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탑구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3초

석탑 탑구(塔區)의 역할 및 변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 and Transition of the Tapgu in Stone Pagoda)

  • 정해두;장석하
    • 건축역사연구
    • /
    • 제19권1호
    • /
    • pp.91-104
    • /
    • 2010
  • Korea's stone buildings are varied in their types such as stone pagodas, stone lanterns, stone bridges, stoneworks, etc. These account for more than 30% over the entire cultural properties, but research achievements are lacking compared to wooden building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hape, role and transition of Tapgu, which had been used to set up boundary at a stone pagoda, one of the stone buildings. The 20th stone pagodas, which have relative accuracy in its forming year, have been studied around national treasure or treasure between 7th century and 9th century. There are a lot of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role and meaning of Tapgu, and at this writer's option, Tapgu is defined as follows: First, each structure plays a different role. A structure to pass the load in the upper part to the ground can be seen as a stair or a pedestal, but a structure to form double foundations can be considered as Tapgu. Second, Tapgu can be used to divide areas with stones or stepping stones. As a result, the shape, role and transition of Tapgu is as follows: Firstly, when it comes to its shape, Tapgu includes flagstone type, belt type, double foundation type, compound type. Flagstone type had been used to set up boundary at stone pagodas by using foundation stone, belt type by keeping apart from stone pagodas, and double foundation stone by installing dual foundation stones. Secondly, Tapgu is considered to set up boundary in the case of flagstone and plate stone, and acts like a structure which can prevent surrounding area of stone pagoda from coming up while being stuck around stone pagodas. Belt type was installed only for the purpose of forming boundary. At the bottom, double foundation stone had been used to pass the load in the upper part to the ground in the same way as the foundation stone in the upper part, and the boundaries were set varying the size. Thirdly, when it comes to the transition of Tapgu, flagstone type of boundary stone had been installed in the 7th century, and belt type of boundary stone had been mainly installed in the 8th century. And double foundation stone had been installed in the 9th century. Comprehensively, flagstone type and belt type had been made around the 7th and 8th century when Tapgu was regarded important and stone pagoda started to be built. At the turn to the 9th century, the role of Tapgu had been increasingly losing in the construction of stone pagoda, and foundation stone started to appear.

확장적 과학 탐구 활동을 통한 중학생의 탐구 동기 변화 (The Change of Middle School Students' Motivation for Investigation through the Extended Science Investigations)

  • 윤혜경;박승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37-153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과학 탐구 요소 위주의 단편적인 활동이나 지시적인 확인 실험과 대비되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문제 해결 활동으로서 '확장적 과학 탐구'를 개념화하고 이러한 탐구 활동을 통한 교육적 성취의 한 가지 중요한 정의적 구인을 '탐구 동기'로 개념화하였다. 탐구 동기는 과학 탐구 활동을 지향하고 출발시키는 개인의 심리적 태세로, 동기의 방향에 따라 정적(正的) 탐구 동기, 부적(負的) 탐구 동기로 구분하고 각각을 그 원인에 따라 외적 탐구 동기와 내적 탐구 동기로 구분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확장적 과학 탐구 활동에서 중학생들의 탐구 동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종단적으로 조사하여 기술하는 것이다. 중학교 1학년 4개 학급의 남, 여 학생 12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과학 교과서의 '힘과 운동' 단원에 제시되어 있는 2가지 탐구 과제와 본 연구에서 개발한 4가지의 확장적 과학 탐구 과제를 학생들이 수행하는 동안 탐구 동기가 어떠한지 설문을 통하여 반복적으로 정량적 자료를 조사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제출하는 탐구 보고서를 통하여 탐구 동기 변화 과정에 대한 정성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정량적 및 정성적 자료를 분석하고 종합하여 탐구 동기의 변화 과정을 기술하였다. 각 과제에 대한 탐구 동기를 분석해 보면 확장적 과학 탐구에서 교과서에 제시된 협의의 탐구에 비해 정적 탐구 동기를 나타내는 학생 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탐구 보고서를 통하여 탐구 동기의 원인을 분석하여 보면 교과서에 제시된 협의의 탐구에서는 정적 탐구 동기의 원인으로 과제 외재적 요인이 과제 내재적 요인에 비해 높게 인식된 반면 확장적 과학 탐구에서는 정적 탐구 동기의 원인으로 과제 내재적 요인이 과제 외재적 요인에 비해 높게 인식되었다. 부적 탐구 동기의 경우는 교과서에 제시된 협의의 탐구나 확장적 과학 탐구 모두에서 과제 내재적 요인이 과제 외재적 요인보다 높게 인식되었다. 이것은 부적 탐구 동기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학습 환경의 개선보다는 과제 자체의 내용이나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뜻한다. 확장적 과학 탐구의 전반부와 후반부에서 탐구 동기의 개인별 변화 양상을 살펴보면 정적 탐구 동기가 유지된 학생(39%)이 부적 탐구 동기가 유지된 학생(28%)에 비해 많았고 전반부에서 부적 탐구 동기를 보이다가 후반부에서 정적 탐구 동기로 변화된 학생(21%)이 반대의 경우(12%)보다 많았다. 또한 확장적 과학 탐구의 후반부에서 전반부에 비해 정적 탐구 동기 중 내적 탐구 동기로 구분되는 학생 수가 다소 증가하여 탐구 동기의 바람직한 변화는 확장적 과학 탐구의 전반부보다 후반부에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확장적 과학 탐구는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협의의 탐구에 비해 정적 탐구 동기를 나타내는 학생 수가 유의하게 증가하도록 하지는 않았지만, 학생들이 정적 탐구 동기의 원인을 보다 더 과제 내재적 요인으로 인식하도록 하는데 기여하였으며 확장적 과학 탐구의 전반부에 비해 후반부에서 탐구 동기의 바람직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