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태류식물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한반도 미기록 태류식물 (Unrecorded Liverwort species from Korean flora)

  • 최승세;;김철환;선병윤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80-90
    • /
    • 2012
  • 우리나라 미기록 태류식물 10 분류군을 발견하였다. 털이끼과의 털이끼 [Neotrichocolea bissetii (Mitt.) S. Hatt.]와 목걸이이끼과의 은목걸이이끼 [Calypogeia angusta Steph.], 겉게발이끼과의 바위겉게발이끼 [Cephaloziella massalongii K. Mller], 기발이끼과의 숲비늘이끼 [Harpanthus scutatus (F. Weber & D. Mohr) Spruce], 둥근망울이끼과의 보라망울이끼 [Plectocolea torticalyx (Steph.) S. Hatt.]는 지리산 중산리계곡, 한신계곡 및 천왕봉 부근에 자생하고 있었으며, 엄마이끼과의 새깃통꼴이끼 [Anastrophyllum michauxii (F. Weber) H. Buch], 엄마이끼과의 산중갈래잎이끼 [Lophozia excisa (Dicks.) Dumort.], 엄마이끼과의 계곡갈래잎이끼 [Lophozia lantratoviae Bakalin], 날개이끼과의 돌잔비늘이끼 [Mylia verrucosa Lindb.], 엄마이끼과의 바위엄마이끼 [Scapania sphaerifera H. Buch.]는 설악산 대청봉, 소청봉, 끝청 및 구곡담계곡 부근에 소수의 개체가 자생하고 있었다.

덕유산의 한국산 미기록 태류식물 (Unrecorded Liverwort Species from Mt. Deogyu, Korea)

  • 최승세;;선병윤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18-225
    • /
    • 2010
  • 덕유산 (1614 m)에서 우리나라 미기록 태류식물 10 분류군을 발견하였다. 미기록속인 엄마이끼과의 창이끼 [Tetralophozia filiformis (Steph.) Urmi]와 미기록종인 쌍갈고리이끼과의 왕쌍갈고리이끼 [Herbertus buchii $Jusl{\acute{e}n$], 벼슬이끼과의 선좀벼슬이끼 [Bazzania japonica (Sande Lac.) Lindb.], 겉게발이끼과의 산겉게발이끼 [Cephaloziella hampeana (Nees) Schiffner ex Loeske.], 망울이끼과의 꼬마망울이끼 [Jungermannia japonica Amak.], 은비늘이끼과의 고산양끝통이끼 [Marsupella alpina (Gott. ex Husn.) Bernet.], 날개이끼과의 숲누운날개이끼 [Pedinophyllum interruptum (Nees) Kaal.], 지네이끼과의 푸른지네이끼[Frullania polyptera Tayl.], 가시지네이끼과의 계곡가시이끼 [Jubula hutchinsiae ssp. javanica (Steph.) Verd.], 우산이끼과의 고산우산이끼[Marchantia polymorpha ssp. montivagans Bischl. and Boisselier-Dubayle.]는 덕유산 계곡 및 능선부에 소수의 개체가 자생하고 있었다.

작은귀이끼과(Lejeuneaceae)의 한반도 미기록 태류식물 (Six unrecorded species from the family Lejeuneaceae (Marchantiophyta) in Korea)

  • 최승세;;김철환;선병윤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50-156
    • /
    • 2012
  • 작은귀이끼과(Lejeuneaceae)에서 우리나라 미기록 태류식물 6 종을 발견하였다. 거제도에서 생육하는 응달이끼(Archilejeunea kiushiana), 가야산에 생육하는 칼잎이끼 (Drepanolejeunea angustifolia)와 동굴작은귀이끼(Lejeunea otiana), 완도 상황봉 계곡에 생육하는 계곡작은귀이끼(Lejeunea aquatica), 설악산 소청봉 부근에 생육하는 산토끼이끼 (Leucolejeunea japonica) 그리고 가거도에 생육하는 섬이끼(Spruceanthus semirepandus)를 국내 미기록 태류식물로 보고한다.

선흘 곶자왈 동백동산의 선태식물상 연구 (Floristics of bryophytes in Dongbaek-dongsan at Seonheul Gotjawal)

  • 임은영;문명옥;선병윤;나카니시 코즈에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74-284
    • /
    • 2013
  • 본 연구는 제주도 한라산 북동사면의 선흘 곶자왈에 위치하고 있는 동백동산의 선태식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식물상 조사 결과, 선류는 22 과 44 속 62 종, 태류는 12 과 16 속 23 종으로 총 85 종이 확인되었다. 이 중 Diphyscium perminutum Takaki, Racomitrium japonicum Dozy & Molk., 그리고 Isopterygium minutirameum (M$\ddot{u}$. Hal.) A. Jaeger.는 한국미기록식물에 해당하여 본 연구를 통해 기재하였다. 태류지수는 27.0%이고, 직물형의 생활형에 해당하는 선태식물이 가장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습성 또는 습성의 환경에 주로 생육하는 선태식물의 비율이 건조한 환경에서 주로 출현하는 선태식물의 비율보다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조사지 내의 상록활엽수림, 습지, 나지 등에 의한 다양한 환경 요인이 종의 조성과 분포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이 지역에서 암석은 선태식물에 미소환경을 제공하는 데 있어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기질이었다. 특히, 동백동산의 소택지에 분포하는 선태식물은 면적에 비해 독특하고 다양하며, 관속식물과 함께 모자이크 공간 유형의 식물군락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제주고사리삼과 자생지의 보존과 복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국 고유 양치식물인 제주고사리삼이 자생하는 소택지를 대상으로 한 보다 정밀하고 종합적인 조사를 제안하는 바이다.

한반도 선태식물 연구사 (A history of bryological studies on the Korean Peninsula)

  • 이지연;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09-115
    • /
    • 2012
  • 한반도 선태식물 연구 역사와 문헌을 정리하였다. 한반도 선태식물의 최초 채집은 20세기 초 프랑스 신부 Urban Faurie에 의해 수행되었는데, 이 표본들 중 선류는 Jules Cardot, 태류는 Franz Stephani에 의해 주로 연구되었다. 한반도 선태식물에 대한 일본인의 연구를 연대순으로 기술하였다. 또한 홍원식과 최두문의 남한 선태식물 목록과 식물상에 관한 연구업적을 정리하였으며, 최근 북한의 선태식물 연구 문헌을 소개하였다.

말기녹종을 포함한 한나산화구벽의 태류 (A LIST OF HEPATICAE COLLECTED IN THE CRATER OF MT. HANLA, WITH 6 NEW ADDITIONS TO THE KOREAN FLORA)

  • Hong, Won-Shic;Kim, Byong-Tak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4권1호
    • /
    • pp.13-15
    • /
    • 1961
  • 백록담은 한나산의 중앙부 고도 약 2000 미에 자리잡고 있는 거대한 분화구인데 화구벽에 나는 총출현종수 12종(9과)중 다음 6종은 한국미기록중이다. (1) Bazzania tricrenata(Wahlenb.) Trev. (2) Plagiochila satoi Hatt. (3) Scapania ampliata St. (4) Radula boryana(Web.) Nees. (5) Cololejeunea Kodamae Kamimura. (6)C. macounii(Spruce) Eva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