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타액선 스캔

Search Result 13,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Quantification of Salivary Gland Scan Image and its Correlation with Salivary Flow Rate (타액선 스캔의 정량적 분석과 타액분비율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Kim, Sung-Hun;Kim, Youn-Joong;Chung, Sung-Chang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6 no.3
    • /
    • pp.215-224
    • /
    • 2001
  •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구강진단과에 구강건조증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중 비자극 전타액 분비율이 0.2ml/min이하인 환자 40명과 구강건조증의 증상 및 징후가 없고 정상 타액분비율을 보이는 10명을 대상으로 비자극 전타액 분비율을 측정하고 타액선 스캔 검사를 실시하여 주타액선의 스캔 영상을 정량화한 후 이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건조증 환자군 및 정상 대조군에서 타액선 스캔 영상의 정량적 분석시 이하선 및 악하선 모두에서 좌우측 사이의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2. 타액선 스캔 영상의 정량적 분석시 구강건조증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악하선, 이하선 및 악하선의 합, 양측 악하선 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대조군에서 타액선 스캔 영상의 정량적 수치와 비자극 전타액 분비율과는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구강건조증 환자군에서는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4. 구강건조증 환자군을 비자극성 전타액 분비율에 따라 세분하였을 때, 비자극 전타액 분비의 감소가 극심하여 그 측정이 불가능하였던 군은 대조군 및 나머지 구강건조증 환자군에 비하여 타액선 스캔 영상의 정량적 수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PDF

THE ASSESSMENT OF ULTRASONOGRAPHIC ECHOGENICITY IN NORMAL HUMAN PAROTID AND SUBMANDIBULAR GLANDS (정상 이하선과 악하선에 대한 초음파영상의 반향성 평가)

  • Lee Jean;Park Tae-Won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 /
    • v.27 no.1
    • /
    • pp.167-177
    • /
    • 1997
  • 타액선 병변의 일반적인 영상진단법으로는 타액선조영술, 전산화단층촬영술, 자기공명 영상, 타액선 스캔, 초음파 촬영술이 있다. 이중 초음파촬영술은 타액선내 종양의 유무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매우 우수하여, 전산화단층촬영이나 자기공명영상과 더불어 이용되고 있으나, 염증을 진단하는데 있어서는 타액선조영술보다 민감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타액선의 염증반응시 초음파상은 반향이 정상보다 낮아지며, 내부의 균질성이 떨어지는 양상을 보여 이를 진단의 기준으로 이용해왔으나 정상타액선에서도 반향이 편차가 심할 뿐만 아니라 연령에 따른 정상 타액선의 반향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진단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저자는 우선적으로 타액선에 병적인 증상이 없는 남녀 90명을 연령별(20-35세 : 청년군, 36~55세 : 중년군, 55-70세 노년군),성별에 따라 분류하여 정상 타액선의 초음파상을 얻었다. 이의 반향을 측정하고, 비만한 정도를 나타내는 체격지수를 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하선과 악하선 모두에서 연령군극_ 따라 반향성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청년군과 노년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2. 이하선과 악하선 모두에서 성에 따른 반향성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성에 관계없이 악하선의 반향성이 이하선의 반향성보다 높았으며, 남자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4. 동일한 타액선에서 좌우측 타액선의 반향성의 평균 차이값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이하선과 악하선의 반향성은 중등도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남자 : r=0.56, 여자 : r=0.54). 6. 체격지수와 타액선의 반향성은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Gene Expression Profiling of Human Salivary Gland Carcinogenesis with cDNA Microarray (인간 타액선 암발생에서 cDNA Microarray를 이용한 유전자발현 Profile연구)

  • Kim, Eun-Cheol;Shin, Min;Lee, Dong-Geun;Lee, Ju-Seok;Park, Myung-Hee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v.23 no.4
    • /
    • pp.306-323
    • /
    • 2001
  • 종양발생에서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고 profile 변화를 monitor하는 것은 병리학적 변화의 원인뿐 아니라 질병탐지와 진료의 새로운 목표를 확인하기 위한 새로운 기회를 제공해준다. cDNA microarray는 수천개의 유전자 발현을 동시에 연구할 수 있는 최신의 방법으로 피부, 유방, 간을 비롯한 다른 인체장기에서는 일부 이루어졌으나 array를 이용해 타액선 종양 연구에서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인간의 타액선 세포의 악성형질전환을 조절하는 분자적 상태를 연구하기 위해 본 연구는 약 2,000개의 유전자가 print된 cDNA microarray를 이용하여 인간 타액선 도관상피세포주(HSG)와 악하선에서 기원한 미분화 선암종(SGT)간에 비교연구를 하였다. Cy3와 Cy5 dye로 각각의 세포주에서 얻은 RNA와 reciprocal hybridize시키고 GenePix 4000 scanner로 스캔하고 GenePix Pro로 분석한 후 log2로 평균발현비율을 전환시켜 최소 2배이상의 발현을 보이는 유전자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90%이상의 유전자가 비슷한 발현을 보였으며 2배이상의 발현을 보이는 경우 HSG가 SGT에 비해 72개 유전자가, SGT가 HSG에 비해 111개의 유전자 발현이 up-regulation되어 총 10%미만의 발현차이를 보였고 반복된 hybridization 으로부터 얻은 선택된 spot의 Pearson 상관계수는 -0.85이였다. HSG에서는 6번 p 염색체에서 과발현되는 유전자가 가장 많았고, SGT에서는 11번 q 염색체에서 가장 많았는데 HSG에서는 SGT에 비해 9, 13, 17, 18, 20, 21, 22염색체에서 과발현 되는 유전자 수가 많았고, SGT에서는 HSG에 비해 2, 7, 10, 15 염색체에서 유전자 발현 증가가 관찰되었다. HSG와 SGT간의 유전 발현을 기능별로 분석한 결과 몇 가지 주요 경로가 세포악성에 관련됨을 발견하였고, 타액선 도관상피세포에서 선암종을 구별하는데 기여하는 관련된 몇종의 과다 발현된 유전자를 찾았는데 전사인자, 성장인자 및 수용기, 세포골격 및 세포외기질 단백, 세포내 신호전달조절자 및 인자, 세포표면 항원등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microarray를 이용한 분자학적 표지자 연구가 악성 타액선 종양 발생과정에서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전자 조절에 의한 진단, 예후, 치료에서의 정확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 PDF

Salivary Scan Findings and Excretion Rate in $Sj\"{o}gren$ Syndrome ($Sj\"{o}gren$ Syndrome에서 타액선 스캔 소견과 타액 제거율에 관한 연구)

  • Lee, Myung-Hae;Chung, June-Key;Lee, Myung-Chul;Cho, Bo-Youn;Koh, Chang-Soon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
    • v.22 no.1
    • /
    • pp.33-37
    • /
    • 1988
  • Salivary scan and stimulated salivary clearance of $^{99m}Tc-pertechnetate$ was performed in 11 pateients with $Sj\"{o}gren$ syndrome (group I), 4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group II), 8 patients with non-connective tissue diseases (group III) and 9 normal controls. Stimulated salivary clearances of pertechnetate of normal controls, group II and group III were in normal range (over 16.5 ml/min) and that of patients with $Sj\"{o}gren's$ syndrome was significantly reduced (11.1 ml/min).

  • PDF

COMPARISONS BETWEEN THE SIALOGRAPHIC AND SCINTIGRAPHIC FINDINGS IN SALIVARY GLAND DISEASE (타액선질환에 대한 타액선조영상과 스캔상의 비교연구)

  • Lee Kyung-Ho;Ahn Hyung-Kyu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 /
    • v.17 no.1
    • /
    • pp.185-194
    • /
    • 198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id in diagnosis of salivary gland disease by comparing the sialogram with the scintigram. In this study, 47 patients (52 glands) who had taken the sialography and the scintigraphy were examined. The result of two methods was compared with the clinical and operative diagnosis.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1. In inflammatory diseases of the salivary gland, the scintigraphy can be a valuable substitution for a sialography. 2. In inflammatory diseases of the salivary gland, we can get more informations in case of the combined use of the sialography and the scintigraphy. 3. In tumorous lesion of the salivary gland, the sialography is superior to the scintigraphy. But both methods are less valuable in diagnosing the extraglandular tumors.

  • PDF

HUGE PLEOMORPHIC ADENOMA OF THE PAROTID GLAND: REPORT OF A CASE (이하선에 발생한 거대 다형성 선종)

  • Ryu, Sun-Youl;Ryu, Seung-Hee;Kim, Tae-Hee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v.28 no.3
    • /
    • pp.247-253
    • /
    • 2006
  • Pleomorphic adenoma of the parotid gland typically presents as painless, mobile mass of long duration, and originate in the superficial lobe but, more rarely these tumors may involve the deep lobe of the parotid gland. The average size of a parotid neoplasm is 2 to 4 cm. The effective treatment of parotid pleomorphic adenoma is surgical excision. The simple excision or enucleation resulted in recurrence rate of 45% in benign tumor. Therefore, the superficial parotidectomy with identification and preservation of the facial nerve is now the most widely accepted surgery. We report a case of the huge pleomorphic adenoma of the left parotid gland in a 67-year-old man who complained the large mass, measured about $10\times7\times5$cm-sized, in front of the left ear and on the mandibular ascending ramus. The diagnosis was confirmed by the clinical examination, computed tomographic scan, fine needle aspiration, and incisional biopsy. Superficial parotidectomy including the tumor and preservation of the facial nerve using the modified Blair approach was performed. And satisfactory results have been obtained cosmetically and functionally.

Sialography and Salivary Scan Study of Salivary Diseases (타액선 질환의 조영촬영법과 방사성동위원소 스캔법을 이용한 임상적 연구)

  • Park Yun-Kyoung;Lee Sang-Rae;Hwang Eui-Hwan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 /
    • v.29 no.1
    • /
    • pp.175-189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ed the characteristic radiographic features in salivary gland diseases by means of sialography and scintigraphy. Sialograms and scintigrams with diseases of salivary gland were examined. In this group were 5 salivary stones, 14 sialadenitis, 17 Sjogren's syndromes and 8 benign tumor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hape of main duct, those revealed that modified curvilinear and curvilinear types were predominant in Sjogren's syndromes but reverse sigmoid and angular types were in sialolithiasis and sialadenitis combined with sialodochitis. 2.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ourse of main duct, those revealed that smooth types were predominant in sialadenitis and irregular types were predominant in Sjogren's syndromes and benign tumors and irregular types were seen in all salivary stones and sialadenitis combined with sialodochitis, 3. In the type of intraglandular pattern, those revealed that destructive changes of salivary duct system and parenchyma were severe in sialadenitis and salivary stones and predominantly severe in Sjogren's syndromes. 4. The function of salivary gland was decreased severely in Sjogren's syndrome. and also decrease in salivary stone and sialadenitis. In benign tumor, the uptake of radioisotope was not seen in lesion and the function of salivary gland decreased in its remaining normal parenchym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