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탄소 포일

Search Result 158, Processing Time 0.055 seconds

Synthesis of High-Quality Monolayer Graphene on Copper foil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 Lee, Su-Il;Kim, Yu-Seok;Song, U-Seok;Jo, Ju-Mi;Kim, Seong-Hwan;Park, Jo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8a
    • /
    • pp.351-352
    • /
    • 2011
  • 그래핀(Graphene)은 2차원 평면구조의 $sp^2$ 탄소 결합으로 이루어진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그래핀은 탄소 원자 한층 정도의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강철의 100배 이상 높은 강도, 다이아몬드보다 2배 이상 뛰어난 열 전도성, 그리고 규소보다 100배 이상 빠른 전자이동도 등의 매우 우수한 특성을 지닌다. 그래핀을 합성하거나 얻는 방법에는, 기계적 박리법(Micro mechanical exfoliation), 산화흑연(graphite oxide)을 이용한 reduced graphene oxide(RGO)방법과 탄화 규소(SiC)를 이용한 epitaxial growth 방법 등이 있지만, 대 면적화가 어렵거나 구조적 결함이 큰 문제점이 있다. 반면, 탄화수소(hydrocarbon)를 탄소 공급원으로 하는 열화학 기상 증착법(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TCVD)은 구조적 결함이 상대적으로 적으면서 대 면적화가 가능하다는 이점 때문에 최근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TCVD를 이용, 니켈, 몰리브덴, 금, 코발트 등의 금속에서 그래핀 합성연구가 보고되었지만, 대부분 수 층(fewlayer)의 그래핀이 합성되었다. 하지만, 구리 촉매를 이용하는 것이 단층 그래핀 합성에 매우 효율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 구리의 경우, 낮은 탄소융해도(solubility of carbon) 때문에 표면에서 self limiting 과정을 통하여 단층 그래핀이 합성된다. 그러나 단층 그래핀 일지라도 면저항(sheet resistance)이 매우 높고, 이론적 계산값에 비해 전자이동도(electron mobility)가 낮게 측정된다. 이러한 원인은 구조적 결함에서 기인된 것으로써 산업으로의 응용을 어렵게 만들기 때문에 양질의 단층 그래핀 합성연구는 필수적이다[1,2]. 본 연구에서는 TCVD를 이용하여 구리 포일(25 ${\mu}m$, Alfa Aeser) 위에 메탄가스를 탄소공급원으로 하여 수소를 함께 주입하고, 메탄가스의 양과 합성시간, 열처리 시간을 조절하면서 균일한 단층 그래핀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그래핀을 $SiO_2$ (300 nm)기판위에 전사(transfer)후 라만 분광법(raman spectroscopy)과 광학 현미경(optical microscope)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열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촉매로 사용된 구리 포일의 grain size가 커짐을 확인하였으며, 구리 포일 위에 합성된 그래핀의 grain size는, 구리 포일의 grain size에 의존하여 커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일한 grain 내의 그래핀은 균일한 층으로 합성되었다. 이는 기계적 박리법, RGO 방법, epitaxial growth 방법으로 얻은 그래핀과 비교하여 매우 뛰어난 결정성을 지님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면적이 넓으면서도 결정성이 매우 뛰어난 양질의 단층 그래핀 합성 방법을 확립하였다.

  • PDF

Analysis of methane Emissions on Paddy Water Management Methods (벼 재배 논물관리기술에 따른 메탄 배출량 분석)

  • Hyeon Yong Jeong;Tae Hwan Lee;Dong Hyuk Kum;Min Hwan Shin;Kyoung Jae L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66-466
    • /
    • 2023
  • 전세계적으로 205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들기 위한 탄소중립을 선언하였고, 우리나라에서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논물관리기술 확산, 가축분뇨 자원순환 등 농업 분야 탄소 저감 계획을 수립하였다. 특히, 논물관리기술을 통한 탄소 저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적합한 논물관리기술 모델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지역에 적합한 논물관리기술 모델 개발을 위해 강원도 원주시 일대 6개의 시험포를 조성하여 메탄 발생량을 모니터링 하였다. 각 시험포는 상시담수(S1), 4주 중간 물떼기+얕게 걸러 대기(S2), 4주 중간 물떼기+얕게 대기(S3), 3주 중간 물떼기+얕게 걸러 대기(S4), 2주 중간 물떼기+얕게 걸러 대기(S5), 2주 중간 물떼기+얕게 대기(S6)로 논물관리기간을 다르게 설정하였다. 그리고 각 시험포에는 메탄 발생량 모니터링을 위해 각각 3개의 챔버와 논물관리를 위한 자동물꼬조절장치를 설치하였다. 메탄발생량 모니터링은 2022년 5월부터 2022년 9월까지 총 5개월 동안 25회 진행하였다. 메탄 발생량 모니터링 결과 S1은 423.1 kg/ha, S2는 348.4 kg/ha, S3은 396.4 kg/ha, S4는 164.7 kg/ha, S5는 347.9 kg/ha, S6은 234.1 kg/ha 의 메탄이 배출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와 같이 S1에서 메탄 발생량이 가장 많았으며, S4에서 가장 적게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논에서 발생되는 메탄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토양 유기물, 토양 산도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앙 전과 수확 후 토양분석을 진행한 결과 시험포별 인자별 변화량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논물관리기술에 따른 토양유기물 및 토양 산도 변화에 대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지속적인 메탄 발생량 모니터링을 통해 강원도 지역에 적합한 논물관리기술을 적용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 PDF

Effects of Concentrations of Glucose and Maltose on the Growth of Recombinant E. coli (재조합 대장균의 세포성장에 대한 포도당과 맥아당 농도의 영향)

  • 김종수;신주연차월석
    • KSBB Journal
    • /
    • v.11 no.3
    • /
    • pp.380-387
    • /
    • 1996
  • The growth of recombinant E. coli and formation of the by-products were investigated. Glucose was consumed in approximately 8hours of cultivation when initial glucose concentration was 5g/1. When higher initial glucose concentrations were employed, it took approximately 16 to 20hours for the glucose to be consumed. When maltose or glucose was used as a carbon source, lactic acid and acetic acid were main by-products, while propionic acid and methanol production was not significant. Much by- products were formed at the higher initial carbon source concentrations. Higher concentration of lactic acid was observed when glucose was used, while higher concentration of acetic acid was observed when maltose was used. Lactic acid production affected the cell yield while acetic acid production affected the growth rate.

  • PDF

Effect of Jujube Methanol Extract on the Hepatotoxicity in $CCl_4$-Treated Rats (대추 메탄을 추출물이 사염화탄소투여에 의한 흰쥐의 간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

  • 나현숙;김경수;이명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5 no.5
    • /
    • pp.839-845
    • /
    • 1996
  • To investigate effects of Jujube methanol extract on the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damage in rats, experimental animals were divided into 4 groups; control group(CON), Jujube methanol extracttreated group(JME), $CCl_4$- treated groups(CCl), and Jujube methanol extract and $CCl_4$-treated group (JMC). Each group was sacrificed after 2 or 4week feeding and determined the activities of serum transaminase(GOT, GPT) and hepatic xanthine oxidase, superoxide dismutase(SOD),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GSH-Px), and hepatic contents of thiobarbituric acid-reactants(TBARS) and glutathione in liver. The activities of sGOT and sGPT, and the hepatic content of TBARS after $CCl_4$-treatment were markedly increased, compared to CON, but those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pretreatment of Jujube methanol extract, especially in sGOT after 2 and 4 week and TBARS after 4week respectively. Xanthine oxidase activity was increased by $CCl_4$- treatment as compared to CON, but it was also inhibited by the pretreatment of Jujube methanol extract for 2 and 4 week. The activities of SOD, catalase and GSH-Px were elevated by $CCl_4$-treatment, compared to CON, but those elevated activities were showed significant decreasing effect by pretreatment of Jujube methanol extract after 2 and 4week as compared to CON, however, hepatic catalase activity was not affected significant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Jujube methanol extract is believed to be a possible protective effect for the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 PDF

Study of carbon nanotube cathode fabricated by screen printing on field emission properties (스크린 인쇄법으로 제작한 탄소나노튜브 캐소드의 전계방출 특성에 관한 연구)

  • 조영래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11a
    • /
    • pp.27-27
    • /
    • 2003
  • 최근 탄소나노튜브를 전계방출 표시소자(FED, field omission display)용 에미터 재료로 사용한 캐소드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캐소드전극으로는 투명전도성 반도체 박막인 ITO를 사용하고, 에미터용 재료로는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해서 스크린 인쇄법으로 2극(diode type)형 전계방출 소자용 캐소드를 제작하였다. 본딩재(bonding materials)의 종류와 공정변수를 달리해서 에미터용 탄소나노튜브와 ITO 캐소드 전극 사이의 전기적 접촉방법을 변화시켰을때 탄소나노튜브 캐소드의 전계방출 특성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였다. 첫째로, 본딩재의 전기전도성 (electrical conductivity)을 변수로 해서 탄소나노튜브 에미터의 전계강화(fold enhancement) 효과를 연구한 결과 본딩재의 구성 성분중 부도체(insulator)의 분율이 높을수록 전계강화 효과가 크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ITO박막 캐소드전극과 탄소나노튜브 잉크 사이에 중간층(inter layer)을 형성시켜서 중간층이 전계방출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중간층의 존재가 탄소나노튜브의 전계방출 전류의 균일성과 전류밀도의 증가에 기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전계방출 전류가 안정적이면서 동시에 전계방출 효율이 크게 개선된 탄소나노튜브 캐소드를 제작하는 공정기술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기술은 기존의 방법에 비해서 탄소나노튜브 캐소드의 진공패키징시 아웃개싱(outgassing)의 양도 현격하게 작았으며, 에미터와 캐소드 전극 사이의 본딩력(adhesion)도 우수해서 항후 탄소나노튜브 전계방출 표시소자의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luminum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세라믹 수율도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합성된 aluminum-contained polycarbosilane은 20$0^{\circ}C$에서 1시간 동안 불융화과정을 거쳐 환원 및 진공 분위기에서 고온 열처리하였으며 이로부터 얻어진 시료에 대해 XRD분석을 수행하였다. SEM과 TEM을 이용하여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다./100 duty로 구동하였으며, duty비 증가에 따라 pulse의 on-time을 고정하고 frequency를 변화시켰다. dc까지 duty비가 증가됨에 따라 방출전류의 양이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전압을 일정하게 고정시키고 각 duty비에서 시간에 따라 방출전류를 측정한 결과 duty비가 높을수록 방출전류가 시간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다. 각 duty비에서 방출전류의 양이 1/2로 감소하는 시점을 에미터의 수명으로 볼 때 duty비 대 에미터 수명관계를 구해 높은 duty비에서 전계방출을 시킴으로써 실제의 구동조건인 낮은 duty비에서의 수명을 단시간에 예측할 수 있었다. 단속적으로 일어난 것으로 생각된다.리 폐 관류는 정맥주입 방법에 비해 고농도의 cisplatin 투여로 인한 다른 장기에서의 농도 증가 없이 폐 조직에 약 50배 정도의 고농도 cisplatin을 투여할 수 있었으며, 또한 분리 폐 관류 시 cisplatin에 의한 직접적 폐 독성은 발견되지 않았다이 낮았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10.0%(4/40) : 8.2%(20/244), p>0.05]. 결론: 비디오흉강경술에서 재발을 낮추기 위해 수술시 폐야 전체를 관찰하여 존재하는 폐기포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폐기포를 확인하지 못한

  • PDF

Protective Effects of Plant Extracts on the Hepatocytes of Rat Treated with Carbon Tetrachloride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흰쥐의 간세포에 대한 식물 추출물들의 보호효과)

  • Ham, Young-Kook;Kim, Sung-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3 no.8
    • /
    • pp.1246-1251
    • /
    • 2004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lant extracts on the protection against liver damage by $CCl_4$ in rat, two kinds of experiment were performed, firstly by the primary hepatocyte culture and secondly by the animal feeding. The primary hepatocyte culture with the extracts of pine leaf, soybean sprout and mugwort showed significantly low activities (p<0.01∼0.05)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indicating an excellent protective effect against liver damage by $CCl_4$. In the second experiment, the microsomal malondialdehyde (MDA) contents of the above same groups were also significantly lower (p<0.01) than the $CCl_4$-treated group without plant extracts, but shiitake showed less effect. Among four kinds of plant extracts, extracts of pine leaf and mugwort showed also much higher activities of the microsomal cytochrome P-450 in comparison to soybean sprout and shiitake. In the test of xanthine oxidase (XOD) activity, all of three groups except shiitake showed significantly low activities (p<0.01). These consistent results in vitro and in vivo suggest that the extracts of pine leaf, soybean sprout and mugwort may have strong protective effects against liver damage induced by the potential toxicants such as $CCl_4$.

Anti-hepatotoxic Activity of Rhodiola sachalinensis Roots (홍경천(Rhodiola sachalinensis) 뿌리의 간독성 보호작용)

  • Lee, Eun-Jung;Im, Ji-Soon;Park, Chae-Kyu;Jeon, Byeong-Seon;Kyung, Jong-Soo
    • Food Industry And Nutrition
    • /
    • v.10 no.3
    • /
    • pp.37-42
    • /
    • 2005
  • 홍경천의 간보호 효과를 알아보고자 사염화탄소를 투여하여 간손상을 유발시킨 흰쥐에 홍경천 물추출물을 투여한 후 간독성 보호효과를 알아본 결과, 혈청중 ALT, AST, LDH, ALP 활성도는 사염화탄소 투여에 의해 증가하였으나, 사염화탄소 투여 후 홍경천 물추출물의 투여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Total cholesterol, total lipid, triglyceride는 사염화탄소 투여에 의해 증가하였으나, 사염화탄소 투여 후 홍경천 물추출물의 투여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한편 phospholipid는 사염화탄소만 투여한 CCL군과 사염화탄소 투여 후 홍경천 물추출물을 투여 한 군 모두 유의성 차이는 없었으나 홍경천 물추출물을 투여함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HDL-cholesterol의 함량은 사염화탄소만 투여한 CCL군에 비해 사염화탄소 투여 후 홍경천 물추출물을 투여 한 RSLIII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 LDL-cholesterol은 사염화탄소만 투여 한 군과 사염화탄소를 투여후 홍경천 물추출물을 투여한 군간 유의적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사염화탄소 투여로 각종 효소 활성도 및 지질의 함량이 증가되었는데 이는 사염화탄소 투여로 간세포에 손상이 유발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사염화탄소 투여 후 홍경천 물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사염화탄소 투여로 증가된 각종 효소 활성도 및 각종 지질의 함량을 저하시키므로서 홍경천 물추출물이 손상된 간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Morphologic Change of Rat Liver Induced by Repeated Administration of Carbon Tetrachloride and Dimethylnitrosamine (사염화탄소와 Dimethylnitrosamine의 반복투여가 백서간의 형태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Lee, Tae-Sook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4 no.1
    • /
    • pp.89-96
    • /
    • 1987
  • Carbon tetrachloride and Dimethylnitrosamine, both potent hepatotoxic agents, affect the hepatic lobules with fatty changes and central necrosis, and hemorrhagic necrosis. To study the effects on morphologic changes of the hepatic lobules in cases of single and repeated treatment of both hepatotoxins, sublethal doses of carbon tetrachloride, 0.4ml/kg, and dimethylnitrosamine, 40mg/kg of rats were given intraperitoneally single, twice and triple. With interval of 3 day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fatty changes and central necrosis of the hepatic lobules were milder and more quickly disappeared in the rats with twice or triple treatment than single administration of carbon tetrachloride, and regenerative changes of hepatic and sinusoidal cells achieved fater in the rats with repeated administration of carbon tetrachloride than those with single treatment. 2. The hemorrhagic necrosis of the hepatic lobules w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times of DMN treatment, but the hyperplastic changes showed more active to animals, with multiple administration of DMN.

  • PDF

Generation of Carbon Monoxide from Saccharides (당류 중에서 일산화탄소의 발생에 관한 연구)

  • Kim, Nam Yee;Seo, Joong Seok;Park, Sung Woo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14 no.6
    • /
    • pp.522-529
    • /
    • 2001
  • Carbon monoxide was generated when the saccharides which contained aldehyde group were added to alkali solution (NaOH solution) at $25^{\circ}C$ or $40^{\circ}C$. When the milk was added to 1.0 M NaOH solution at $25^{\circ}C$ and to 0.01 M NaOH solution at $40^{\circ}C$, carbon monoxide was generated. The carbon monoxide gas which was generated by 20 mL of 0.1 M lactose or 0.1 M xylose and 2 mL of 1.0 M NaOH solution at $50^{\circ}C$ for 2days was bubbled through 2 mL of fresh blood. The carboxyhemoglobin concentrations of both conditions were 31%. However, when the carbon monoxide gas which was generated by 30 mL of milk and 2 mL of 1.0 M NaOH at $50^{\circ}C$ for 2days or 3days was bubbled through 2 mL of fresh blood, the carboxyhemoglobin concentration was 32% or 42%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