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태풍 무이파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서해안을 통과한 태풍의 피해 양상

  • Mun, Seung-Rok;Lee, Mi-Ran;Choe, U-Jeong;Yang, Se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21-23
    • /
    • 2012
  • 최근 서해안을 통과한 태풍 곤파스(2010년), 무이파(2011년)의 영향에 따라 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 내습하는 태풍 중 서해안으로 통과하는 진로의 태풍 특성을 파악하고, 해당 태풍에 따른 피해 발생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 PDF

Comparison of Weather and Wave Data from Ocean Observation Buoys o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during Typhoon Muifa (태풍 무이파 내습시 서남해안 해양관측부이 기상파랑자료 비교 연구)

  • Yoon, Han-Sam;Kwon, Jun-Hy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5 no.3
    • /
    • pp.170-176
    • /
    • 2012
  • This paper analyzes the sea state and characteristics during the August 2011 passage of Typhoon Muifa based on data measured at four ocean weather/wave observation stations (buoys) located o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When the typhoon arrived in the area approximately 230 km west of Mokpo at 9 PM on August 7, the decrease in air pressure led to increases in sea level of 25.64 cm at the Chilbal-do buoy, 16.43 cm at the Geomun-do buoy, and 9.60 cm at the Geoje-do buoy. The maximum wave height increased at the Geomun-do buoy about seven times faster than at the Chilbal-do buoy. The low water temperature at Chilbaldo during the typhoon passage probably reduced the wave energy. In the face of the oncoming typhoon, the southwest direction of the wind and waves may have been the result of external forces transporting seawater (energy) from the open sea toward the coast. The weather and ocean data from the Mara-do buoy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ose of Chilbal-do, whereas the data from Geomun-do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ose of Geoje-do.

Analysis of the Flood Discharge Measurement and Flood Stage Reduction Effect by the Stream Detention Basins (제주도 홍수유량 계측 및 저류지 홍수위 저감효과 분석)

  • Kim, Dong-Su;Yang, Sung-Kee;Yu, Kwon-Kyu;Kang, Meoyng-Su;Jung, Woo-Yul;Lee, Ju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70-170
    • /
    • 2012
  • 제주도는 최근 기후변화에 의한 태풍의 증가로 집중호우의 빈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고 지난 태풍 나리로 인해 발생한 제주시에서의 극심한 재해로 태풍 시 홍수 유량 관측 및 저류지의 건설로 인한 저류효과의 분석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제주대학교 주관의 제주도 물순환 해석 및 수자원 관리체계 구축 사업단은 제주도 환경에 적합한 유량조사기법을 적용 및 개발 중에 있으며 특히 집중 호우 시 유량 계측을 비롯한 제주 유량 자료 확보 방안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제주도 연구단은 지난 여름 태풍 무이파 때 제주시 하천의 제 2동산교에서 다양한 계측 방식을 활용하여 유량관측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태풍 무이파는 강한 중형 태풍으로 제주도 산간 지역에 700mm 이상의 집중호우를 보여 제주 하천에 많은 양의 유출을 발생시키고 일부 재산 및 인명 피해를 발생시켰다. 홍수 유량의 계측은 지금까지도 최적화된 계측 방식이 확립되지 못했고 그 측정의 어려움과 계측기기의 한계로 봉부자 같은 전통적인 방식의 홍수유량 측정방식이 여전히 통용되고 있는 현실이다. 하지만 본 연구단은 최신 관측기법인 비접촉식의 표면영상유속계와 전자파표면유속계를 사용하여 전 강우 지속시간 동안 유량을 매 시간마다 관측하여 수문곡선을 완성하여 홍수 유량 계측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었다. 계측 결과 홍수유출 시 한천 상류의 제 1,2 저류지가 가동되어 저류효과가 수문곡선에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홍수 유출 시 나타나는 대표적인 특이 경향이 수위-유량곡선의 이격현상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홍수 유출은 단순히 수위 자료만으로는 부족하고 유속자료를 동시에 관측해야 정확한 계측치를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최신 계측기기인 표면영상유속계와 전자파표면유속계의 유속 관측값의 상호비교도 실시하여 관측기기의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 PDF

Two-D fluid analysis at flow runoff in the dry stream, Jeju island (제주도 건천의 홍수유출시 2차원 흐름해석)

  • Yang, Won-Seok;Yang, Sung-Kee;Kim, D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87-587
    • /
    • 2012
  • 현재 대부분 하천관리의 흐름해석에서 주가 되었던 1차원 분석은 하천 단면에 따른 횡적인 수면차, 유속분포를 분석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유량 및 유속이 급속도로 늘어나는 홍수시에는 그 오차가 더욱 커질 수 있다. 반면에 2차원 모형의 흐름해석은 사행하천의 흐름 특성과 만곡부에서의 종 횡방향 수면경사 및 양안의 수면차와 합류지점의 횡방향 흐름 등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으며 1차원 해석과는 달리 전 단면에 걸쳐 유속 및 수위 분포를 나타낼 수 있어 실제흐름에 가까운 수리량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적용된 해석모형인 SMS는 미국 Brigham Young 대학의 환경모형연구실과 미공병단(USACE)의 수로실험국(WES) 등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으로서 RMA2, RMA4, SED2D 모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모형은 수리 동역학적 해석, 오염물 이송확산 해석, 유사의 이송 및 퇴적 해석이 가능하며 이 중 RMA2를 이용한 2차원 흐름해석을 통하여 보다 적합한 하천관리에 이용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지역은 제주도 한천 하류부로서 제주도 하천 특성상 평상시 건천의 상태를 이루고 있으나 태풍 및 집중호우시 홍수유출이 발생하여 수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양상을 보인다. 대표적인 예로 태풍 '나리'시 최대 일강우량 420mm로 인한 인근 지역에 0.5 ~ 1.5m의 침수흔적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 최고수위를 기록한 태풍 '무이파'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지역의 Kalesto를 이용한 수위-유속 자료를 이용하여 산출된 유량을 경계조건으로 사용하였고 격자망 형성을 위한 지형 데이터는 지형도 및 측량자료를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사용된 대표적인 매개변수는 하상의 조도계수를 나타내는 Manning의 n값과 유체의 밀도, 속도구배, 구조 등 여러 가지의 유체조건에 따라 변하는 성질인 와점성계수(eddy viscosity)로 요약할 수 있으며 Manning의 n값은 하천설계기준에 따른 하천기본계획의 조도계수를 사용하였고 와점성계수는 적합한 흐름 분포를 결정하기 위해 흐름이 안정될 때까지 변화시켜 해석을 시행하였다. 해석결과 만곡부에서는 급한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최대하폭 구간에서는 완만한 흐름이 나타나 사행하천의 흐름특성과 횡적인 하천단면에 따른 변화, 하상고 차이로 인한 유속분포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보다 유용한 하천관리에 이용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stimation of Wind-induced Responses of a Tall Building Structure for Designing Active Controller (능동제어기 설계를 위한 고층 건물의 풍응답 추정)

  • Park, Hyun-Heum;Mun, Dae-Ho;Lee, Sang-Hyun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30 no.2
    • /
    • pp.159-16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curately estimate the wind-induced responses of a tall building structure for using the estimated responses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optimal force of an active control device. Kalman filter was used for the estimation process and a 3-storied model structure on a shaking table was tested for the verification of the estimation accuracy. The system matrices of the model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mode parameters obtained by the system identification. The estimated displacement matched up well with the measured one. Finally, the wind-induced responses of a real 39-storied building structure excited by the typhoon MUIFA were estimated.

Establishing of Mid-and Long-term Strategy by Analyzing the Storm and Flood Damage Management System (풍수해 관리 현황 분석을 통한 중장기 전략 수립)

  • Ryu, Si saeng;Park, Ju-i;Park, Eun hee;Park, Sung j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62-362
    • /
    • 2017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자연재해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자연재해 중에서도 태풍, 호우 등 풍수해의 발생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 최근 곤파스(2010), 무이파(2011), 볼라벤(2012) 등 태풍의 영향으로 많은 인명피해와 1조원 이상의 직접손실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하여 자연재해 예측 및 피해저감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체계적인 방재정책을 수립하고자, 안전관리 기본계획 및 풍수해저감종합계획 등 풍수해 관리를 위한 관련 정책들을 정비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법률구조상 효율적인 재난관리정책을 뒷받침할 법적 근거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체계적인 풍수해 관리를 위하여 재난관리단계를 예방, 대비, 대응, 복구로 구분하고 관리 현황 분석을 진행하여 풍수해관리 중장기 전략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풍수해 관련 법령 및 법 제도 체계를 검토하였고, 루사(2002)와 볼라벤의 피해사례 분석을 통해 풍수해 관리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현행 방재정책은 사후복구위주의 중앙정부 중심 체계이며, 피해규모가 대형화되고 복합재난이 발생하는 등 새로운 재해상황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풍수해 관리에 있어 (1)관련법 규정의 미흡, (2)재해정보의 부족 및 정보관리의 미흡, (3)대응체계의 복잡성, (4)방재산업에 대한 전략적 과학적 투자 미흡 등을 문제점으로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풍수해관리 중장기 전략은 첫째, 법 제도 개선을 통한 풍수해 관리수준 고도화, 둘째, 재해연보 개선을 통한 풍수해정보관리 고도화, 셋째, 풍수해 피해예측시스템을 활용한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재난대응체계 구축, 넷째, 풍수해 저감 핵심기술 확보와 국내 방재산업 활성화 체계 구축으로 제시하였다.

  • PDF

Analysis of Loop-Rating Curve in a Gravel and Rock-bed Mountain Stream (자갈 및 암반 하상 산지하천의 고리형 수위-유량 관계 분석)

  • Kim, Dong-Su;Yang, Sung-Kee;Yu, Kwon-Ky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5 no.9
    • /
    • pp.853-860
    • /
    • 2012
  • It is well-known that loop effect of the stage-discharge relationship is formulated based on many field observations especially for the sand rivers. Theoretical understandings of the loop effect for the sand rivers have been widely provided, based on the facts that it is driven by the flood wave propagation and bed form changes over the given flood period. However, very few theoretical studies or field observations associated with loop-rating curves in the gravel or rock-bed mountain streams have been attempted so far, due particularly to the difficulties in the accurate discharge measurement during the flood in such field conditions. The present paper aims to report a unique loop-rating curve measured at a gravel and rock-bed mountain stream based on the flood discharge observation acquired during the typhoon, Muifa that passed nearby Jeju Island in summer of 2011. As velocity instrumentation, a non-intrusive Surface Velocity Doppler Radar to be suitable for the flood discharge measurement was utilized, and discharges were consecutively measured for every hour. Interestingly, the authors found that the hysteresis of the loop-rating curve was adverse compared to the typical trend of the sand bed streams, which means that the discharge of the rising limb is smaller than the falling limb at the same stage. We carefully speculate that the adverse trend of the loop-rating curve in the gravel bed was caused by the bed resistance change that works differently from the sand bed case.

The Differences of Rice Growth and Yield at Various Agroclimatic Regions in Chungnam Province (충남지역 농업기후 지대별 벼 생육 및 수량 변이)

  • Choi, N.G.;Park, J.H.
    • Journal of Practical Agriculture & Fisheries Research
    • /
    • v.20 no.1
    • /
    • pp.163-174
    • /
    • 2018
  • Rice cultivation is immensely affected by many climatic factors including temperature, precipitation, etc, and imbalanced climatic conditions negatively affect the growth of ric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agroclimatic zones of Chungnam Province on rice quality and examined the correlations between climatic characteristics and rice yield components. Average temperatures and rainfall were higher in 'Western Sobaek Inland' than those in the 'South Western coastal zone, and precipitation records showed a wide variation among counties due to typhoons during the examined periods. The average accumulative temperature affecting the magnitude of production during reproductive growth periods was higher in "Cheon-An", "Gong-Ju", "Yeon-Gi (Se-Jong)", "Bo-Ryeong", and "Dang-Jin" counties than those in other counties. The plant height was higher in 'Western Sobaek Inland' counties such as "Yeon-Gi(Se-Jong)" and "Cheon-An", and 'Southern Charyeong Plain' counties such as "Cheong-Yang", "Dang-Jin", and "A-San", than those in other counties. The number of tillers during the 40 days after rice transplantation in "Seo-Cheon" and "Bo-Ryeong" counties increased compared to other counties. This result was relevant to the fact that the date of rice transplantation in those counties was 3 to 4 days later than those in other counties of Chung-Nam Province. The average yield (milled rice basis) was the highest in 'Western Sobaek Inland' zone, showing 3,756 kg ha-1, followed by 'Southern Charyeong Plain' zone showing 3,621kg ha-1, and was the lowest in 'South Western coastal zone by 3,315kg ha-1. "Yeon-Gi(Se-Jong)" and "Dang-Jin" counties showed the highest yields of 4,100kg ha-1. "Seo-San", "Seo-Cheon", and "Tae-An" counties were relatively lower yields of 3,240~3,280kg ha-1 in comparison of other coun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