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태백산맥(太白山脈)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3초

강원도 지역 극한 강우의 통계적 특성 분석 (Regional analysis of statistical characteristics for extreme rainfall in Kangwon Province)

  • 김성훈;김희철;허준행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278-278
    • /
    • 2023
  • 강우는 수문 현상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로, 관측된 강우 자료의 정확한 분석 결과는 수자원 정책과 계획·관리에 합리적 판단 근거로 작용한다. 강원도는 지난 2002년 태풍 루사로 인하여 일 강수량 870.5mm의 폭우가 기록된 지역으로, 극한 강우로 인한 막대한 피해가 해마다 발생하고 있다. 특히, 강원도 지역은 태백산맥 중심의 산악지형과 동해의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받는 강우 사상의 특성이 집중호우, 폭설 등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지역 극한 강우의 통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강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최근 5년간 극한 강우의 변동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2022년까지의 자료를 구축하여 기존 『홍수량 산정 표준 지침』 작성 시 산정한 결과(2017년까지의 자료)와 비교·분석하였다. L-모멘트법 기반의 Generalized Extreme Value (GEV) 분포형을 이용하였고, 지역빈도해석을 수행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 PDF

하안단구 최고위면에 기초한 태백 산지 일대의 하각과 융기의 공간 분포 특성 (Characteristicsin Spatial Distribution of Incision and Uplift Based on the Highest Level Terraces Around the Taebaek Mountains)

  • 이광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1-42
    • /
    • 2018
  • This study analyze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highest level terrace which can be regarded as an initial land surface before the uplift of the Taebaek Mountains and estimates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incision and uplift rates around the Mountains. The altitude above the riverbed of the 54 highest level terraces seems to be greatly influenced by the incision of large stream and their elevation shows a high correlation with the uplift of the Mountains. The elevation of the terraces in the north and middle parts decreases westward with a rate of 5~6 m/km and meets with the sea level at area 100~120 km apart from the Mountains.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west coast of Korea might have generally experienced subsidence during the Quaternary. The elevation of the terraces suggests that area with a direction of N-S or NNW-SSE from Yeoryang-myeon, Jeongseon-gun to Taebaek-si shows the highest uplift rate around the Mountains and area with a direction of N-S connecting Girin-myeon, Inje-gun and Pyeongchang-eup, Pyeongchang-gun also indicates a high uplift rate.

태백산맥 남부 동해안 하천 유역의 하안단구 지형 형성 (Geomorphological Processes of Fluvial Terraces at the River Basins in the East Coast in the Southern Taebaek Mountain Range)

  • 이광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17
    • /
    • 2014
  • 본 연구는 태백산맥 남부에 위치한 울진 광천, 평해 남대천, 영덕 오십천을 대상으로 하안단구 지형 특성,분포, 형성시기, 하각률을 분석하여, 지반융기와 기반암 특성에 의한 하안단구 형성과정을 추정하였다. 울진 광천 상류부의 구조 및 기후단구 1면은 하상비고 9~12m, 형성 시기는 MIS 2, 하각률은 0.40m/ka로 분석되었으며, 영덕 오십천 상류부의 구조 및 기후단구 1면은 하상비고 7~10m, 형성 시기는 MIS 3, 하각률은 0.10m/ka로 계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울진 광천 유역이 영덕 오십천 유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반 융기율이 클 가능성을 의미한다. 울진 광천의 하류부는 영덕 오십천과 달리 해면변동단구가 확인되지 않는데, 울진 광천은 큰 융기율과 풍화 침식에 강한 기반암으로 인해 하곡에서 지형의 잔존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보인다. 한편, 연구 대상 하천의 구조 및 기후단구는 가장 낮은 단의 형성시기가 다르고, 간빙기 내 기온 저하기와 아간빙기에 형성된 단구면도 확인되었다. 따라서 기존 기후단구 모델에 따른 하안단구 편년 방법에 대해 재고할 필요가 있다.

  • PDF

한국에 있어서 감입곡류 하천의 분포 특성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ncised Meander River in the Korean Peninsula)

  • 송언근;조화룡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7-34
    • /
    • 1989
  • 1) 우리나라의 감입곡류의 분포는 태백산맥 서사면과 소백산맥 북.서사면에 집중 분포해 있고 동해사면과 소백산맥 동.남사면에는 상대적으로 감입곡류의 발생률이 낮다. 하천별로는 한강, 금강, 섬진강, 낙동강 순으로 나타나고 특히 남한강 상류에서 높게 나타난다. 2) 지질적으로 감입곡류의 발생률은 조선계, 평안계, 대동계, 변성암, 경상계, 화강암 순으로 높게 나타나고, 풍화에 강한 암석일수록, 층상구조를 하고있는 지질일수록, 지질배열이 유로와 직교할수록, 지질 접촉부에 위치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3) 1/250,000 지형도를 기도로 한 하천차수구분에서 감입곡류의 발생률은 5차, 4차, 6차수 하천에서는 높은 발생률을 보이고 이보다 차수가 높아지거나 낮아질수록 발생률이 급격히 낮아진다. 4) 감입곡류하는 하천의 현재 하상고도는 100~200m 고도에 높은 빈도를 보이고, 절봉면도(7.5km 이하의 곡을 이곡하여 작성)에서는 400~600m 고도에 높은 빈도를 보여 이 절봉면을 원면으로 가정할 때 300~400m의 하각이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5) 감입곡류의 분포적 특성으로 미루어 볼 때 태백산맥 뿐만 아니라 소백산맥도 한반도의 비대칭곡운동의 축일 가능성이 큼을 시사하고 있다. 6) 가상 절봉면 상에서와 하천 차수별 감입곡류 분포 특성을 미루어 볼 때 현재 감입곡류하고 있는 유로는 과거 고위 및 중위 침식면을 흐르던 선행곡류 하천에서부터 유래한 것으로 보는 것이 해석에 유리하였다.

  • PDF

경북 영천시 고현천의 하안단구 지형 분석 (Analysis of Fluvial Terraces at Kohyun River in Youngcheon City)

  • 조영동;이광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47-462
    • /
    • 2009
  • 본 연구는 태백산맥의 남쪽 말단부에 위치하며 유역 분지의 대부분이 퇴적암으로 구성된 고현천을 대상으로, 하안단구 지형 분류 및 퇴적물 분석을 통해 하안단구의 분포 특성과 형성 과정을 고찰하였다. 고현천 하곡에는 1면$\sim$3면의 하안단구가 발달해 있으며, 충적층의 퇴적 상태와 암석 하상의 존재로 판단할 때, 침식단구일 가능성이 높다. 고현천 하안단구 1면의 형성시기는 약 37,000년 전으로 MIS(Marine Oxygen Isotope Stage) 3시기에 해당하며, 하안단구 2면은 약 113,000년 전으로 MIS 5시기에 해당된다. 따라서 고현천의 하안단구는 상대적으로 온난한, 빙기 내의 아간빙기 또는 간빙기 내의 냉량기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현천 하안단구 1면의 하각률은 0.054m/ka, 2면의 하각률은 0.115m/ka로 계산되었는데, 이는 낮은 지반 융기율과 부족한 유량으로 인해 우리나라의 다른 하천보다 낮은 하각률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산지 차수에 근거한 남한지역의 산지 구분 (A Classification of Mountains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 Mountain Ordering)

  • 김추홍;손일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3
    • /
    • 2010
  • 실험지역으로 선정된 거제도와 남해도에 대해 Yamada(1999)의 산치차수구분을 시도해 보았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산지차수구분을 남한 전 지역에 확대·적용하였다. 남한 지역의 최고 산지차수는 5차수였는데, 설악·태백산지, 지리·덕유산지, 영남알프스산지 모두 3곳으로 확인되었다. 4차수 산지는 10곳, 3차수 산지는 87곳에 나타난다. 5차수 산지는 대략 한반도의 융기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4차수와 3차수 산지의 분포는 2차산맥과 같은 북동-남서의 방향성을 지니고 있다. 한편 하천차수법칙과 마찬가지로 차수별 산지 개수, 면적, 비고의 로그함수 값이 차수에 대해 선형관계를 이루고 있다. 차수별로 구분된 산지 중에서 기존의 산맥체계에서 고려하지 않은 산체들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들은 한반도의 지체구조를 보다 자세하게 이해하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국립공원 및 도립공원은 대부분 5, 4, 3차수 산지에 분포하고 있다. 특히 속리산국립공원이 남한 지역의 대표적인 두 산체인 지리·덕유산지와 설악·태백산지를 연결하는 생태축의 중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산치차수구분법이 지니고 있는 지형학적 의미뿐만 아니라 실용적 가치를 시사해준다.

한국 산지촌의 실태와 진흥방안에 관한 연구 (I) -강원 남부지역의 산지촌을 사례로 한 경관생태학적 접근- (Geoecological Situation and Promotion of Mountain Settlements in Korea (I))

  • 김일기;이민부;박승규;전종한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7-46
    • /
    • 1999
  • 이 글은 상대적으로 연구 성과가 미비하고 그 접근방식도 다양하지 못했던 기존의 산지촌 연구를 회고하면서, 경관생태학적 관점을 활용하여 산지촌의 분포지역을 세분하고 이 틀 속에서 산지촌에 접근하자고 하였다. 특히 산지촌들이 생태지역에 따라 그 존립방식에 있어서 내적 차별성을 보인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연구지역은 산지촌이 전형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강원 남부지역의 태백산맥 일대로서 지형경관, 사면경사도, 해발고도 등에 의거하여 세 개의 생태지역으로 세분될 수 있었다. 고위평탄면지역 산지촌, 고위산간지역 산지촌, 그리고 급사면산간지역 산지촌이 그것이다. 이러한 생태지역의 개념에 기초하여 먼저 산지촌의 형성과정을 역사적으로 추적해본 후, 자연경관, 촌락의 분포 패턴, 생활방식 등을 생태지역별로 비교하면서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이 과정에서 도출된 세 곳의 생태지역, 생태지역별 자연경관 및 생활양식의 차별성, 산지촌 생활의 현실태, 촌락존립상의 문제점 등은 산지촌의 진흥방안을 모색하는 데 매우 중요한 관점과 방향을 제시해 줄 것으로 본다. 따라서 본고에서 사용한 경관생태학적 방법론은 연구지역 이외의 지역에서도 적용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연구가 전국의 산지촌으로 확대될 때 현실에 바탕을 둔 산지촌의 진흥방안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PDF

태백산맥의 지형적인 효과와 관련된 강릉 지역의 강풍 사례에 대한 수치모의 연구 (A numerical study of the orographic effect of the Taebak mountains on the increase of the downslope wind speed near Gangnung area)

  • 이재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12호
    • /
    • pp.1245-1254
    • /
    • 2003
  • A numerical simulation for 11 February 1996 has been done to grasp main mechanisms of the occurrence of strong downslope winds near Gangnung area. The simulation performed by using ARPS (Advanced Regional Prediction System) showed that enhanced surface winds were not related with a reflection of vertically propagating gravity waves. Froude numbers were about 1.0, 0.4 and 0.6 for the atmosphere above Daekwanryoung and above a place located 220km upstream, and above another place located 230km downstream from the Taebak mountains, respectively. This suggested that as a subcritical flow ascended the upslope side of the Taebak mountains, Froude numbers would tend to increase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wind speed, and near the crest the flow would become supercritical and continue to accelerate as it went down the downslope side until it was adapted back to the ambient subcritical conditions in a turbulent hydraulic jump. Simulated Froude numbers corroborated the hydraulic jump nature of the strong downslope wind. In addition, the inversion was found near the mountain top height upstream of the mountains, and it was favorable for the occurrence of strong downslope winds.

강원도 고랭지 채소 재배지에 시비한 유기물이 토양과 배추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s on Soil Properties and the Development of Chinese Cabbage (Braccica campestris) in the Alpine Regions of Korea)

  • 김수정;양재의;신영오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85-91
    • /
    • 2007
  • 광범위하게 집중적으로 채소 재배에 이용되고 있는 강원도 태백산맥 지역의 고랭지를 대상으로 유기물 시용이 토양의 비옥도를 비롯한 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또한 이런 조건에서 재배되는 배추의 생장과 수확량, 그리고 품질을 평가했다. 토양에 첨가한 많은 양의 돈분과 톱밥, 계분과 톱밥, 계분, 퇴비 등의 유기물질과 화학비료가 토양 유기물 함량에는 결과적으로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토양의 pH에도 마찬가지로 별 영향이 없었다. 그러나 K와 함께 Fe와 Mn의 함량은 감소한 반면 Ca와 Mg의 함량은 증가했으며 특히 유효 $P_2O_5$는 대단히 많은 양이 축적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배추의 양분함량을 내엽과 외엽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일반적으로 외엽의 영양소 함량이 내엽보다 많았으며 토양에 첨가한 유기물질의 종류간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수확량에도 첨가한 유기물질의 종류가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게 하지 않았으며 병충해에 의한 피해는 관찰되지 않았다.

  • PDF

뽕밭의 식물기생선충 종류 및 분포조사 (Survey for Plant Parasitic Nematodes in Mulberry Fields)

  • 백현준;한상찬;김영택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8-52
    • /
    • 1987
  • 뽕밭의 식물기생선충의 종류, 분포 및 기생선충 밀도에 따른 피해정도를 알고자 전국의 929개 뽕밭에서 채취한 토양을 이용 깔데기 법으로 조사하였다. 1. 14속의 기생선충이 검출되었고 이들 중 주요 뽕나무 기생선충은 Paratylenchus aciculus, P. projectus, P. morius, Helicotylenchus dihystera, Meloidogyne arenaria 이었다. 2. 검출빈도가 높은 선충은 Paratylenchus속 Tylenchorhynchus속, Aphelenchus속, Helicotylencus속 및 Meloidogyne속이었다. 3. 주요 뽕나무 기생선충의 지역적 분포를 보면 Meloidogyne속은 주로 태백산맥 서부지역에 분포하고 전북, 강원, 경기, 전남순으로 검출율이 높았고 Helicotylenchus속은 충북과 충남의 검출율이 타도에 비하여 월등히 낮았고 경남, 경기는 높았다. Xiphinema속은 강원, 충남, 경북에서는 검출되지 않았고 주로 남부지역에서 검출율이 높았으며 Paratylenchus속은 경기, 경북, 경남, 전북의 검출율이 높았다. 4. 침선충의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뽕나무의 생육이 불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