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클로미펜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6초

클로미펜에 불량한 자궁내막 발달을 보이는 여성에서 레트로졸의 유용성 (The Efficacy of Letrozole in Women with a Poor Endometrial Response to Clomiphene Citrate)

  • 장은정;지병철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1호
    • /
    • pp.73-81
    • /
    • 2010
  • 목 적: 클로미펜을 이용한 배란유도 주기에서 불량한 자궁내막 발달을 보이는 불임 여성에서 레트로졸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4년 3월부터 2009년 8월까지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서 클로미펜을 이용한 배란유도 주기에서 자궁내막 두께가 6.5 mm 이하여서 다음 주기에 레트로졸을 사용하였던 18명의 불임 여성을 선정하였다.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30.7{\pm}2.8$세, 불임 기간은 $33.1{\pm}26.6$개월이었다. 불임의 인자는 자궁내막증이 1명, 다낭성난소증후군이 5명, 원인불명의 불임증이 12명이었다. 레트로졸은 2.5 mg의 용량으로 월경 3~5일 사이에 시작하여 5일간 투여하였다. 결 과: 이전 클로미펜 사용시와 비교하였을 때 레트로졸 주기에서 우성난포의 개수는 더 적었으나 ($1.1{\pm}0.3$ vs. $2.2{\pm}1.5$, p=0.011) 자궁내막 두께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8.4{\pm}1.7$ mm vs. $5.8{\pm}0.5$ mm, p<0.001) 자궁내막 패턴 중 type C의 빈도는 이전 클로미펜 주기에서 50%이었던 것이 레트로졸 사용시 94.4%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p=0.036). 레트로졸을 이용한 배란 유도 주기에서 임신율은 11.1%였다. 결 론: 얇은 자궁내막 발달을 보였던 클로미펜 주기에 비해 레트로졸 사용시 자궁내막이 좀 더 두꺼워지고 패턴이 호전되는 것으로 보아 클로미펜에 불량한 자궁내막을 보이는 여성에서 이차 선택약제로 레트로졸의 사용은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랫드에 있어서 클로미펜 시트레이트가 난소기능 및 수정란 발육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lomiphene citrate on ovarian function and embryo developmental capacity in the rat)

  • 윤영원;권종국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5-24
    • /
    • 1992
  • 클로미펜 시트레이트가 배란반응, 난자의 형태, 난소 스테로이드 생성 및 수정란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PMSG 처리한 랫드에서 조사하였다. 먼저 세가지 용량(0.05mg, 0.1mg 및 1.0mg)의 클로미펜 시트레이트 또는 부형제를 미성숙의 Sprague Dawley 암컷에 일령 25일부터 27일까지 3일간 투여하였다. 그후 28일령에 이들 모든 암쥐에게 4IU PMSG를, 30일령에는 1.0mg 클로미펜 시트레이트가 처치된 일부의 암쥐에게 10IU hCG를 추가로 투여하였고, 31일령에 모두 도살하였다. 한편 4IU PMSG와 더불어 0.1mg클로미펜 시트레이트 또는 부형제를 투여한 일부의 암쥐는 숫쥐와 교미시킨 다음 임신 2일부터 5일까지 매일 도살하였다. 클로미펜 시트레이트의 용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배란반응(배란율 및 평균 배란난자의 수)과 난소중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하였고 반면 배란난자의 변성율(%)은 그 용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클로미펜 시트레이트에 의한 배란반응 및 난소중량의 억제적 반응은 10IU hCG 추가투여에 의하여 완전히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그리고 클로미펜 시트레이트의 투여용량의 증가는 프로제스테론과 안드로젠의 혈장치 감소와 더불어 에스트라디올의 혈장치를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hCG의 추가투여는 이러한 클로미펜 시트레이트 작용에 의해 증가된 에스트라디올치를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감소된 프로제스테론치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0.1mg의 클로미펜 시트레이트를 투여한 임신 랫드로부터 회수한 수정란은 전기간에 걸쳐 그 변성율(%)의 현저한 증가와 아울러 특히 임신 3일부터 그 수가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클로미펜 시트레이트 투여에 의한 수정란의 난분할 속도도 임신 3일부터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지연되었으며 아울러 회수된 수정란의 난분할율(%)도 전기간에 걸처 대조군보다 지속적으로 저하되었다. 위의 결과는 흰쥐에 있어서의 클로미펜 시트레이트 투여에 의한 배란억제반응과 아울러 그 작용기전에 성선자극호르몬의 분비억제 또는 차단작용이 포함됨을 증명하였고 이 약제의 투여에 의한 난자의 형태적 정상성과 수정란발육에 대한 유해효과는 수정이전 시기에 있어서의 난소스테로이드 생성 특히 에스트라디올의 증가에 기인함을 제시한다.

  • PDF

클로미펜에 얇은 자궁내막을 보이는 환자에서 성선자극호르몬 병합 과배란유도시 클로미펜과 레트로졸의 임상적 효용성 (Clinical Efficacy of Clomiphene Citrate and Letrozole Combined with Gonadotropins for Superovulation in Patients with Clomiphene-Induced Thin Endometrium)

  • 이은주;박현종;양효인;이경은;서석교;김혜연;조시현;최영식;이병석;박기현;조동제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6권2호
    • /
    • pp.111-119
    • /
    • 2009
  • 목 적: 클로미펜을 사용한 배란유도시 얇은 자궁내막을 보였던 환자들에서 성선자극호르몬에 클로미펜 또는 레트로졸을 병합 투여하는 과배란유도 방법의 임상적 효용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전의 클로미펜을 사용한 배란유도 주기에서 8 mm 미만의 얇은 자궁내막을 보였던 불임 환자들에서 시행된 성선자극호르몬 병합 과배란유도/인공수정 51주기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월경주기 제3일째부터 5일 동안 클로미펜+성선자극호르몬 군은 일일 클로미펜 100 mg을 투여하였고 (n=26) 레트로졸+성선자극호르몬 군은 일일 레트로졸 2.5 mg 또는 5 mg을 투여하였다 (n=25). 양 군에서 월경주기 제5~7일째부터 우성난포의 크기가 18 mm 이상에 도달할 때까지 이틀에 한 번씩 성선자극호르몬은 75~150 IU를 투여하였다. 양 군에서 성선자극호르몬 총 사용량, 자궁내막의 두께, 자궁내막의 형태, hCG 투여일의 14 mm 이상 난포의 수, hCG 투여일, 임신율, 다태 임신율을 비교하였으며 통계 분석은 Mann-Whitney U test or Fisher's exact test 등을 이용하였다. 결 과: 연령, 불임기간, 이전 인공수정 횟수, 기저 혈중 LH, FSH, $E_2$ 농도, 불임의 원인 등의 임상적 특성은 양 군간 차이가 없었다. 성선자극호르몬 병합 과배란유도시 배란전 자궁내막의 두께는 이전의 클로미펜을 사용한 주기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성선자극호르몬 총 사용량, hCG 투여일, 자궁내막의 삼중선 비율, 임신율 및 다태 임신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클로미펜+성선자극호르몬 군에 비하여 레트로졸+성선자극호르몬 군에서 14 mm 이상 난포의 개수는 유의하게 적었고 ($3.7{\pm}1.7$ vs. $2.8{\pm}1.7$, p=0.03). 배란 전 자궁내막 두께는 유의하게 두꺼웠다 ($7.7{\pm}1.5\;mm$ vs. $9.1{\pm}1.7\;mm$, p<0.05). 결 론: 배란유도를 위하여 클로미펜 사용시 얇은 자궁내막을 보였던 환자들에서 인공수정을 위한 과배란유도시클로미펜 또는 레트로졸을 성선자극호르몬과 병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은 클로미펜의 자궁내막에 대한 부정적인 효과를 피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적절한 자궁내막의 발달 및 적절한 난포의 성장 측면에서 성선자극호르몬에 레트로졸을 병합하는 과배란유도 방법이 클로미펜을 병합하는 방법에 비하여 더 유용할 수 있으나 추가적인 대규모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클로미펜을 이용한 배란 유도 후 임신된 다낭성 난소 증후군 여성에서 발견된 병합임신: 양측 난관임신 및 쌍태아 임신 1예 (Heterotopic Pregnancy in Polycystic Ovary Syndrome Woman Conceived after Ovulation Induction by Clomiphene Citrate: A Case of Bilateral Tubal Pregnancies and Intrauterine Twin Pregnancy)

  • 우장환;최규홍;김봉석;안계형;김윤영;채용화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3호
    • /
    • pp.261-266
    • /
    • 2010
  • 병합임신은 자궁 외 임신으로 인한 증상이 정상 자궁 내 임신으로 인한 것으로 오인되어 진단이 늦어지기 쉽다. 이러한 병합임신은 배란 유도제의 사용 및 보조 생식술로 인해 최근 증가되는 추세이다. 저자들은 다낭성 난소 증후군 여성에서 클로미펜을 이용한 배란 유도 후 임신된 여성에서 자궁 내 쌍태아 및 양측 난관에 임신이 된 예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클로미펜에 저항성을 보이는 다낭성 난소증후군 여성들에 대한 메트포민 치료의 효과 (The Effect of Metformin Therapy on Clomiphene Citrate-resistant Polycystic Ovarian Syndrome Women)

  • 고상현;이상훈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8권4호
    • /
    • pp.255-264
    • /
    • 2001
  •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tformin therapy on ovulation induction & pregnancy rate in clomiphene citrate-resistant PCOS women. Method: This study used a randomized, single-blinded, case-controlled methods. Total study group consisted of 21 women who showed clomiphene citrate-resistant parttern on previous ovulation induction cycles. Patients of metformin group received metformin 500 mg three times daily, for 7 weeks. Control group received none. Metformin group was consisted of 10 women and control group was consisted of 11 women. Then clomiphene was administrated at daily 50 mg for 5 days to both groups. Clomiphene dosage was increased to daily 150 mg until ovulation was occurred. Before and After metformin treatment, blood samples for measurement of insulin, glucose, steroids were obtained. Results: In the metformin and control groups, 6 of 10 women (60%) and 2 of 11 women (18%) ovulated. And 4 of 10 women (40%) and 0 of 11 women (0%) conceived. Comparisons between the groups were significant. Conclusion: In PCOS women who are resistant to CC, metformin use increased the ovulation rate and pregnancy rate from CC treatment, significantly.

  • PDF

정상월경주기및 클로미펜을 이용한 배란유도 월경주기에서의 난포성장에 관한 연구 (Assessment of follicular maturation by plasma estradiol levels and ultrasound in the normal and clomiphene-stimulated menstrual cycles)

  • 장윤석;이진용;문신용;김정구;임용택;한광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3권1호
    • /
    • pp.67-75
    • /
    • 1986
  • Follicle monitoring in the normal and clomiphene·stimulated cycles were analyzed in the Seoul IVF and ET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program. Ovarian follicular diameters were measured by the real·time sector scanner and plasma estradiol levels were assayed by radioimmunoassay methods during periovulatory period. The maximum follicular sizes of the clomiphene-stimulated and normal cycles were 21.1+-3.4mm and 19.2+-0.8mm, respectively. The peak levels of plasma estradiol in the clomiphene-stimulated and normal cycles were 10538+-553.6ng/ml and 298.3+-39.6pg/ml, respectively. Daily growth rate of the follicular diameters of the clomiphene-stimulated and normal cycles were 2.1mm and 1.9mm, respectively. Mean follicular number of the clomiphene-simulated and normal cycles were 2.28+-1.12 and 1.12+-0.21, respectively. There was a good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mean follicular diameters and the plasma estradiol levels in the normal ovulatory and c1omiphene-stimulated ovulatory menstrual cycles (p<0.05). Our data revealad that the mean follicular diameter and the plasma estradiol level prior to HCG administration in IVF and program should reach at the level of 17.8+-3.0mm and 949.4+-487.1 pg/ml, respectively.

  • PDF

황체기 결함이 있는 불임환자에서 클로미펜 투여 여부에 따른 자궁내막 내의 Prolactin의 발현 양상의 비교 연구 (Comparison of Expression of Endometrial Prolactin in Infertile Women with Luteal Phase Defect According to Clomiphene Citrate Administration)

  • 고승희;황정혜;심의섭;고재환;김용봉;장세진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0권1호
    • /
    • pp.15-21
    • /
    • 2003
  • Objective : Clomiphene citrate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drugs in the treatment of infertility, but the pregnancy rate achieved with clomiphene citrate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vulation rate due to its antiestrogenic effect on the endometrium. Endometrial prolactin is considered to be a marker and an inducer of predecidualization that is characteristic of secretory endometri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of clomiphene citrate and unsatisfactory endometrial differentiation to secretory endometrium by examining the endometrial expression of prolactin in clomiphene citratetreated infertile women with luteal phase defect. Methods : The endometrial samples from infertile women with luteal phase defect (n=27) were examined. Five cases during secretory phase and six cases during proliferative phase were obtained by biopsy. Sixteen cases were obtained by biopsy during secretory phase after clomiphene citrate treatment.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prolactin, all obtained endometrial tissues wer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endometrial expression of prolactin were evaluated between proliferative phase and secretory phase, and between clomiphene citrate treated group and no treatment group during secretory phase. Results: The staining of endometrial prolactin was significantly more intense in the glandular epithelial cells and stromal cells in the secretory endometrium than in the proliferative endometrium. The glandular expression of prolactin in the secretory endometrium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lomiphene citrate-treated group and no treatment group (p=0.719), but the staining of prolactin in the stromal cells was significantly less intense in the clomiphene citrate-treated group than no treatment group (p=0.019). Conclusion: In this investigation, we demonstrated that the endometrial stromal expression of prolactin in the secretory phas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clomiphene citrate-treated group campared with no treatment group in infertile women with luteal phase defect. And our finding suggests that clomiphene citrate may have an adverse effect on the endometrial predecidualization in infertile women.

자궁강내인공수정시 황체기 보강으로서 경구 미분화 프로게스테론과 디드로게스테론의 비교 (Comparison of Oral Micronized Progesterone and Dydrogesterone as a Luteal Support in Intrauterine Insemination Cycle)

  • 장은정;지병철;김상돈;이정렬;서창석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2호
    • /
    • pp.153-158
    • /
    • 2010
  • 목 적: 과배란유도 후 자궁강내 인공수정 시술시 황체기 보강으로서 경구 미분화 프로게스테론 투여법과 경구 디드로게스테론 투여법의 임상적 효용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7년 1월부터 2009년 8월까지 시행된 과배란유도 후 자궁강내 인공수정 시술 183주기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과배란유도는 성선자극호르몬 단독 또는 클로미펜과 성선자극호르몬의 병합요법을 사용하였다. 136주기에서는 황체기 보강으로서 경구 미분화 프로게스테론을 하루 300 mg으로 투여하였고 47주기에서는 디드로게스테론을 일일 20 mg으로 투여하였다. 결 과: 여성의 연령, 불임 인자, 성숙난포수 ($\geq$16 mm), 총운동성정자수, triggering 날의 자궁내막 두께는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궁내 태낭이 확인되는 임상적 임신율은 미분화 프로게스테론 투여군에서 21.3%, 디드로게 스테론 투여군에서 19.1%로 차이가 없었다 (p=0.92). 유산율은 미분화 프로게스테론 투여군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 (34.5% vs. 11.1%, p=0.36). 결 론: 황체기 보강으로서 경구 디드로게스테론 투여법은 경구 미분화 프로게스테론 투여에 비하여 비슷한 임신율과 유산율을 보였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디드로게스테론 투여군의 수가 적어 좀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다.

다낭성 난포 증후군 환자에서 복강경적 Laser Vaporization 후 내분비적 변화 및 클로미펜에 대한 난소 반응성의 변화 (The Endocrine Changes and Alteration of the Ovarian Response to Clomiphen Citrate after Laparoscopic Laser Vaporization in Patients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 이상준;김진영;박기현;최규홍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6권3호
    • /
    • pp.483-490
    • /
    • 1999
  • Objectives: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has the feature of excessive LH, hyperandrogenism and disturbance of folliculogenesis. Also, insulin, IGF-I and IGFBP-l ar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PCOS. Various surgical and medical therapies have been used and the action mechanisms are related to the endocrine effect. Laparoscopic ovarian electrocautery or laser vaporization is effective in the restoration of ovulation and normal menstrual cycle with minimal invasive procedure especially in the patients resistant to medical therapy. Clomiphen citrate (CC) is used for the ovulation induction in pcas and the resistance is known to be related to insulin, IGF-I, IGFBP-l level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laparoscopic laser vaporization on the levels of LH, FSH, testosterone, IGF-I and IGFBP-l and on the ovarian response to clomiphen citrate in patients with CC-resistant PCOS. Materials and Methods: The fasting basal serum LH, FSH, testosterone, IGF-I and IGFBP-l level were measured in 10 PCOS patients with CC-resistance and 7 normal controls with regular menstrual cycle. In PCOS, after laparoscopic $CO_2$ laser vaporization, endocrine levels were measured in 1 week interval for 4 weeks and then compared with preoperative levels. Results: In PCOS group, mean serum LH/FSH ratio, testosterone, IGF-I levels were higher and IGFBP-l level was lower than control. LH/FSH ratio decreased from $2.51{\pm}0.67$ to $1.7{\pm}0.6$ (p<0.05) in 2 weeks, to $0.56{\pm}0.2$ (p<0.01) in 3 weeks and to $1.41{\pm}0.3$ (p<0.01) in 4 weeks after operation. Testosterone level decreased from $1.51{\pm}0.82ng/ml$ to $0.65{\pm}0.34ng/ml$ (p<0.05) in 2 weeks, to $0.56{\pm}0.67ng/ml $(p<0.01) in 3 weeks after operation. IGF-I level also decreased from $436{\pm}47.5{\mu}g/l$ to $187{\pm}38{\mu}g/l$ (p<0.0l) in 1 week, to $167{\pm}42{\mu}g/l$ (p<0.01) in 2 weeks, $179{\pm}55{\mu}g/l$ (p<0.01) in 3 weeks and to $120{\pm}43{\mu}g/l$ (p<0.01) in 4 weeks after operation. IGFBP-l level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In 8 of 10 PCOS patients, ovulation was induced with low dose clomiphen citrate. Conclusion: Laparoscopic $CO_2$ laser vaporization restores normal menstrual cycle and ovulation through endocrine effect of decreasing LH/FSH ratio, testosterone and IGF-I level and increases the response to CC. Therefore it is useful for restoration of normal menstruation and induction of ovulation in CC resistant PCOS pati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