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탱크模型

Search Result 88,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Determination of State-Space Model for Parameter Estimation of Tank Model (탱크모형의 매개변수추정을 위한 상태공간모형의 결정)

  • 이관수;이영석;정일광
    • Water for future
    • /
    • v.28 no.2
    • /
    • pp.125-136
    • /
    • 1995
  • The propose of this study is improve the uncertainty of parameter choice of tank model by the trials and errors method. The real time prediction of parameter by using the Kalman filter is practiced to get the effective prediction algorithm of low flow runoff. Even though the total discharge of runoff through the orifice of each tank should be similar to the observed discharge, the tank model which can show the various basin characteristic is influenced by the runoff circumstances. As a result of the real-time estimation of the tank model parameter by the state-space type of Kalman filter, the variation of runoff circumstances is static when the convergence of observed value and estimated value keeps the ficed high point. The parameter of tank model which is estimated by Kalman filter shows good result for low flow and reasonable adaptability where flow change abruptly. The Kalman filter method is proved to give better result than Automatic structure estimation method.

  • PDF

Derivation of a Tank Model with a Conceptual Rainfall-Infiltration Process (개념적 강우-침투 과정을 고려한 탱크 모형의 유도)

  • Park, Haen-Nim;Cho, Won-Cheo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9 no.1 s.162
    • /
    • pp.47-57
    • /
    • 2006
  • This study derives an event-based tank model with a conceptual rainfall-infiltration process, modifying conventional tank models. The model comprises two serial tanks, one parallel tank and an infiltration regulating element. The infiltration process within the element is not represented as a function of only time, but as a function of soil moisture content for three possible cases ow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intensity and infiltration capacity. This study considers the previous soil moisture condition of a watershed by using antecedent precipitation index. Six parameters of the model are identified by using the real coded genetic algorithm. The applicability and validity of the proposed model are assessed for the observed stormwater data from the research basin of the International Hydrological Program, the Pyeongchanggang River basin, Republic of Korea. The results computed streamflows show relatively good agreement with observed ones.

Sensitivity Analysis for Tank Model's Parameters by Applying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Equations (잠재증발산식 적용에 따른 Tank 모형 매개변수 민감도분석)

  • Rim, Chang-Soo;Lim, Ga-Hui;Lee, Won;Kim, J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58-358
    • /
    • 2012
  •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에 따라 강수량과 증발산량이 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그에 따라 유출량도 변하고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가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도 커지고 있으며, 댐 유역의 유출량 산정은 홍수나 용수의 확보측면에서 중요시 되고 있다. 탱크모형은 일본의 Sugawara가 1961년 처음 개발한 모형으로 유역을 오리피스 유출공을 가진 저류형 수조의 조합으로 가정하여 유량을 산정하는 유출모형으로 매개변수가 많고, 이들을 시행착오로 결정해야 하기 때문에 숙련된 경험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으나 계산법이 명확하고 수문현상을 잘 재현한다는 장점이 있다. 탱크에는 강수량, 유출량, 그리고 증발량과 같은 입력 자료가 필요하며, 정확한 실제 증발산량 값을 알기는 어렵기 때문에 물수지를 이용해 증발산량을 계산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유출량 미계측 지역에서는 사용이 어렵다. 그러므로 태양복사에너지, 온도, 바람, 기압, 습도와 같은 기상학적 인자에 따라서 잠재증발량을 산정하여 탱크 모형의 입력 자료로 사용한다면, 유출량자료가 없는 유역에서도 탱크모형을 사용하여 유출량을 산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섬진강댐유역과 합천댐유역의 유출량 산정을 위해 잠재 증발산량 산정식(Penman, FAO P-M, Makkink, Preistley-Taylor, Hargreaves)을 적용하여 Tank 모형 매개변수들의 민감도분석을 수행하였다. 섬진강댐은 전북 임실군 강진면 옥정리와 정읍시 산내면 종성리 사이에 있으며, 유역면적은 $763km^2$, 댐 높이는 64m, 제방길이 344.2m 댐으로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 적용기간은 1975년~1992년이다. 합천댐은 경상남도 합천군 대병면 회양리에 있는 댐으로 높이 96m, 길이 472m, 유역면적 $925km^2$의 다목적 댐이며,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 적용기간은 1989년~1999년이다.

  • PDF

A Study on Calibration of Tank Model with Soil Moisture Structure (토양수분 저류구조를 가진 탱크모형의 보정에 관한 연구)

  • Kang, Shin-Uk;Lee, Dong-Ryul;Lee, Sang-H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2
    • /
    • pp.133-144
    • /
    • 2004
  • A Tank Model composed of 4 tanks with soil moisture structure was applied to Daecheong Dam and Soyanggang Dam watersheds.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were repeated 332 and 472 times for each watershed using SCE-UA global optimization method for different calibration periods and objective functions. Four different methods of evapotranspiration calculation were used and evaluated. They are pan evaporation, 1963 Penman, FAO-24 Penman-Monteith, and FAO-56 Penman-Monteith methods. Tank model with soil moisture structure showed better results than the standard tank model for daily rainfall-runoff simulation. Two types of objective function for model calibration were found. Proper calibration period are 3 years, in which dry year and flood year are included. If a calibrationperiod has an inadequate runoff rate, the period should be more than 8 years. The four methods of eyapotranspiraton computation showed similar results, but 1963 Penman method was slightly inferior to the other methods.

Flood Simulation with the Variation of Runoff Coefficient in Tank Model (탱크모형의 流出孔 乘數 변화를 고려한 홍수모의)

  • Lee, Sang-H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1 no.1
    • /
    • pp.3-12
    • /
    • 1998
  • Rainfall intensity under storms affects peak discharge or its time of occurrence in watershed runoff. Thus, it is reasonable to reflect the effect on the parameters of rainfall-runoff models or the governing equations of the models. This paper relates the change of the runoff coefficient of the first tank in tank model to rainfall intensity under storms. The standard four tanks have made the basic structure of the flood event model. and its modifications are as follows: it has two equal runoff coefficients in the first tank: the runoffs from first and second tanks produce delayed response through a simple delaying parameter. Applying the event simulation model to flood data from Naerinchon. runoff coefficients were estimated and their relation to rainfall intensity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e Weak relation of the two factors. The trend of the two was fitted with the equation a1=kI$. where a1is the runoff coefficient of the first tank: I is rainfall intensity; k and m are fitting coefficients. In the verification. the model used moving averages for the calculation of I(t). If the value I(t) gave more greater value of a1(t) than that of previous time(t-1). the flood simulation was performed again from the beginning with the updated greater value of a1. The reflection of rainfall intensity on the runoff coefficient showed far better results than that of a fixed parameter.

  • PDF

The Estimation of Annual Runoff using Rainfall-Runoff Model in Korea (강우-유출 모형에 의한 전국 연평균유출량 산정)

  • Kang, Shin-Uk;Lee, Gwang-Man;Lee, Do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610-613
    • /
    • 2005
  • 국가 수자원계획을 위해 필요한 방대한 자료 중 하나인 강수에 의한 각 유역별 유출량 산정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과거 수자원계획에서는 비유량법을 사용하여 각 유역의 유출량을 산정하여 왔다. 하지만 갈수기, 홍수기에 많은 불확실성이 내재되어 있음이 많은 연구에 의해 보고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 4단 탱크모형의 이후에 만들어진 토양수분 저류구조를 가진 탱크모형을 사용하고 개념적 융설모형을 사용하여 전국의 자연 유출량을 산정하고자 한다. 연구에 사용한 소유역단위는 수자원단위지도의 중권역 117개이다. 매개변수의 추정에 사용된 지점은 다목적댐, 용수전용댐, 신뢰성 있는 수위관측소 상류유역 등 총 24개 지점이며, 매개변수 추정에 사용한 최적화 방법은 신뢰성이 검증된 SCE-UA 전역최적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추정된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각 권역별 연평균 유출량을 제시하였다.

  • PDF

산지소유역의 일유출량 산정

  • Park, Gi-Beom;Park, Seon-Hwa;Kim, Ji-H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207-21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 산지 소유역에 대하여 수자원 개발과 이용을 위한 일 유출량 산정을 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유역은 충주댐 유역중에서 비교적 산지의 분포가 많은 농촌 계곡 유역이며, 특히 덕주골, 만수골, 고무서리골과 같은 유역은 유량계측 시설이 없는 미계측 유역으로 수자원 계획수립시 유출량 산정에 어려움이 있는 곳이다. 이러한 미계측 계곡 소유역에 대하여 강우자료와 지형특성을 이용하여 기존의 유사한 유역이나 기수립된 모형의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산지계곡 유역에 탱크모형을 구축하여 저수유출 해석을 실시하여 유출량을 산정함으로써 수자원계획 수립에 이용할 수 있도록 모형을 구축하였다. 탱크모형에 의하여 유출량을 산정한 결과 비유량법과 면적비에 의한 유량이 모두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미계측 산지 계곡의 유량을 산정하는 데 있어 실측한 자료의 부정확성을 탱크모형에 의해 모의하여 보완하여 유출량을 산정하여 수자원 계획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TANK_GS Model to Consider the Interaction between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지표수-지하수 상호흐름을 고려한 TANK_GS 모형의 개발)

  • Lee, Woo-Seok;Chung, Eun-Sung;Kim, Sang-Ug;Lee, Kil-Se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3 no.10
    • /
    • pp.893-90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interaction between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in basin scale by developing TANK_GS model. The soil moisture structure of tank model with 3 tanks is improved to simulate the appropriate stream-aquifer interactions. Maximum likelihood method is applied to calibrate parameters with variance functions to deal with heteroscedasticity of residuals. The parameters of improved TANK_GS model and variance function are simultaneously estimated by Simulated Annealing method, a global optimization technique. The results of TANK-GE are compared to those of the SWMM-GE model which had been developed to consider the stream-aquifer interactions. The new TANK_GS model and SWMM-GE model are applied to Gapcheon basin, which belongs to Geum River basin. TANK_GS model showed better model performance compared to the original TANK model and characterized the relationship of stream-aquifer interactions as satisfactorily as the SWMM-GE model. The sustainable groundwater yield can be estimated for the regional water resources planning using the TANK_GS model

A Study on Baseflow Parameters Estimation of Tank Model (Tank 모형의 기저유출 매개변수 산정에 관한 연구)

  • Koo, Bo-Young;Jung, Il-Won;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970-1974
    • /
    • 2006
  • Tank 모형은 유역을 임의의 저류탱크로 가정하여, 유출공의 높이를 초과하는 저류고를 방출함으로써 유출량을 모의한다. 유출분석의 목적에 따라 직렬 3단 혹은 4단의 탱크로 구성하여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국내의 일 단위 장기유출분석 연구에서는 직렬 4단 Tank 모형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Tank 모형은 유역의 강우-유출관계를 모의하는 과정에 black box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각 저류탱크와 관련된 매개변수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매개변수들의 물리적인 의미를 이해하여야 한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일본의 Sugawara는 경험적으로 매개변수들이 결정되는 범위를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기저유출을 모의하는 Tank 모형의 최하단 탱크에서 이러한 매개변수 범위에서는 적합한 값을 갖으나 장기적인 모의시에 저류고 및 유출고가 계속 증가하여 물리적인 유출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장기간의 자료가 구축된 소양강댐을 적용 유역으로 선정하여 최하단탱크의 유출공계수의 변화에 따른 유출량과 저류고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매개변수가 $0.0001{\sim}0.001$의 범위에서 장기간의 지속적인 저류고와 유출량의 증가가 나타났다. 그리고 유출공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최대저류고는 감소하고, 저류고가 증가하는 지속기간이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치 변화분석에서는 상관계수, 평균제곱근오차, 모형효율성계수에서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출용적오차에서도 최대 약 6% 정도 유출용적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mber)과 동일한 위치의 수온자료를 기초로 회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수온추출 알고리즘을 도출하여, 분석데이터의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수온, 클로로필, 투명도 등을 위성원격탐사 자료와 GIS를 이용하여 공간분석을 실시하고, 공간분포도를 작성함으로써 대상해역의 해양환경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결과, 분석된 위성자료가 현장조사에 의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영상자료분석을 통한 표층수온 추출은 대기 중의 수증기와 에어로졸에 의한 계산치의 오차가 반영되기 때문에 실측치 보다 낮게 평가 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이에 대한 검증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현지관측에 비해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위성영상해석방법을 이용한 방법은 해양수질파악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GIS를 이용하여 다양하고 복잡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가시화하고, 이를 기초로 공간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환경요소별 공간분포에 대한 파악을 통해 수치모형실험을 이용한 각종 환경영향의 평가 및 예측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시 구축된 모형 매개변수를 바탕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차오차분석을 이용하여 수리매개변수와 수질매개변수의 수질항목별 상대적 기여도를 파악해 본 결과, 수리매개변수는 DO, BOD, 유기질소, 유기인 모든 항목에 일정 정도의 상대적 기여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수질 모형의 적용 시 수리 매개변수 또한 수질 매개변수의 추정 시와 같이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추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