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타종 체계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4 seconds

The linguistic and cultural phenomena derived from the interpretative ambiguity in the traditional Catalan time telling expressions (카탈루냐어의 전통적 시각표현의 해석적 모호성과 관련된 언어-문화적 현상)

  • Kwak, Jaeyong
    • Cross-Cultural Studies
    • /
    • v.50
    • /
    • pp.225-259
    • /
    • 2018
  •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Institut d'Estudis Catalan, it is noted that the traditional Catalan time telling system is essentially based on delineating time by the use of the 'quarts (=quarters)' of an hour. In this fasion, to tell the time 8:15, 8:30 and 8:45 they use '${\acute{E}}s$ un quart de nou.,' '$S{\acute{o}}n$ dos quarts de nou.,' and '$S{\acute{o}}n$ tres quarts de nou.,' but do not use constructions such as '$S{\acute{o}}n$ les vuit i quinze.,' '$S{\acute{o}}n$ les vuit i trenta/mitja.,' '$S{\acute{o}}n$ les vuit i quaranta-cinc.,' because these expressions are considered to be as dialectal variants or international notation-based variants. Moreover, the traditional Catalan time telling system does not use cardinal numbers, except in the case of 'cinc (five)' and 'deu (ten).' These linguistic phenomenon cause the invention of a unique Catalan digital watch, and has noted special designs for the creation of a Catalan analogue watch. For this reason, the quarter system in colloquial Catalan provokes an enormous interpretative ambiguity in daily routine expressions with 'quarts' like '$S{\acute{o}}n$ quarts of nou.' or 'entre dos i tres quarts' whose meaning is not delineated between sixteen and forty-four minutes. We will argue that the traditional Catalan time telling expressions do not have the use of the subtractive system, and the fraction word 'quart' lacks a specific meaning of fifteen minutes because the Catalan word 'quart' is etymologically related to the classical public bell system, not definitively to the traditional clock system.

A Study on a Problem at Ringing of the Divine Bell of King $S\breve{o}ngd\breve{o}k$ (성덕대왕 신종의 타종시 문제점에 관한 연구)

  • Choi SungYoung;Bae MyungJi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263-266
    • /
    • 2002
  • 성덕대왕 신종은 771년도에 성덕대왕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34년간 주조(높이 3.663m, 최대지름 2.227m, 무게 18,900kg)하여 만든 세계적인 문화유산이다. 외형도 미려하지만 종소리는 천, 지, 인을 뒤흔드는 신비감을 갖추고 있다. 에밀레 종소리는 끊어질 듯 이어지는 소리, 애끓는 소리, 심금을 울리는 소리 등의 특징을 갖는데 끊어질듯 이어지는 소리는 맥놀이 현상으로 나타난다. 지금까지 맥놀이 현상의 규명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여기에는 우리 선조들이 750년경에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하여 응용이 가능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근래에 와서 웅장하고 신비로운 신금을 울리는 소리가 두드러지게 나오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근래의 낙후된 에밀레 종으로 인해서 변형된 종소리와 예전의 고유한 종소리를 분석하고 우리 민족의 지혜와 숨결이 스며있는 세계적인 문화유산인 에밀레 종소리 복원이 강구되어야 하며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되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