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탄소수 분포

Search Result 41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ffect of temperature in the distribution of production by catalytic decomposition on the carbon based catalyst (탄소계 촉매상에서 부탄 분해에 따른 생성물 분포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 Yoon, Suk-Hoon;Han, Gi-Bo;Park, No-Kuk;Ryu, Si-Ok;Lee, Tae-Jin;Yoon, Ki-June;Han, Gui-You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6a
    • /
    • pp.89-92
    • /
    • 2006
  • 수소에너지는 화석연료 사용의 증가로 인한 환경오염 및 자원고갈의 문제점을 해결해 줄 수 있는 미래의 청정한 에너지이다. 현재 주 에너지원인 화석연료의 사용에 의하여 배출된 오염물질이 지구온난화와 같은 문제점들을 일으킨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없애줄 수 있는 대안 중 하나가 수소에너지이다. 수소에너지는 자원이 풍부하며 연소시에 오염물질이 배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수소에너지는 수소를 연소시켜서 얻는 에너지로써, 수소를 태우면 같은 무게의 가솔린 보다 3배나 많은 에너지를 방출한다.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 중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물을 분해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수소를 대량으로 생산하기에는 아직 기술에 대한 확보가 되어있질 않으며, 경제성도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현재 많이 쓰이는 방법 중 탄화수소류의 메탄을 수증기 개질하는 방법이 있다. 메탄 수증기 개질방법은 환경오염물질인 CO나 $CO_2$를 배출한다는 것과 높은 열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C-H결합에너지가 낮아 메탄보다 분해하기 쉬운 부탄의 직접분해로 수소를 생산하고자 한다. 부탄 직접분해는 환경오염물질인 CO나 $CO_2$가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부탄 분해반응은 $500{\sim}1100^{\circ}C$의 범위에서 이루어 졌으며, 촉매는 탄소계인 카본블랙을 사용하였고, 촉매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열분해반응이 동시에 수행되었다.

  • PDF

The Applicability of Stable Isotope Analyses on Sediments to Reconstruct Korean Paleoclimate (우리나라의 고기후 복원을 위한 습지 퇴적물의 안정동위원소 분석 가능성 연구)

  • Park, Jung-Jae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3 no.4
    • /
    • pp.477-494
    • /
    • 2008
  • Stable isotope analyses on lake or wetland sediments are useful to reconstruct paleoclimate. Organic and inorganic carbonates obtained from lake sediment are isotopically analyzed to get oxygen and carbon isotopic ratios. Oxygen isotope ratios can be used to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reconstruct paleo-temperature or humidity while carbon isotope ratios be used to reveal environmental changes around the lake or human impacts on the area. Peat mosses in peat bogs are nice samples for the carbon isotope analysis, which derives paleo-temperature and paleo-atmospheric $CO_2$ changes. In coastal area, the reconstruction of past sea-level is possible because terrestrial originated organic matter is carbon isotopically different from marine originated organic matter. Also, scientists can do research on Asian Monsoon based on the fact that $\delta^{13}C$ of C3 plants and C4 plants are consistently different each other and that they are distributed differently with respect to salinity. In Korea, paleoenvironmental studies using stable isotopes are not popular yet because of low academic interests on the methodology and difficulties of obtaining proper sediment samples. Interesting results can be produced to answer paleoenvironmental questions of Korea if scientists isotopically analyze sediment cores from a paleo-lake such as Hanon in Jeju island, peat bogs such as Mujechi-Neup and Yong-Neup, and coastal wetlands.

ESCA를 이용한 노화된 종이의 표면 변화 특성 관찰

  • 양봉숙;김형진;조병묵;오정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39-139
    • /
    • 2000
  • 종이는 제조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노화가 야기되기 시작하며 이에 수반되는 현상으로서 종이의 기계적 강도 손실 및 종이의 색 변화를 들 수 있다. 종이의 노화 현상은 주로 빛, 열, 대기 오염물질, 미생물, 곤충 및 화학약품 등의 외부 인자들에 의해 종이 내에서의 가수 분해 또는 산화작용을 발생시키며 이는 종이의 폭넓은 이용올 제한하는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종이의 노화기작은 주로 산 가수분해 및 산화작용 그리고 가교결합 둥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는 종이의 주 구성요소인 셀룰로오스의 수산기가 반웅하여 카르보닐기를 형성하면 서 저분자화 되거나 산소에 의해 산화되면서 저분자화 되어 종이의 강도적 손실이 일어난다 고 보고되고 있으며 종이의 황색화(Yellowing) 현상은 주원인이 종이에 잔존하고 있는 리그 년이 빛과 열에 의해 반응하여 산화됨으로써 야기된다고 설명되고 있다. 즉, 열이나 자외선 및 가시광션의 조사로 인한 셀룰로오스 및 기타 종이 구성물의 산화에 의해 종이가 퇴색되 거나 강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특히 이러한 노화 거동은 상온의 경우에서는 펄프와 종이의 황색화가 천천히 일어나지만 옹도가 점차 올라갈수록 그 속도는 빨라진다. 종이가 노화되면서 일어나는 산화반용은 주로 대기 중의 산소와 접촉하기 쉬운 표변에서부 터 발생하기 쉽다. 열처리를 통해 표면에서의 산화 작용은 촉진되고 종이의 구성원소의 결 합에 화학적 변화가 야기된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모든 원소가 독특한 결합에너지를 가 지고 있다는 것에 착안 시료 표면에 특정 x-선 및 전자빔을 입사하여 방출하는 광전자의 에너지를 측정함으로써 시료 표면의 조성 및 화학적인 결합상태를 알 수 있는 ESCA ( (Electron Spectroscopy for Chemical Analysis)를 이용하였다 .. ESCA는 주로 표면 원소의 규 명 및 정량분석과 화학결합 상태의 정성, 정량 분석, 깊이에 따른 원소의 농도 분포 분석, 고분자화합물의 특성 조사, 표면 원소의 화학결합에 따른 전자상태 연구 둥에 활용되 고 있 다. 즉, 종이가 노화되면서 원소들 사이에 변화되는 결합을 이러한 에너지 분석에 의해 원소 정성분석 또는 정량분석을 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분석하여 열처리 시 종이 표면에서 일어 나는 변화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종이의 노화를 가속화시키는 빛, 대기오염물질, 및 기타 다른 인 자들은 배제하고 열 만을 가해 노화의 진행속도를 높인 후, 노화 진행 시 종이 표변에 일어 나는 산화작용 및 가수분해를 표면 분석 장치인 ESCA를 이용하여 종이의 주 구성원소인 탄소와 산소가 열처리 시 변하는 에너지를 측정하였다. 또한 카르복실기 정량과 종이의 pH 측정 및 X -ray Diffractometer를 이용하여 결정화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탄소의 결합에너지는 분포가 C-H에서 COO-, 또는 C=O로 달라짐으로써 종 이가 산화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결합에너지 분포의 변화가 펄프의 종류 에 따라서 다르게 이동함으로써 제조된 시트의 표면 산화반응이 서로 다르게 일어나고 있음 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사용한 펄프의 화학 조성분의 차이에 기인한 것이라 사료된다.

  • PDF

Determination of Cholesterol, Fatty Acids and Polyaromatic Hydrocarbons in PM10 Particles Collected from Meat Charbroiling (고기구이 스모크에서 채취한 PM10입자에서 콜레스테롤, 지방산과 PAH의 분포)

  • Seo, Young-Hwa;Ko, Kwang-Youn;Jang, Young-K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2 no.2
    • /
    • pp.155-164
    • /
    • 2010
  • Emission from biomass combustion such as meat charbroiling is an important source of organic aerosol. Since source profiles are necessary input profiles for source apportionment of aerosol by a chemical mass balance model, meat cooking organic source profiles are developed by measuring organic marker compounds, including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and cholesterol as well as PAH compounds. Emissions from meat and pork charbroiling are collected on quartz filters with a PM10-high volume sampler, extracted with organic solvents, derivatized with diazomethane/TMS and analyzed by GC/MS isotope dilution method. Organic and elemental carbon are also analyzed by an OCEC analyzer. Wt.% of cholesterol to the organic carbon(OC) content from beef and pork charbroiling is only 0.056 and 0.062, but wt. % of all saturated fatty acids to the OC content from beef and pork charbroiling is 2.727 and 2.022, and the wt% of all unsaturated fatty acids to the OC content is 0.278 and 0.438, respectively. Content of total PAH compounds to the OC content from beef charbroiling is higher than that from pork charbroiling, and those are 0.116 wt% and 0.044 wt%. Among PAH compounds benzo(a)pyrene as a single compound is account for 0.0071 wt% and 0.0023 wt% of OC content from beef and pork charbroiling. Ratios of marker compound to cholesterol are calculated, and those value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values already reported at the food cooking emission, indicating that they can be used as organic source profiles for the apportionment of organic aerosol.

상사이론에 의한 실험 응력해법에 있어서 2,3의 문제

  • 최선호
    • Journal of the KSME
    • /
    • v.32 no.6
    • /
    • pp.496-503
    • /
    • 1992
  • 상사실험법(analogous experimental method)이라 함은 물리적현상을 다른 물리적현상으로 변환 하여, 후자를 실험적으로 측정하여 전자의 제반 물리량을 얻는 과정을 말한다. 이 때 두 물리량 사이에는 수학적 상사관계, 특히 미분방정식 상의 유사관계가 성립함을 전제로 한다. 일반적으로 임의형상의 내부응력을 실험적으로 해석하는 데는 탄소성 변위를 직접 전기적저항으로 바꾸어 측정하는 방법(strain gauge method)이나 광파의 간섭무늬(fringe)로 가시화하는 광탄성 법(photoelastic method), 또는 전자계산기를 이용하여 분할요소해석의 연계집적으로서 얻는 유 한요소법(F.E.M)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은 다같이 그 나름대로의 장단점을 지니고 있다. 전기저항식은 변형을 직접 측정할 수 있어 측정의 오차를 줄일 수 있고, 특히 실물측정과 동하중 해석에는 큰 강점이 있으나, 점해석(point by analysis)이기 때문에 전시야적인 분포를 파악하기 어렵다. 또한 광탄성법은 명료한 전시야적 분포를 얻을 수 있지만 모형해석(model analysis)이기 때문에 정밀한 모형제작의 어려움이 수반되며, F.E.M.(B.E.M.도 포함)은 복잡한 형상에서의 요소분할이 매우 어렵고, 경계조건의 정확한 설정에 문제가 있다. 따라서 여러 실험적 방법은 실측대상에 따라 그 장단점을 감안하여 선택되어야 하며, 이 글에서 논술하고자 하는 상사실험법에 의한 응력해석도 이러한 관점에서 지금까지의 일련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그 효 용적인 용도, 응용 및 그 전망과 더불어 장차 해결하여야 할 2,3의 문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Human-induced global warming and changes in aridity (인간활동에 기인한 지구온난화와 전구 건조도 변화)

  • Kim, Hy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08-108
    • /
    • 2022
  • 기후변화는 전 지구 수문순환과 수자원 분포에 커다란 영향을 준다. 하지만 지금까지 관측되어온 지구상의 건조도 변화에 있어서 기후의 자연변동성의 영향과 인간활동에 의한 온난화의 영향을 명시적으로 밝힌 연구는 존재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구동형 모델과 물리 모델을 이용해 관측 기반의 전구 수자원 분포를 1902년부터 2014년까지 재구축함으로써 지구의 평균온도가 약 1도 상승해온 지난 세기에 걸쳐 건기의 수자원 분포가 어떻게 변해왔는지 보인다. 재구축된 전구 변화 패턴은 인간활동에 의한 온실가스 증가등을 고려한 기후 모델 시뮬레이션과 흡사함을 알 수 있었으며 기후의 자연변동성만을 고려한 기후 모델 시뮬레이션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주로 북아시아, 북미, 유럽 등 중위도 온대지방에서 더욱더 건조한 건기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강수량의 감소보다는 증발산의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건조도의 변화는 미래 있어서 또한 인류에 대한 커다란 위협으로 자리한다. 미래 기후에서의 가뭄의 변화에 대해 다양한 연구들이 존재하지만 대부분 높은 수준의 온난화 (예를들어 RCP-SSP 585)에서의 영향에 국한된다. 다시 말해 인류가 21세기 중반에 달성을 목표로 하는 탄소중립이 가뭄의 측면에서 어떤 영향을 주게 될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약한 혹은 중간 수준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해 파리협약에서 목표로 하는 1.5℃와 2℃ 상승에 따라 전 지구의 건조도 분포가 어떻게 변하고 그 변화에 있어서 어떠한 수문기후학적 메커니즘이 작용하는지 밝힌다. 지중해 연안 지역에서는 건조도의 가속이 +1.5℃와 +2℃사이에 존재하였으나 동아시아에서는 +1.5℃와 +2℃ 모두에서 습윤해짐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지역적 불균일성은 기후변화 대응 노력에 있어서 과거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책임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문에 걸친 미래의 잠재 적응 노력 또한 고려해야만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제6차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의 Land Surface, Snow, Soil-moisture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CMIP6/LS3MIP)와 Half a degree Additional warming, Prognosis and Projected Impacts (HAPPI)의 다중 모델 앙상블 시뮬레이션 결과를 이용했다.

  • PDF

Daily Variation of Particulate Organic Carbon in Wonmun Bay on the South Coast of Korea in Late Summer (늦여름 원문만 굴양식장 입자유기탄소의 일변동)

  • KANG Chang-Keun;LEE Pil-Yong;KIM Pyoung-Joong;CHOI Hee-Gu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26 no.3
    • /
    • pp.279-287
    • /
    • 1993
  • Daily variation of particulate organic carbon(POC) and some factors controlling its level were examined for a semi-enclosed bay(Wonmun Bay, south coast of Korea), in which a lot of suspended oyster culture farms existed, in September, 1992. Observations were made at hourly interval. In spite of the relatively short survey period, strong short-term variation of POC concentration could be observed. Concentrations of POC were the range of $58{\sim}582{\mu}g/l(average 272{\mu}g/l)$ and their variation pattern was similar to those of chlorophyll a with the range of $0.90{\sim}7.25{\mu}g/l(average 3.35{\mu}g/l)$. The low C/N ratios also suggested that marine microalgae was a major component of POC for Wonmun Bay. Primary production, average $1.97\;gC/m^2/day$, was the main source of POC beacuse the supply of POC via freshwater input and exchange with the outer part of the bay was little. Oyster population also excreted a small amount of POC. About $40\%$ of produced POC was decomposed heterotrophically. Another important cause for the fluctuation of observed POC was tidal cycle. Considerable POC, which amounted $37\%$ of produced POC, was lost from the bay due to flushing by tidal cycle. It was also calculated that about $16\%$ was transported onto the sediment. It seemed that a part of POC was consumed by oyster and other heterotrophs.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Shear Strengthening Effect of I-girder using Externally Bonded CFRP Strips (외부 부착 탄소섬유를 사용한 I형 보의 전단 보강 효과 연구)

  • Kim, Changhyu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2 no.4
    • /
    • pp.108-113
    • /
    • 2018
  • Researches on strengthening and rehabilitation methods are being widely conducted due to the deterioration of existing concrete structures. Use of externally bonded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s (CFRP) strips for the rehabilitation is a cost-effective and time-saving method. Generally, the CFRP layout for the shear strengthening was a uni-directional layout. Many researches have focused on the variables of the uni-directional CFRP layout such as the amount of material, angle, and spacing. Pilot tests indicated that the effective confinement of the concrete member can be provided with the bi-directional CFRP layout than the uni-directional layout. Therefore, the test was carried out after the uni- and bi-directional strengthening work using the same amount of CFRP material. CFRP anchors were installed to prevent unexpected premature CFRP delamination failure before reaching CFRP fracture strain. The effectiveness of the CFRP anchor and bi-directional CFRP layout for shear strengthening was verified based on the principal tensile strain contours.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Picoplankton, Nanoplankton and Microplankton in Jungmun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Korea (제주 중문연안역의 초미세, 미소, 소형플랑크톤 시 ${\cdot}$ 공간적 분포)

  • Shynn, Bumm;Lee, Joon-Baek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7 no.2
    • /
    • pp.78-86
    • /
    • 2002
  • Abundance, carbon biomass and chlorophyll a concentration of each size-fractionated plankton on the basis of trophical level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spac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and interactions between each biological parameter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Jungmun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from July 1999 to June 2000. Heterotrophic picoplankton (HPP) abundance averaged 1.4${\times}$$10^{6}$ cells ${\cdot}$ $ml^{-1}$ at of offshore and 8.3${\times}$$10^{5}$ cells ${\cdot}$ $ml^{-1}$ at inshore, while autotrophic picoplankton (APP) abundance 9.9${\times}$$10^{4}$ cells ${\cdot}$ $ml^{-1}$ at of offshore and 7.1${\times}$$10^{4}$ cells ${\cdot}$ $ml^{-1}$ at inshore. They were more abundant at of offshore than at inshore, and also more abundant than the other areas of Korean waters. On the other hand, heterotrophic and autotrophic nanoplankton (HNP, ANP) were more abundant at inshore than at of offshore. Microplankton (AMP) abundance was affected by diatom (r=0.962, P${\le}$0.001) at inshore and by dinoflagellate (r=0.868, P${\le}$0.001) at of offshore. However correlations between each plankton group in terms of size and trophic level were not significant. Carbon biomass showed as same as the distribution pattern of abundance, but composition percentage of each biomass of plankton group were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abundance, representing the highest percentage in ANP. Seasonal fluctuation of chlorophyll a were different according to size class, showing the highest with 0.42 ${\mu}g$CHl-${\alpha}$${\cdot}$$1^{-1}$(57.9%) of APP in March 2000, 1.42 ${\mu}g$CHl-${\alpha}$${\cdot}$$1^{-1}$(74.7%) of ANP in May 2000, and 1.51 ${\mu}g$CHl-${\alpha}$${\cdot}$$1^{-1}$(81.8%) of AMP in July 1999. Correlation between biological parameters and environmental factors by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revealed that the first factor as main explanation is the increasing of phosphorus and silica and the increasing of the at both of offshore and inshore. The N:P ratio were 36.4 at inshore and 32.6 at of offshore, showing the lack of phosphorus. Thus we suggest that phosphorus might be a main limiting factor to affect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study area.

Tritium Distribution in Leachates from Domestic Solid Waste Landfills (생활폐기물 매립장 침출수의 삼중수소 분포)

  • Park, Soon Dal;Kim, Jung Suk;Joe, Kih Soo;Kim, Jong Gu;Kim, Won Ho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17 no.3
    • /
    • pp.251-262
    • /
    • 2004
  • It is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tritium distribution in the leachates, the raw and treated leachates and the condensates of the methane gas, which have occurred from domestic solid waste landfills. Also it aims to measure the tritium distribution level on the colloid size of the leachates, the raw and treated leachates. It was found that the major inorganic contaminants of the leachates were Na, K, Ca, Mg, $NH{_4}^+$-N and $Cl^-$. The mean tritium level of the raw leachates of the investigated 13 landfill sites for 6 months was 17 ~ 1196 TU. It corresponded to a several scores or hundreds of magnitude higher value than that of the normal environmental sample level except for two landfill sites. Also such a high concentration of the tritium was found in the treated leachates and methane gas condensates as well. Nevertheless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that the tritium level which was found in this research is about 100 times lower than the tritium limit for the drinking water quality. And most of the tritium existed in the dissolved colloid of the leachate of which the colloid size is below $0.45{\mu}m$. Also, according to the tritium analysis results of the leachates after filtration with $0.45{\mu}m$ membrane filter for some landfills, it is likely that some tritium of the leachate would be distributed in a colloid size over $0.45{\mu}m$. In gener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itium and other contaminants in the raw leachate was low, but it was relatively high between the tritium and TOC. However, the tritium content in the leachate had no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the scal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ge of the landf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