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쾌적한 주거환경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6초

공동주택의 일조환경 피해 판정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a Trial for Damage of the Right to Sunshine in Apartments)

  • 국정훈;정은정;김재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97-403
    • /
    • 2007
  • 본 논문은 N시에서 발생하는 B와 W 아파트단지 사이의 일조권 침해 분쟁의 연구에 대한 결과이다. 최근 도심에서 발생하는 일조권에 대한 분쟁은 쾌적한 주거의 질을 확보할려는 주민들의 욕구 중대로 인해 그 문제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특히 건축당시에는 인지하지 못했던 일조권에 대한 문제가 시간이 지나면서 주거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그 분쟁의 수위가 시간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도심에서 발생하는 일조권에 대한 해석이 공동주택 건축시 건축법규에 적합하게 설계 시공하여도 인근 아파트에 일조권에 대한 피해를 주었다면 배상을 해야 한다는 판결이 계속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일조권에 대한 영향 및 피해범위에 대해 사례분석을 통하여 파악해 봄으로써 향후 민원발생시 효율적인 대책수립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아파트 거주자의 주거환경 스트레스 - 광주시를 중심으로 - (Residential Environmental Stress of Multi-Family Housing Dwellers - Focus on the Gwangju City -)

  • 노세희;김미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1-10
    • /
    • 2008
  • When environmental elements such as heat, light, air, and sound conditions were suited for the human life, it makes for the welfare and comfortableness of dwellers. This study about residential environmental stress based on environmental psychology very importance because dwellers' background characteristics have an impact on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al stress levels and it was related to dwellers' satisfaction and well-being. Research about stress connected with residential environment is very important. One's residential environment has direct effects not only on the physical environment but also on family values and expectations, actions, attitude et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1) identify the general trends of residential environmental stress 2) analyze the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ow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buildings affect stress. The samples in this study consisted of dwellers living in multi-family housing in Gwang-ju, South Korea. The city was divided into 5 districts and used quota sampling. 324 housewives were sampled from the households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survey was conducted in December of the year 2006 after the questionnaire was revised based on the results of preliminary survey.

전통주거공간의 환경친화적 설계기법 추출 및 현대적 적용 - 경상북도 독락당을 사례로 - (A Study on the Environmentally-friendly Design Techniques Extract and Applying Modern of Traditional Residential Area - The Case of Dokrakdang in Kyungbuk Province -)

  • 허준;송병화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63-72
    • /
    • 2011
  • 본 연구는 전통주거공간 속에서 환경친화적인 설계기법과 원칙을 파악하여 그 원리를 재정립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문헌연구를 통해 전통주거공간에 반영된 환경친화성을 자원보전적 측면, 입지적 측면, 공간구성적 측면으로 구분하고, 사례지를 선정하여 현대적 적용방안을 모색하였다. 사례지는 조선시대에 조영된 상류주택 중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되고 있으며, 양호한 건축년도가 명확한 주택인 독락당을 선정하였다. 입지적 측면에서는 지형의 변경을 최소화하는 건물축조기법을 하고 있었으며, 환경보전적 측면에서는 열환경조절을 위해 실내 온도를 조절한 기법을 볼 수 있었다. 물질순환 측면에서는 자연재료의 재활용을 하고 있었으며, 수순환기법 및 조절을 통해 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경관조망을 중요시 하여 내부에서 외부로 바라보는 경관의 다양한 조절을 통하여 내부공간을 외부로 확장시키고 끌어들이는 기법을 활용하였다. 현대적 공간에서의 전통성 추구는 단순히 단절된 전통의 복원이나 회복에 있기 보다는 전통 공간 속에 내재하는 구성원리 등을 추출하여 현대의 사회적, 문화적 환경공간에 대한 이해의 바탕위에서 수용 가능하다. 전통주거공간에 있어서 환경친화적 설계기법은 오랜 시간동안 경험에 의해 발전된 것으로 이의 현대적 적용은 지구환경과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고 쾌적한 인간의 생활환경을 창출해 낸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홈네트워크 주거공간 선호 요소 조사 (A Study on Preference for Home Network Housing)

  • 김제길;윤주호;신승중;류대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6-37
    • /
    • 2011
  • 홈네트워크는 즐겁고, 쾌적하고, 편리하고, 안전한 삶을 위한 정보 인프라로, 초기에는 PC를 중심으로 한 데이터 중심의 서비스에서 시작되어, 사이버 아파트, 주택 자동화등 거주 환경의 변화에 따라 홈오토메이션, 고품질 인터넷 서비스 등의 A/V 기기 중심의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중심으로 발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유비쿼터스 홈네트워크 거주자, 비거주자 그리고 전문가의 설문조사를 통한 선호요소 그리고 유비쿼터스 주거환경을 통한 파급효과를 통해 유비쿼터스와 주택을 결합한 유비쿼터스 홈네트워크 주택에 대한 앞으로의 설계에 대해 분석 연구하였다.

도시주거지역 도로교통소음의 평가방법에 관한 고찰 (Evaluation Method of Traffic Noise in Urban Residential Area)

  • 국찬;장길수;정광용;김선우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한국해사기술연구소, 대전; 1 Jun. 1991
    • /
    • pp.53-56
    • /
    • 1991
  • 산업구조의 급속한 발전과 공업화는 사회구조의 변화 및 대도시로의 인구집 중, 고밀도화, 교통량의 증가를 초래하여 이로부터 기인한 도시지역의 환경 오염 문제는 쾌적한 인간생활을 위협하는 단계에까지 이르렀다. 그중에서 소 음에 관한 문제도 대기 및 수질의 오염과 동시에 도시생활 환경에 많은 영 향을 미치게 되었다. 도시 소음의 주 원인은 주로 도로교통소음이며 이는 기 하급수적으로 늘어가는 자동차의 양에 의해 더욱 심해지고 있다. 따라서 현 재 우리나라에서도 주거지역 및 준주거지역 등의 지역별 소음도 규제 및 신 설되는 공동주택 단지에서의 소음레벨규제등이 있긴 하나 이들은 상당히 소 극적이며 미온적일 뿐 아니라 실제 거주하는 주민들의 반응과는 상당한 차 이를 보이고 있으며 더욱이 주민의 소음에 대한 주관적 반응을 적절히 표현 할 수 있는 지표마저 명확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고찰에서 는 피험자들의 주관적 반응을 실험할 때 발생하는 변수요인들을 통제 할 수 있는 실험 실시행 청감실험을 실시하기에 앞서 대상지역의 도로교통소음을 여러가지 평가척도에 의해 평가한 후 그 현장에서 이 소음에 노출된 피험자 들의 반응을 파악하여 청취자들이 인지하는 소음레벨을 적절히 평가하는 지 표를 찾고자 한다.

  • PDF

열환경 완화를 통한 주택지내 쾌적성 확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rmal Comfortable Following the Thermal Environment Migration in Detached Housing Area)

  • 류지원;정응호;호야노 아키라;김대욱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51-59
    • /
    • 2013
  •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thermal comfort level of detached housing area by reducing the impact of thermal environment. The study focused on reducing surface temperature that is generated in buildings and adjacent spaces as a result of sensible heat load and presented a proposal on implementing planting method considering its outdoor condition and structure and composed materials. To perform the study, we utilized 3D-CAD to examine the outdoor condition and structure and composed materials that impact on surface temperature and conducted space design after reflecting climatic elements in simula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In reviewing temperature distribution of Heat Island Potential (HIP) of buildings and adjacent spaces, in case where green coverage ratio is increased, there was a $6^{\circ}C$ temperature difference and in regard to changes in the thermal environment in detached housing area, in case where rooftop planting, surface improvement, planting, and overall green coverage ratio is increased, there was a $10^{\circ}C$ temperature difference. In addition, there was difference in temperature in detached housing area following the changes in wind.

옥내변전소 운전상황에 따른 변압기 소음예측 (The Prediction of Transformer Noise by Operating Situation at the Indoor Substation)

  • 구교선;권동진;곽주식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104-110
    • /
    • 2008
  •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쾌적한 주거환경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어, 변압기 소음으로 인한 민원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소음민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옥내변전소에서는 공명형 소음기, 방음보조셔터 등의 대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주변환경 변화에 따라 소음대책을 재수립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소음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변압기의 소음전파를 예측하여, 변전소 경계지역에서 소음규제기준을 만족시키는 변압기 소음레벨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옥내변전소에서 변압기 증설, 주변압기실 셔터의 개방 등의 운전상황에 따른 소음레벨 변화를 예측하고, 옥내변전소 경계지역에서 소음규제기준을 만족시키는 변압기 소음레벨을 제시하였다.

외국의 친환경 주거건물 사례

  • 김삼열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33권6호
    • /
    • pp.44-51
    • /
    • 2004
  • 최근에 들어와서 환경문제에 대해서는 일반인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할 정도로 사회적 관심도가 높아져 있다. 1992년 리우환경정상회의 이후 거세게 불고있는 ESSD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는 환경과 개발을 상충이 아닌 공존의 시각에서 보도록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건물에서 에너지와 환경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등장하게 되었으며, 그 기술개발과 보급의 중요성이 국내에서도 최근에 크게 증대되고 있다. 안전하고, 쾌적하고, 에너지와 자원을 절약하면서도 주변환경에 부담을 주지 않고, 편리함을 추구할 수 있는 건물에 대한 요구사항은 21세기의 주된 이슈라고 볼 수 있다. (중략)

  • PDF

초고층 공동주택의 쓰레기처리 설비시스템

  • 김용식;박민식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31권1호
    • /
    • pp.32-35
    • /
    • 2002
  • 도시로의 인구집중, 도시의 대규모화에 따라 고가의 부지에 대한 고밀도화가 요구되고, 주거부문에서는 그 대응 수단으로 초고층 공동주택의 건설이 증가 하고 있다. 부언하면, 대도시 도심부의 높은 지가 상황에서 가구당 건설비의 저감을 위한 고용적률화의 필요성, 새로운 도심지 주거스타일의 발생 및 그에 대한 대응, 도심지역 기능 재편 대책으로서 도심지역에 있어서의 상주인구 확보 등의 대응 수단으로서, 도시 주택의 한 타입인 초고층 공동주택 건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도심지 초고층 공동주택 건설의 기반에는 근년의 초고층 건설기술의 진보 및 발전이 있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본고에서는 초고층 공동주택에 필요한 각종 설비시 스템중에서, 주거환경의 위생성및 쾌적성을 확보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쓰레기처리 설비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여주의(驪州) 경제지리 변화 - 토지이용, 주민생활 실태, 생활공간의 입지 변화를 중심으로 - (Change of Economic Geography in Yeo-ju(여주, 驪州) - Focusing on land utilization, living condition of inhabitants and change of living space -)

  • 손용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83-296
    • /
    • 2004
  • 본 연구는 수도권 농촌지역인 여주 지역의 토지이용 변화, 생활실태의 변화, 생활공간의 입지변화를 살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생활공간의 지역성을 규명하였다. 여주 지역의 토지이용은 농촌 토지이용의 감소와 도시적 토지이용의 완만한 증가를 보인다. 완만한 속도의 도시화를 나타내는 기능으로서 관광농업이 나타나고 농외 겸업 활동이 비교적 활성화되고 있다. 여주지역 육로교통(고속도로통과)의 발달은 생활공간상의 입지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수도권 외곽의 농촌이던 이곳은 도시화가 더딘 곳이었지만, 곧 전철 등의 개통 등 교통의 발달과 함께 도시화가 가속화될 지역이라 할 수 있다. 치밀한 도시계획이 수행될 때, 쾌적한 도시 주거환경 지역으로 변모할 것이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