때 사용되는 정량적인 평가 도구인 Calibration Mode중 Catheter Calibration Mode, Auto Calibration Mode 그리고 Segment Calibration Mode에서의 오차율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Calibration의 정량적인 평가를 위해 정교하게 제작된 직경 × 길이(2 mm × 80 mm) Copper Wire와 5, 10, 15, 30, 40 mm의 Metal Ball을 이용하여 실험하였고, 아크릴 팬텀은 25 mm, 50 mm, 75mm, 100 mm, 125 mm, 150mm, 175 mm, 200 mm로 하여 각각의 높이에서 혈관조영 촬영장치로 Subtraction 영상을 획득하여 장비 회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Stenosis Analysis Tools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Catheter Calibration Mode에서의 오차율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Copper Wire를 각각의 아크릴 팬텀위에 올려놓고 촬영하였으며, Copper Wire 직경 2 mm를 Catheter의 직경으로 Setting하였고, 길이 8 mm Copper Wire의 길이를 Multi-segments로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1.13 ~ 5.63%의 오차율이 나타났다. Auto Calibration Mode에서의 오차율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각의 아크릴 팬텀을 높이에서 아크릴 높이에 대한 수치를 입력하고, 8 mm Copper Wire의 길이를 Multi-segments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0 ~ 0.26%의 오차율이 나타났다. Segment Calibration Mode에서의 오차율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테이블 바닥에 있는 각각의 Metal Ball을 각각 Calibration하고, 각각의 아크릴 팬텀 위에 올려 있는 8 mm Copper Wire의 길이를 측정하여 아크릴 팬텀 높이 변화에 대한 8 mm Copper Wire 길이를 Mutli-segments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1.05 ~ 19.04%의 오차율이 나타났다. 그리고 Auto Calibration Mode에서 OID 변화에 대한 실험은 아크릴 팬텀의 높이는 100mm로 고정하고 OID만 450 mm ~ 600 mm로 변화를 하였을때 오차율은 0.13 ~ 0.38%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소프트웨어에서 제공하는 정량적인 혈관의 치수평가를 하기 위한 이들 Calibration Mode 중 Auto Calibration Mode에서 높이 값을 입력하는 것이 오차율이 가장 적은 Calibration 방법임을 확인하였으며, Metal ball이나 기타 다른 물체를 이용하여 Calibration을 하기 위해서는 시술부위와 동등한 높이에 놓고 Calibration을 하는 방법이 오차율을 가장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통계적 확률 기반의 효율적인 고속 화면 내 모드 예측 방법 (Efficient High-Speed Intra Mode Prediction based on Statistical Probability)

  • 임웅;남정학;정광수;심동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7권3호
    • /
    • pp.44-53
    • /
    • 2010
  • H.264/AVC는 공간적 중복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9개의 화면 내 예측모드를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모드 정보의 전송을 위하여 이웃한 블록의 모드간의 높은 상관도를 사용한다. 모드를 표현할 때, 더 높은 확률을 가진 모드에 더 적은 비트가 할당되며, 이웃한 두 개 블록의 예측모드 간에 최소값을 취하여 예측함으로써 압축된다. 본 논문에서는, 몇 개의 테스트 비디오 시퀀스를 사용하여 왼쪽과 위쪽의 이웃한 두 블록의 모드에 따라서 발생하는 현재 블록의 예측모드에 대한 통계적 확률을 구하였다. 다음으로 왼쪽과 위쪽의 이웃한 두 블록의 예측모드의 모든 조합에 대하여 현재 블록에서 결정될 확률이 가장 높은 5개 모드를 후보 예측모드로 하여 테이블로 구성한다. 이 확률 테이블을 사용하여, 선택된 5개의 후보 모드들만 율-왜곡 최적화를 수행함으로써 부호화 과정을 고속화하고, 각각의 경우에서 가장 높은 발생 확률을 갖는 모드를 most probable mode로 사용하여 모드 정보를 줄임으로써 부호화 성능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부호화 성능은 5개 후보 모드의 발생확률의 합이 90%, 85%, 80%이상인 경우에 대하여 JM14.2 대비 각각 1.17%, 1.50%, 1.19% 향상되었으며 부호화 속도는 18.46%, 27.97%, 36.03% 향상되었다.

도심환경에서의 자율 군집적인 각도 기반 라우팅 프로토콜 (A Self-Organizing Angle-based Routing Protocol for Urban Environments)

  • 오승용;조규철;김준형;윤정배;성기혁;한기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379-385
    • /
    • 2013
  • Mobile Ad Hoc Network(MANET)은 잦은 경로 단절과 경로 재설정으로 인한 지연 때문에 차량환경에 적용이 쉽지 않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VANET(Vehicular Ad Hoc Network) 알고리즘이 제안되었으며, 이들 중에서 위치 정보 기반의 라우팅 프로토콜이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심환경에서는 차량의 잦은 이동과 함께 높은 건물들로 인한 전파 방해로 빈번한 네트워크 단절을 일으키지만 현재의 VANET은 이러한 도심환경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토폴로지의 단절이 빈번히 일어난다. 본 논문에서는 도심환경 내에서 노드들의 이동방향을 측정한 후 캐쉬 테이블을 통하여 비교하여 교차로를 탐색하는 방법을 개선하고, 전송 홉 수를 최대한 줄여 전송효율을 높이는 라우팅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애드혹 센서 네트워크 수명 연장을 위한 Q-러닝 기반 에너지 균등 소비 라우팅 프로토콜 기법 (Equal Energy Consumption Routing Protocol Algorithm Based on Q-Learning for Extending the Lifespan of Ad-Hoc Sensor Network)

  • 김기상;김승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0권10호
    • /
    • pp.269-276
    • /
    • 2021
  • 최근 스마트 센서는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애드혹 센서 네트워크 (ASN) 구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센서 네트워크 라우팅 알고리즘은 특정 제어 문제에 초점을 맞추며 ASN 작업에 직접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Q-learning 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하는데, 제안된 접근 방식의 주요 과제는 균형 잡힌 시스템 성능을 확보하면서 효율적인 에너지 할당을 통해 ASN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다. 제안된 방법의 특징은 다양한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Q-learning 효과를 높이며, 특히 각 노드는 인접 노드의 Q 값을 자체 Q 테이블에 저장하여 데이터 전송이 실행될 때마다 Q 값이 업데이트되고 누적되어 최적의 라우팅 경로를 선택하는 것이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된 방법이 에너지 효율적인 라우팅 경로를 선택할 수 있으며 기존 ASN 라우팅 프로토콜에 비해 우수한 네트워크 성능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미국과 일본 소비자의 음식관여도와 블록형 소스에 대한 이용의도 비교 분석 (Comparison of food involvement scale (FIS) and use intention for block type sauce between US and Japanese consumers)

  • 이호진;김수진;이민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6호
    • /
    • pp.590-598
    • /
    • 2018
  • 최근 인기 있는 반조리 식품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소비자의 음식에 대한 관여도가 높아짐에 따라 맛성분을 기초로 하는 소스 종류가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따라서 소스 시장이 점차 성장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미국과 일본 소비자의 음식관여도 (FIS)와 함께 다양해지는 소스 제형 종류 중 하나인 블록형 소스에 대한 친숙도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호감도, 기대도가 향후 블록형 소스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국적별로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발된 설문 조사지를 이용하여 미국 소비자 150명과 일본 소비자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중 총 미국 149부와 일본 112부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그 결과 FIS에 대해 미국 소비자는 '요리하는 것은 재미있는 일이 아니다(역코딩)', '나는 먹었거나 앞으로 먹을 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다', '내가 여행 시 가장 기대하는 것들 중 하나가 그곳의 음식을 먹는 것이다', '나는 음식을 먹은 후에 대부분 청소를 한다', '나는 음식 쇼핑을 대부분 내가 한다', '나는 테이블이 멋지게 세팅되어 있는지 신경 쓴다'에 대해 일본 소비자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소비자의 경우 '나는 음식에 대한 생각을 매일 하지 않는다 (역코딩)', '다른 일상적인 결정과 비교할 때, 음식 선택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역코딩)', '나는 다른 사람들과 나 자신을 위해 요리를 즐긴다', '내가 식사할 때 음식이 어떤 맛인지에 대해 다른 사람에게 말하지 않는다 (역코딩)', '나는 음식을 섞거나 자르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역코딩)'에 대해 미국 소비자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국 소비자는 일본 소비자에 비해 요리 과정이나 테이블 세팅, 식품 쇼핑 등 음식 자체 보다는 음식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선행연구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일본 소비자는 미국 소비자에 비해 음식을 준비하고 먹는 과정에 대해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미국 응답자의 71.1%, 일본 응답자의 26.7%가 '블록형 소스 이용 경험 없음'으로 나타나, 미국 소비자는 일본 소비자에 비해 블록형 소스 이용 빈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서 미국 소비자의 블록형 소스에 대한 친숙도를 제외하고 호감도, 기대도가 블록형 소스 이용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반대로 일본 소비자는 블록형 소스에 대한 호감도를 제외하고 친숙도, 기대도가 블록형 소스 이용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미국 소비자는 물만 부으면 음식이 완성되는 간편한 한식 혹은 식품 쇼핑 시 편리함을 강조 할 수 있는 컨셉으로 블록형 소스에 대한 호감도와 기대도를 높이는 전략을 이용하며, 일본은 한식 만드는 과정을 도와주는 개념으로 블록형 소스에 대한 친숙도와 기대도를 높이는 전략을 통해 시장에 접근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