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크로스실린더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8초

등가구면 시력으로부터 난시량의 예측 (Expectation of Astigmatism by Spherical Equivalent Visual Acuity)

  • 김상엽;문병연;조현국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7-170
    • /
    • 2011
  • 목적: 등가구면 시력을 통한 피검자의 난시량 예측이 가능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평균연령 23.3세의 남녀 54명(108안)을 대상으로 굴절이상 완전교정 후 크로스실린더의 도수를 ${\pm}$0.25D씩 증가시키면서 크로스실린더의 (-)축이 $180^{\circ}$ 일 때, $90^{\circ}$ 일 때, 그리고 $45^{\circ}$ 일 때의 원거리(5m) 시력변화를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 크로스실린더의 도수가 증가될수록 시력은 반비례하여 감소되었다. 크로스실린더 ${\pm}$2.50D ($180^{\circ}$$90^{\circ}$)과 ${\pm}$2.25D ($45^{\circ}$)에서 측정 최소값인 시력 0.05로 나타났다. 결론: 각각의 등가구면 시력에 대응하는 난시량에 대한 관계를 추정할 수 있었다.

크로스실린더를 이용한 난시정밀검사에서 검사 전 최소착란원 위치에 따른 난시교정값의 변화 (Changes of Corrective Astigmatism Values Depending on Position of Circle of Least Confusion in Astigmatic Refining Test Using Cross Cylinder)

  • 김상엽;이민재;이강천;이태희;문병연;조현국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49-354
    • /
    • 2015
  • 목적: 크로스실린더를 이용한 난시정밀검사에서 망막 상의 최소착란원 위치가 난시교정값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평균나이 $22.24{\pm}2.48$세의 62명(115안)을 대상으로 검사하였다. 방사선시표를 이용한 난시검사 후 최대교정시력이 얻어진 구면굴절력(MPMVA) 상태에서 크로스실린더를 이용한 정밀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런 다음 S+0.75 D, S+0.50 D, S+0.25 D, S-0.25 D, S-0.50 D, 그리고 S-0.75 D의 렌즈를 각각 더한 상태(최소착락원의 위치이동)에서 동일한 정밀검사를 실시하고, 얻어진 검사값을 MPMVA 상태에서 얻어진 검사값과 비교하였다. 결과: MPMVA 상태의 검사값과 비교하여 더해준 (+)구면렌즈와 (-)구면렌즈가 증가할수록 축 변화량은 증가하였다. 동일한 검사상태에서 난시굴절력이 높을수록 축 변화량은 감소하였다(p<0.05). MPMVA 상태의 검사값과 비교하여 더해준 (+)구면렌즈가 증가할수록 난시굴절력은 낮게 나타났고(p<0.05), (-)구면렌즈가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구면렌즈를 더해준 경우, 동일한 검사상태에서 난시굴절력이 높을수록 검사값의 차이는 더 크게 나타났다. 결론: 올바른 난시교정값을 얻기 위해서 크로스실린더를 이용한 난시정밀검사 전 최소착락원 위치를 정확히 조정하여야 한다.

단안 구면 끝점검사의 반복성 검증 (Repeatability of Monocular Spherical Endpoints Test)

  • 김상엽;문병연;조현국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09-213
    • /
    • 2012
  • 목적: 검영법, MPMVA법(maximum plus maximum visual acuity), 적녹이색법, 크로스실린더법의 단안 구면 끝점검사 반복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평균연령 23.0세의 남녀 20명(40안)을 대상으로 4가지 검사법(검영법, MPMVA법, 적녹이색법, 크로스실린더법)으로 끝점 구면굴절력을 측정하였다. 일주일 간격으로 재검사를 실시하고 Bland-Altman plot 분석을 이용하여 검사-재검사 간 반복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각 검사법의 검사-재검사 평균은 검영법이 가장 적은 -0.03 D이었고, 적녹이색법이 가장 큰 -0.19 D이었다. 검사-재검사의 95% 일치도 상/하한선은 검영법이 가장 좁았고 크로스실린더법이 가장 넓었다. 각 검사안의 검영법 끝점값과 다른 세 검사법의 끝점값을 비교하였을 때 전체 검사안의 ${\pm}0.25$ D 이내 오차 비율은 MPMVA법 85%, 적녹이색검사 80%, 크로스실린더법 24%로 나타났다. 결론: 검영법의 반복성이 가장 높았으며, 검영법, MPMVA법, 적녹이색법은 단안 구면 끝점검사를 위한 적합한 검사법으로 나타났다.

크로스실린더 검사법을 이용한 노안의 근용 가입도 (Presbyopic Addition of Using Method of Cross Cylinder)

  • 유근창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71-75
    • /
    • 2007
  • 본 연구는 2005년 3월 1일부터 2007년 2월 28일까지 광주광역시 소재의 안경원에 방문한 40세에서 80세까지 성인 208명을 대상으로 크로스실린더 검사법을 이용하여 연령별 및 성별에 따른 노안의 근용 가입도를 검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령에 따른 굴절이상 분포는 정시 5%, 근시 34%의 분포를 보였으며, 원시의 경우 43%로 정시 또는 근시 보다 높은 분포를 보였다. 혼합난시는 조사 대상자 중 총 18%의 분포를 보였다. 2. 연령과 성별에 따른 노안 가입도는 남자의 경우 각 연령군에서 평균 가입도가 40세-44세는 +0.75D, 45세-49세는 +1.25D, 50세-54세는 +1.41D, 55세-59세는 +1.92D, 60세-64세 +2.35D, 65세-69세 +2.97D, 70세 이상은 +3.12D이었으며, 여자의 경우 각 연령군에서 평균 가입도가 40세-44세는 +1.08D, 45세-49세는 +1.38D, 50세-54세는 +1.67D, 55세-59세는 +2.05D, 60세-64세 +2.50D, 65세-69세 +2.57D, 70세 이상은 +3.18D로 각 연령군에서 평균 가입도가 남자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3. 연령별 노안의 난시축 분포는 도난시의 경우 검사대상 중 총 61.2%로 직난시 2.8%와 사난시 36.0%보다 높게 분포하였다. 양안을 기준으로 하는 각 연령별 군의 평균 가입도는 40세-44세 군이 +0.75D 또는 +1.00D, 45세-49세 군은 +1.25D 또는 +1.50D, 50세-54세 군은 +1.50D, 55세-59세 군은 +2.00D, 60세-64세 군은 +2.50D, 65세-69세 군은 +2.50D 또는 +2.75D, 70세 이상 +3.00D 또는 +3.25D의 평균 가입도를 나타냈다.

  • PDF

실린더형 원형모델의 가변적 블록크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정렬 알고리즘을 이용한 얼굴 텍스쳐 생성 (Face Texture Generation using an Image Alignment Algorithm based on Variable-Sized Blocks of Cylindrical Prototype Model)

  • 이중재;최형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8권11호
    • /
    • pp.855-863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실감 있는 3차원 얼굴모델 생성에 필요한 얼굴 텍스쳐를 생성하기 위해 실린더형 원형모델의 가변적 블록크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정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은 실린더형 3차원 모델에 대한 2차원 영상을 영상의 상관관계를 이용하는 블록 정합 알고리즘을 사용해서 정렬하는 방법으로서 블록 정합을 수행 할 때 동일한 블록 크기를 사용하는 기존 방법과는 달리 모델의 곡률을 고려해 가변적인 크기의 블록을 사용한다. 그리고 영상 모자익 기법을 사용해서 정렬된 영상을 하나의 텍스쳐 영상으로 생성한다. 이 때 중첩된 영역에 따라 선형적인 가중치를 부여하면서 크로스디졸브 기법을 이용해 영상을 스티칭한다.

  • PDF

근용 안경을 최초 장용하는 노안에 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n Presbyopia in Wearing the Near Spectacle for the First Time)

  • 유종숙;임현선;이수천;황정희;김효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03-107
    • /
    • 2008
  • 목적: 본 연구는 처음 근용 안경을 착용하고자 하는 노안을 대상으로 근용 가입도 검사를 하여 가입도와 나이, 성별, 직업군, 구면 도수, 난시 도수와의 상관관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155명의 피검사자의 좌, 우안(310안)을 대상으로 비조절마비 자각적 굴절 검사 및 크로스 실린더를 이용한 근용 가입도 검사를 하였다. 결과: 최초 근용 가입도는 +0.75D에서 +1.75D까지 검사되었고, 43세 이전의 평균 가입도는 +1.06D, 44세~46세까지는 +1.08D, 47세~49세까지는 +1.23D, 50세 이상에서는 +1.46D이었다. 피검사자의 평균 연령은 47.6세, 남자 74명, 여자 81명이었고 근거리 직업군이 71명, 원거리 직업군이 83명이었다. 결론: 가입도는 나이, 직업군, 난시 도수와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p<0.05, p<0.05, p<0.05).

  • PDF

양안시검사의 조절평가 연구 (The Study of Accommodation Assessment in Binocular Functional Test)

  • 조영래;박현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1-67
    • /
    • 2007
  • 시기능 평가는 조절과 폭주 검사로 이루어지는데, 예비검사나 문진에서 파악된 환자의 증상에 따라 필요한 검사를 하게 되며 폭주와 조절의 균형이 중요하게 된다. 이 연구는 조절검사를 통해 조절평가가 환자의 시기능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검사대상은 안질환이 없는 만 18세에서 36세까지의 성인남녀 100명에 대해 양안완전교정 후 균형을 취한 도수를 장입하고 실시하였고, vision tester (Shinnippon VT10)와 visual chart(Shinnippon CT30)를 사용하였다. 크로스실린더에 의한 조절래그는 높은 경우가 39명(39.0%), 낮은 경우가 14명(14.0%)이었으며, 근방의 허성상대폭주력은 높은 경우가 23명(23.0%), 낮은 경우가 38(38.0%)명이었다. 근방의 실성상대폭주력은 높은경우가 29명, 낮은 경우가 23명이었으며, 조절력은 낮은 경우가 18명이었다.

  • PDF

타원체형 모텔의 기하학적인 특성을 이용한 얼굴 텍스쳐 생성 (Face Texture Generation using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Ellipsoid Prototype Model)

  • 노명우;이중재;김계영;최형일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B)
    • /
    • pp.346-34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얼굴 형태와 유사한 타원체형 모텔의 가변적 블록크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정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실린더형 모델을 사용한 기존의 방법은 블록정합 수행 시 좌우 곡률을 고려하므로 좌우영상은 정확히 정렬하지만 상하 부분은 사람의 두상모양이나 턱 구조와 다르기 때문에 상하 영상을 정렬할 때 오류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얼굴 모델의 상하좌우의 곡률에 따라 가변적인 블록크기론 사용하고 영상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정확한 정렬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얼굴 텍스쳐영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영상 모자익 기법을 사용하며 영상들이 서로 잘 융합하도록 크로스디졸브(Cross dissolve) 기법을 적용하여 영상을 스티칭한다.

  • PDF

타각적 및 자각적으로 결정된 조절래그의 특성과 상관관계 (Characteristics of Accommodative Lags Determined by Objective and Subjective Methods and Their Correlation)

  • 유동식;곽호원;노병호;손정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33-339
    • /
    • 2015
  • 목적: 양안크로스실린더법으로 결정된 자각적 조절래그와 개방형 자동굴절계를 이용하여 결정된 타각적 조절래그를 미보정한 값과 보정한 값을 대상으로 임상적으로 그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건강한 33명(남 26명, 여자 7명, 22~27세의 평균 나이 $23.73{\pm}1.35$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절래그는 4가지 방법 (1) +2.00 D 운무와 양안크로스실린더를 이용한 자각적 방법, (2) 자동굴절계로 측정한 미보정 타각적 방법, (3) 타각적 방법에서 Gwiazda 등이 제시한 식으로 보정한 방법(유효 조절래그)과 (4) 타각적 방법에서 Mutti 등이 제시한 식으로 보정한 방법으로 결정하였다. 결과: 평균 조절래그는 자각적 방법이 0.72 D, 미보정 타각적 방법이 0.82 D, Gwiazda식으로 보정한 타각적 방법이 0.88 D, Mutti 식으로 보정한 타각적 방법이 0.78 D였다. 타각적 조절래그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자각적 조절래그와 타각적 조절래그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유효 조절래그는 사위도와 굴절 이상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Muttii 등이 제시한 식으로 보정한 타각적 조절래그는 보정하지 않은 타각적 조절래그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r=0.99, p<0.001). 결론: 타각적 조절래그는 사위와 굴정이상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특히 증상과 관련하여 임상적 활용과 정량적 평가에 Muttii 등이 제시한 타각적 유효 조절래그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초년 성인의 굴절이상과 조절래그 분포의 연관성 (The Accommodative Lag and Refractive Error in Early Adults)

  • 박상배;정연홍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9-65
    • /
    • 2012
  • 목적: 본 연구는 굴절이상에 따른 조절래그의 분포와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양안시 기능에 문제가 없는 만18세~25세 이하 초년 성인을 대상으로 우안 49안, 좌안 49안(총 98안)의 굴절이상과 조절래그를 검사하였다. 조절래그는 LogMAR 시력 0.05(소수시력 0.9) 이상 완전교정한 후에 크로스실린더와 근거리 십자시표를 이용하여 단안과 양안을 측정하였다. 결과: 단안의 조절래그량은 우안 $0.64{\pm}0.64$ D, 좌안 $0.63{\pm}0.64$ D로 우안이 많았지만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p=0.858). 양안에서는 남자가 1.50 ~ -0.75($0.31{\pm}0.44$)로 여자 0.50 ~ -0.75$-0.02{\pm}0.33$) 보다 평균값의 범위가 넓고 크게 나타났으며(p=0.015), 동공간 거리가 멀수록 조절래그량은 많았지만(p=0.003) 연령과 우위안에 따른 분석에서는 차이가 없었다(p=0.800, p=0.402). 굴절이상에 따른 조절래그 범위는 저도근시 0.75 ~ -0.25 D, 중등도 근시 1.25 ~ -0.50 D, 고도근시 1.50 ~ -0.75 D로 분포하였고 등가구면 굴절력과는 y = -0.03953x+0.09205의 관계식을 나타냈다. 결론: 조절래그는 등가구면 굴절력이 클수록 분포범위가 넓고 평균값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