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쿠마린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초

무 용매 조건에서 potassium dihydrogen phosphate를 촉매로 사용하는 쿠마린의 마이크로파-유도 단일 용기 내 합성 (Microwave-induced one-pot Synthesis of Coumarins Using Potassium Dihydrogen Phosphate as a Catalyst Under Solvent-free Condition)

  • Niralwad, Kirti S.;Shingate, Bapurao B.;Shingare, Murlidhar S.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486-489
    • /
    • 2011
  • Potassium dihydrogen phosphate는 마이크로파 조사조건에서 용매 없이 페놀과 아세토아세트산 에틸의 Pechmann 축합반응에 의하여 쿠마린을 합성하는 효과적인 촉매로 밝혀졌다. 이 방법은 쿠마린 합성에 있어서 소량의 촉매를 필요로 하며 수율이 높고, 반응이 깨끗할 뿐만 아니라 반응 시간이 짧은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쿠마린과 푸로쿠마린의 광화학반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hotoreactions of Coumarins and Furocoumarins)

  • 심상철;임경란
    • 대한화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36-239
    • /
    • 1976
  • 광독성 물질인 쿠마린과 푸로쿠마린의 광화학반응을 분광분석, 삼중상태 켄칭, 형광법을 써서 연구하였다. 크산토톡신과 티민 또는 DNA 수용액의 광화학반응에서 ${\beta}$-카로텐을 켄치로 썼으나 아무런 켄칭이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이 반응은 수명이 긴 크산토톡신의 삼중상태보다 수명이 짧은 들뜬 단일상태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식물에서 추출한 천연 쿠마린계 염료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 (Preparation of Dye Sensitized Solar Cell Using Coumarin Dyes Extracted from Plants)

  • 정온유;이상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1권1호
    • /
    • pp.157-161
    • /
    • 2013
  • 쿠마린 성분이 포함된 식물로부터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사용되는 저렴하고 친환경적인 천연 염료를 개발하였다. 염료는 쿠마린 유도체가 포함된 계피와 당귀로부터 추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작하였다. 계피염료로부터 0.75%의 태양전지 효율을 얻었으며, 이는 기존 천연염료 태양전지에 관한 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최고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분석 및 푸리에변환 적외선 분석을 이용하여 식물에 포한된 쿠마린 유도체가 광감응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탱자 추출물에서 항염증 활성을 갖는 쿠마린 유도체의 효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icacy of the Coumarine Derivatives with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the Trifoliate Orange Extract)

  • 김덕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10-617
    • /
    • 2012
  • 탱자에는 여러 종류의 monoterpenes, limonoids, flavonoids과 coumarins 등의 구성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탱자의 구성 성분중에 7-제라닐옥시쿠마린는 7개의 탄소로 구성된 제라닐옥시기의 곁사슬을 가진 물질이다. 그리고 7-제라닐옥시쿠마린은 여러 약리적인 효과들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탱자의 구성성분인 7-제라닐옥시쿠마린과 이들의 다양한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그리고 항염증에 대한 항염증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염증을 유발하는 일산화질소 억제 cytokine을 측정한 결과는 6-제라닐옥시쿠마린의 성분이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6가 $1{\mu}M$농도에서 68.9% 를, $10{\mu}M$에서 72.6% 의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쿠마린의 열분해에 관한 연구 (제1보) -질소기류, $500^{\circ}C$에서 쿠마린의 열분해산물 동정- (A Study on the Pyrolysis of Coumarin (I) Identification of Coumarin Pyrolyzates in a Stream of Nitrogen at $500^{\circ}C$)

  • 박준영;김옥찬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63-66
    • /
    • 1982
  • Coumarin was pyrolyzed at $500^{\circ}C$ in a stream of nitrogen. The pyrolyzates of coumarin were adsorbed on the activated charcoal and then eluded by carbon disulfide. The eluted pyrolyzates were identified using a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Benzene, toluene, phenylacetylene, styrene, benzofuran and naphthalene were detected from the pyrolyzates of coumarin on the basis of their mass spectra. The pyrolytic mechanism of coumarin was also discussed.

  • PDF

Silica Gel을 이용한 효율적인 3,4-dihydropyrano[c]chromenes의 합성 (Silica Gel Promoted Mild, Efficient and Inexpensive Protocol for the Preparation of 3,4-dihydropyrano[c]chromenes)

  • Prasanna, T.S.R.;Raju, K. Mohana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662-665
    • /
    • 2011
  • 실온에서 방향족 알데히드, 말론니트릴과4-히드록시쿠마린을neat 실리카젤 속에서 one-pot반응시켜서 3,4-dihydropyrano[c]chromenes을 좋은 수율로 합성하였다.

쿠마린과 인도메타신의 억제작용 쿠마린과 인도메타신의 억제작용 (Suppression of Induced Mucin Production from Human Airway Epithelial Cells by Coumarin and Indomethacin)

  • 이재우;김길동;전병규;이충재
    • 약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416-421
    • /
    • 2010
  • We examined whether indomethacin, noscapine, coumarin, uridine and betaine affect airway mucin production induced by EGF or TNF-${\alpha}$ from NCI-H292 cells. Cells were pretreated with each agent for 30 min and then stimulated with EGF or TNF-${\alpha}$ for 24 h. Of the five compounds, coumarin suppressed airway mucin production induced by EGF or TNF-${\alpha}$. However, indomethacin suppressed airway mucin production induced by EGF. This result suggests that coumarin and indomethacin can regulate the production of mucin induced by EGF, by directly acting on airway epithelial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