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태백산

Search Result 196,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Weights of Evidence Modeling for Metallic Ore Deposits Potential Mapping in Taebaeksan Area (태백산 광화대의 금속광상 부존가능지역 예측 모델링)

  • 이홍진;지광훈;백맹언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87-190
    • /
    • 2003
  • 태백산 광화대는 1960년대부터 광물자원에 대한 조사 및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으로 지질관련 자료들이 많이 축적되어 있으므로 자료의 이용이 용이하고 예측 모델링을 적용한 결과와 기존 결과의 비교가 가능한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태백산 광화대 지역의 금속광상의 부존가능지역 예측을 위하여 지화학 자료를 이용하여 주제도를 작성하였다. 부존가능지역 예측을 위하여 사용한 기법은 GIS 기반의 예측 기법 중하나인 Weights of Evidence 모델링 기법으로 연구지역에 시범 적용함으로써 국내 환경에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구조선과 광상간의 공간적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 PDF

Basin Evolution of the Taebaeksan Basin during the Early Paleozoic (전기 고생대 태백산분지의 분지 진화)

  • Kwon, Yi Kyun;Kwon, Yoo Jin;Yeo, Jung Min;Lee, Chang Yoo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2 no.5
    • /
    • pp.427-448
    • /
    • 2019
  • This study reconstructed the paleoenvironments and paleogeography of the Taebaeksan Basin, through a review of the previous researches on sedimentology, paleontology and stratigraphy. This study also carried out a sequence stratigraphic analysis on regional tectonism and sea-level fluctuations on the basin during the Early Paleozoic. The basin broadly occur in the Taebaek, Yeongweol-Jecheon, Jeongseon-Pyeongchang, and Mungyeong areas, Gangwon province, South Korea. The basin-fills are composed mainly of mixed carbonates and siliciclastics, divided into the Taebaek, Yeongweol, Yongtan, Pyeongchang and Mungyeong groups according to lithologies and stratigraphic characteristics. Recently, there are a lot of studies on the provenance and depositional ages of the siliciclastic sequences of the basin. The detrital sediments of the basin would be derived from two separated provenances of the core-Gondwana and Sino-Korean cratons. In the Early Cambrian, the Taebaek and Jeongseon-Pyeongchang platforms have most likely received detrital sediments from the provenance of the Sino-Korean craton. On the other hand, the detrital sediments of the Yeongweol-Jecheon platform was probably sourced by those of the core-Gondwana craton. This separation of provenance can be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the paleogeographic and paleotopographic separation of the Yeongweol-Jecheon platform from the Taebaek and Jeongseon-Pyeongchang platforms. The analyses on detrital zircons additionally reveal that the separation of provenance was ceased by the eustatic rise of sea-level during the Middle Cambrian, and the detrital sediments of the Taebaeksan Basin were entirely supplied from those of the core-Gondwana craton. During that period, sediment supply from the Sino-Korean craton would be restricted due to inundation of the provenance area of the craton. On the other hand, the Jeongseon-Pyeongchang platform sequences show the unconform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Early Cambrian siliciclastic and the Early Ordovician carbonate strata. It is indicative of presence of regional uplift movements around the platform which would be to the extent offset of the effects of the Middle to Late Cambrian eustatic sealevel rise. These movements expanded and were reinforced across the basin in the latest Cambrian and earliest Ordovician. After the earliest Ordovician, the basin was tectonically stabilized, and the shallow marine carbonate environments were developed on the whole-platform by the Early Ordovician global eustatic sea-level rise, forming very thick carbonate strata in the basin. In the Late Ordovician, the Early Paleozoic sedimentation on the basin was terminated by the large-scale tectonic uplift across the Sino-Korean platform including the Taebaeksan Basin.

Geographic variation of song on Great Tit, Parus Major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of the T'aebaek Mountains in Korea (태백산맥을 경계로 동서간 한국산 박새(Parus Major) 소리(song)의 지리적 변이)

  • 강정훈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d
    • /
    • pp.40-45
    • /
    • 1998
  • 본 논문은 한국산 박새(Parus major)의 소리(song)를 이용해서 태백산맥을 경계로 동서간의 지리적 변이에 관한 논문이다. 박새 소리의 지리적인 변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지역간 음절의 시간과 주파수 요인을 비교하고, factor의 군집화의 지역간의 변이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luster Analysis와 discriminant Analysis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태백산맥을 경계로 동쪽지역여과 서쪽지역은 영덕군과 청송군, 삼척시와 태백시를 중심으로 해서 지리적인 변이를 나타냈다.

  • PDF

태백산지역에서는 고도별 Karst Terrain의 비교 연구

  • 윤영숙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5 no.6
    • /
    • pp.31-39
    • /
    • 1980
  • 우리나라에는 캠브로-오오도비스(Cambro-Ordovician)기에 속하는 조선누층군의 대석회암통이 넓게 분포되어 있어 석회암지대 특유의 Karst지형을 이루는 곳이 많다. 본 논문의 연구대상지역은 고생대 캠브로-오오도비스기의 조선계 대석회암통에 속하는 옥천지향사의 북부태백산지구를 중심으로 한 석회암 분포지역 중에서 Sinkhole terrain이 비교적 잘 발달되고 해발고도가 상이한 3개 지역을 선정하였다.(중략)

  • PDF

안동지역에서의 풍수경관

  • 옥한석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05a
    • /
    • pp.95-98
    • /
    • 2002
  • 본 연구는 안동지역에 있어서 이른바 명당이라고 하는 음택 풍수 경관을 조사하여 그 형태와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안동문화원에서 펴낸 $\boxDr$안동의 분묘$\lrcorner$ 에 나오는 분묘를 대부분 조사하고 이를 형기론적 입장에서 형국으로 분류하였다. 태백산에서 소백산을 잇는 낙동정맥 살의 문수산(1206m)에서 하나의 지맥이 남쪽으로 흘러 태자산, 박달산, 오적산, 학가산(870m), 보문산(643m), 검무산(331m)을 이루어내어 안동의 서쪽 산줄기를 형성하며, 태백산에서 백병산, 일월산, 주방산(주왕산), 보현산, 황학산, 오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가 우측을 이루어내어, 이들 우백호와 좌청룡이 안동군 풍천면의 구담리에서 마주하게 된다. 그 사이로 안동군, 예안현 등이 입지하였다. 이러한 안동의 산세에 따라 낮은 구릉, 완만한 사면 및 높은 배후 산지가 전개되며 낙동강 본류와 지류가 흘러 다양한 형국이 나타나게 된다. 안동의 경우는 날짐승(봉, 학, 꿩), 꽃(모란, 연꽃, 칡넝쿨), 길짐승(닭), 들짐승(거북, 뱀), 물건(등잔, 가마솥, 밥상), 용, 달 등이 33개가 나타난다. 이들의 분포를 살펴보면 크게 낙동강 본류 이북 쪽에 집중한다. 이들 명당은 고도 상으로 해발고도 200미터 부근에 대부분 입지한다. 무릇 명당이란 안산과 조산을 넘어 득수가 잘 이루어져야 하므로 낙동강 본류를 중심으로 하고 그 지류를 향하여 분포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들 명당의 형태와 공통된 특징을 살펴본 결과 명당은 반개방성, 중첩성, 안정성, 조화성, 균형성의 5가지 특징이 나타나는 곳이다. 이러한 명당의 특징은 태조산, 중조산, 소조산를 거쳐 주산 아래 산이 겹겹이 에워싸게 되고, 계곡물의 여러 줄기가 합수하고 물이 역류하지 않으며 잘 감아도는 곳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명당의 기본적인 원리는 장풍(藏風)과 득수득파(得水得破)이다. 장풍과 득수란 '국'(局), 즉 산줄기와 수계로 이루어진 일정한 범위 속에 만물이 생태계 속에서 살아가는 모습인 '체형(體形)'의 의미가 나타나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는 시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 PDF

Analysis of Isoflavonoid Contents in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Cultivated in Different Areas and at Various Ages (황기의 산지별 및 연근별 isoflavonoids의 함량분석)

  • Im, Kyung-Ran;Kim, Mi-Jin;Jung, Teak-Kyu;Yoon, Kyung-Sup
    • KSBB Journal
    • /
    • v.25 no.3
    • /
    • pp.271-276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for isoflavonoid contents that can be used to index Astragalus membranaceus B. cultivated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China. Isoflavonoid contents in Astragalus membranaceus B. which were cultivated in various areas (Jecheon, Jeongseon, Yeongju, and Taebaek in Korea, and China) and ages (1-year-old, 3-years-old) were determined. Calycosin and formononetin as major constituents were determinated by HPLC method in Astragalus membranaceus B.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average contents of isoflavonoids among 1-year-old and 3-years-old. However, isoflavonoid content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areas. HPLC analysis showed that the calycosin content of 1-year-old at Jeongseon was the highest level of $0.090{\pm}0.002%$ and that of 1-year-old at Yeongju was the lowest level of $0.010{\pm}0.001%$. The highest level of formononetin content was $0.050{\pm}0.001%$ of 1-year-old at China, while the lowest level was $0.020{\pm}0.001%$ of 1-year-old at Yeongju.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contents of isoflavonoid in Astragalus membranaceus B. might be quite different with respect to the cultivation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