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타액내 항체역가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9초

Immuno-slot blot method를 이용한 우식 경험 아동과 비경험 아동간의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타액내 IgA 역가의 비교 (COMPARISON OF SALIVARY ANTIBODY IgA TITRE TO STREPTOCOCCUS MUTANS BETWEEN THE CARIES-EXPERIENCED AND NON-EXPERIENCED GROUPS USING IMMUNO-SLOT BLOT METHOD)

  • 음종혁;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54-361
    • /
    • 2002
  • 본 연구는 어린이의 치아우식증을 야기하는 주된 원인균인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타액내 Immunoglobulin A의 양을 좀 더 쉽고 빠르며 정확하게 분석하는 방법을 개발하는데 일차적 목적을 두었고 이 방법을 사용하여 우식 경험군과 비경험군 간의 타액내 IgA 역가에 차이가 있는지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immune-slot blot method에서 항체 역가 측정의 기본 개념은 Streptococcus mutans의 단백질을 1/2씩 희석하여 nitrocellulose membrane에 결합시킨 후 1/100으로 희석된 타액에 의해 검출될 수 없는 최대의 단백질 희석배수를 구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우식 경험군과 비경험군의 희석배수 평균치는 우식 비경험군이 $2^{6.278{\pm}2.260}$, 우식 경험군이 $2^{5.730{\pm}0.499}$로 IgA의 농도가 우식 비경험군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우식 비경험군의 경우 표준편차가 매우 높아 양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PDF

사람 타액내 Testosterone의 초감도 효소면역측정법 (Ultrasensitive Enzymeimmunoassay for Testosterone in Human Saliva)

  • 윤용달;전은현;이창주;도병록;이준영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4권1호
    • /
    • pp.115-123
    • /
    • 2000
  • 남성 및 여성의 타액내 testosterone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초감도 효소면역측정법 (ultrasensitive enzymeim-munoassay; EIA)을 정립하고, 이 EIA를 이용하여 한국인 정상 여성 및 남성의 타액에서 testosterone의 정상농도를 얻고자 하였다. 정상 월경주기를 가진 여성 18명에서 아침 6~9시 사이에 타액을 채취하였고, 남성의 타액도 오전 (9~10시)중에 채취하였다. EIA의 표지물질로는 horseradish peroxidase를 사용하였고, 기질은 ABTS [2,2'-azino-di(3-ethyl-benzthiazoline sulphonic acid)]를 사용하였다. 항원 항체 결합형과 비결합형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항혈청을 microcrystalline cellulose 에 mixed anhydrohydride 방법을 이용하여 부착시켜 사용하였다. 항원항체 결합 후 기질을 첨가하여 반응을 시키고 발색시켜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본 EIA의 특성을 방사면역측정법 (RIA)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본 실험에서 정립된 EIA의 감도 (sensitivity)는 약 25 pg/tube 이하이었고, 표준시료를 첨가해 측정치와 기대치를 비교한 정확도(accuracy)는 측정치 (Y) = 0.96 X 기대치 (X) - 0.89이었고 상관계수 (r)는 0.985이었다. 본 실험에서 생산하여 사용한 항체의 역가는 1/56,000이었고, 항체의 교차반응(cross-reaction)을 다른 8종의 steroid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5 $\alpha$-dihydrotestosterone (DHT)와 52%로 나타났으나 다른 steroids와는 0.1% 이내의 교차반응도를 나타내었다. 정밀도 (precision)는 intra-assay variation 과 inter-assay variation의 변이계수 (coeffcient of variation)가 10% 내외로 만족할 만한 범위에 들었다. 본 실험 방법을 타액과 혈청내 testosterone 농도 측정에 응용하여 RIA의 결과와 비교하여 본 바 상관관계가 타액에서 r=0.969, 혈청에서 r=0.990으로 두 결과가 잘 일치하였다. 본 실험에서 측정된 한국인 여성의 타액내 testosterone농도는 107.7$\pm$12.0 pmol/l이었고, 남성의 타액내 농도는 274.2$\pm$22.1 pmol/l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 연구에서 정립된 EIA 방법은 RIA를 대신하여 소규모의 실험실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