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코스메슈티컬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3초

코스메슈티컬 화장품과 메디컬 화장품의 인식도 및 구매 행동에 따른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urchasing Behavior of Cosmeceutical Cosmetics and Medical Cosmetics)

  • 이호경;유선희;리순화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3-83
    • /
    • 2019
  • 본 연구는 코스메슈티컬 화장품과 메디컬 화장품으로 분류하여 각 구매 행동 차이 및 만족도를 비교 분석 하고자 하였다. 20대~50대까지의 성인 남 녀를 대상으로, 총 861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코스메슈티컬 화장품과 메디컬 화장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 총 446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코스메슈티컬 화장품과 메디컬 화장품에 대한 용어 인지도는 매우 낮은 편이었으며, 각 구매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코스메슈티컬 화장품은 구매 선호도 요인 중 품질, 가격, 용기 디자인, 서비스가 만족도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p<0.05, p<0.01, p<0.001), 특히 품질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메디컬 화장품은 구매 선호도 요인 중 브랜드 이미지, 가격, 용기 디자인이 만족도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p<0.01, p<0.001), 브랜드 이미지에 대해 가장 큰 만족도를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코스메슈티컬 화장품과 메디컬 화장품의 특징을 세분화 하여, 각 구매 행동과 선호도에 따른 차별화된 제품 개발에 힘써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병원종사자의 코스메슈티컬화장품에 대한 제품선택이 마케팅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ospital workers cosmeceutical cosmetics product selection on marketing communications)

  • 강유나;이인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88-98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메디컬스킨케어에 맞추어 등장한 코스메슈티컬화장품을 사용하는 병원종사자의 제품선택이 마케팅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실시하였다. 코스메슈티컬화장품이 주로 사용, 판매되어지고 있는 병원의 병원종사자를 대상으로 코스메슈티컬화장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와의 불만에 대응하고 부정적 이슈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소비자와의 우호적 관계를 강화할 수 있는 대안 마련에 필요한 자료를 얻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병원(피부과, 성형외과, 여성의원, 기타병원)에서 코스메슈티컬화장품을 사용하는 병원종사자를 5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되었다. 총 502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으며, 데이터 분석은 Cronbach's ${\alpha}$, one-way ANOVA, 탐색적요인 분석 및 Duncan 테스트로 구성되었다. 또한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수행하였고, 가설검정을 위해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코스메슈티컬화장품을 선택할 때 마케팅커뮤니케이션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제품의 가치, 품질, 가격 요인이 마케팅커뮤니케이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고 있다. 즉, 제품의 가치 및 품질을 가장 중시함과 동시에 합리적인 가격을 원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향후 코스메슈티컬화장품만의 차별화된 제품을 추구하고 트랜드의 변화양상에 맞추어 코스메슈티컬화장품의 잠재고객 확보 및 판매증대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코스메슈티컬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복합적 인식 및 만족도 (Customers' Convergent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about Cosmeceuticals)

  • 박수하;권혜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459-464
    • /
    • 2017
  • 본 연구는 서울지역 20-50대 성인 남녀 161명을 대상으로 코스메슈티컬 화장품에 대한 인지 및 만족도를 조사하고 소비자들을 위한 개선 사항을 분석하여 향 후 마케팅 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코스메슈티컬이라는 생소한 용어 때문에 40대 이 후 연령에서는 인지도가 떨어지지만 병원에서 사용되는 전문성, 의사의 권유, 과학적인 이미지로 많은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체 49.85%의 사용자 중 94.41%가 재 구매의사를 밟혀 매우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고, 50.15%의 비사용자 중 향 후 구매 의사를 밝힌 응답자가 72.22%에 해당하였다. 피부지식도가 높을수록 화장품에 대한 관심과 미적 실천율이 높았으며, 제품을 선택 할 때는 피부지식도가 높을수록 비사용자는 브랜드 인지도(r=.222, p<.05)와 성분(r=.245, p<.005)을 많이 고려함을 알 수 있었고 사용자는 피부지식도가 높을수록 사용의 용이성(r=.162, p<.05)을 중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아직은 코스메슈티컬 화장품에 대한 전체 소비자들의 인지가 높지 않으므로 지속적인 홍보와 재 구매 요인 강화 및 일반화장품과의 차별화 전략이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코스메슈티컬 적용을 위한 흑호두 과피의 생리학적 연구 (Physiological Study of the Extract of Junglans nigra Shells for the Cosmeceutical Application)

  • 이현주;옥승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9-36
    • /
    • 2021
  • 천연물 중 시판되지 않고 대부분 버려지는 흑호두(Juglans nigra) 과피를 추출하여 화장품 적용 가능성과 생리 활성 및 효능을 조사하였다. 흑호두 과피 열수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300㎍/mL에서 76.06%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1000 ㎍/mL에서 61%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흑호두 과피 추출물을 피부 각질 세포인 HaCaT 세포에 적용했을 때 250 ㎍/mL에서 92.6%로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이 현저히 낮았고 500 ㎍/mL 농도에서 67.35%의 nitric oxide(NO) 생성이 억제되었으며 100 ㎍/mL 농도에서 비타민 C보다 31배 더 높은 Hyaluronidase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흑호두 과피 추출물은 코스메슈티컬 응용 및 식품, 향료, 헬스 케어, 제약 등 다양한 산업에서 고부가 가치 천연 소재로 활용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코로나 19 시대의 화장품분야 천연소재 개발방향

  • 정의수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4
    • /
    • 2021
  • 전 세계는 covid 19의 pandemic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화장품 분야의 trend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covid 19의 예방으로 마스크는 생활필수품이 되었고, 행정적으로도 사무공간에서도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으면 과태료를 부과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로 인하여 장시간 마스크 착용은 필수 불가결한 상황이며, 이로 인하여 얼굴 피부의 장벽기능(barrier function)의 와해로 인하여 피부가 예민해지고 크고 작은 피부의 trouble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화장품의 선택에 있어 피부 진정과 피부에 자극완화(anti-irritation) 및 안전성(safety)에 대한 것으로 점차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Covid 19 이전의 화장품 소재 및 제품 개발의 트렌드는 국내의 기능성화장품 범주에 있는 미백 관련, 주름관련, 자외선 차단관련, 염모관련, 육모 탈모 관련, 여드름관련, 피부장벽관련, 튼살 관련 기능성 소재 및 제품 개발과 화장품 용도외의 고기능성 부여를 위한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용 제품의 개발이 중요한 시기였다.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은 화장품(cosmetic)과 의약품(pharmaceutical)의 합성어이다. 그러나 최근 Covid 19의 상황에 따라 화장품 업계는 포스트 코로나의 트렌드로 피부 장벽기능 강화, 피부노화 억제, 식물성, 자극완화, 비건, 안전성 확보에 대한 다양한 천연 소재의 연구와 제품을 개발 출시하고 있다. 따라서, 2020년 Covid 19의 상황에 따른 화장품 분야의 천연 신소재 및 화장품 개발 방향에 대하여 자원 식물의 활용성 및 개발 동향에 대하여 논의 하고자한다.

  • PDF

기능성 화장품 국내외 산업 동향 연구 (Research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dustrial trends of functional cosmetics)

  • 장민아;이정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618-627
    • /
    • 2021
  • 기능성 화장품이라 함은 피부미백, 주름개선, 자외선차단 등 특정한 기능을 가지고 피부에 효과를 주는 화장품을 말했다. 그런데 2017년 이후 기능성 화장품의 품목이 확대되었다. 대한민국의 기능성 화장품 산업은 미백, 주름, 자외선 차단 제품에 머물고 새로운 기능성 제품의 개발은 미비한 상태이다. 또한 코스메슈티컬과 메디컬 화장품을 비롯한 고기능성 화장품도 아직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리고 국외에 수출실적 순위는 프랑스가 가장 높았고 미국, 독일 순으로 나타났다. 프랑스는 화장품 산업 업계 1위 국가답게 바이오 공업과 기능성 소재에서 메커니즘 중심의 기능성 화장품을 강조하고 있고 미국은 럭셔리 프리미엄 제품에 수요도가 높았으며 독일은 바이오 하이테크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 이처럼 한국도 신흥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들의 새로운 소재들을 개발하고 정치와 경제가 뒷받침 되어 연구에 더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져 다양한 기능성 화장품 산업 등을 발전시켜 나아가야 할 것이다.

넓패추출물에 의한 RAW 264.7 세포에서의 항염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Ishige foliacea in RAW 264.7 Cells)

  • 심중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9-36
    • /
    • 2024
  • 본 연구는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넓패추출물(Ishige foliacea, I. foliacea)의 피부 항염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RAW 264.7 세포에 대한 넓패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는 세포 생존력 분석, mRNA 발현 및 산화질소(NO)/프로스타글란딘 E2 (PGE2) 생성을 통해 확인하였다. 넓패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는 IL-1α/IL-1β/IL-6/TNFα mRNA 발현 및 NO/PGE2 생성을 분석하여 규명하였고, 정량적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통해 넓패추출물은 iNOS/COX2/IL-1α/IL-1β 및 IL-6의 mRNA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PGE2와 NO 생성의 비교를 통해 넓패추출물이 항염증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넓패추출물의 항염 효과를 바탕으로 코스메슈티컬 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넓패추출물의 항염증 메커니즘에 대한 후속 연구를 바탕으로 코스메슈티컬뿐만 아니라 염증과 관련된 약리학적인 메커니즘 발굴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Haematococcus pluvialis 유래 아스타잔틴의 리포좀 캡슐화가 코스메슈티컬 소재로서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posomal Encapsulation of Astaxanthin from Haematococcus pluvialis on Stabilities for Cosmeceuticals)

  • 이정현;김동명;변상요
    • KSBB Journal
    • /
    • 제26권5호
    • /
    • pp.381-385
    • /
    • 2011
  • Studies were made to improve the stability of astaxanthin which has application limitations caused by light and thermal stability problems in spite of its strong anti-oxidant property. Astaxanthin was extracted from Haematococcus pluvialis wit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Liposomal encapsulation of astaxanthin to improve the stability was made with high pressure homogenizer. The narrow size distribution was observed with astaxanthin liposomes. Tests on light and thermal stabilities resulted that the liposormal encapsulation improved the stability of astaxanthin for cosmeceutical purposes.

아토피 화장품 시장동향 (Market Trends for Atopy Treatment Cosmetics)

  • 박세규;이봉진
    • 공업화학전망
    • /
    • 제22권1호
    • /
    • pp.3-11
    • /
    • 2019
  • 최근 화장품 산업은 제약사들을 중심으로 기업들이 보유한 바이오 및 의약 기술을 접목하여 기능성 화장품 개발에 주목하고 있다. 화장품과 의약품의 경계가 무너지고 코스메슈티컬이 화장품 산업의 블루오션 시장으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현대병으로 알려진 고질적 피부질환 아토피성 피부 인구가 늘면서 아토피 기능성 스킨케어 시장이 급부상하고 있다. 98년부터 시작된 아토피 관련 시장은 국내 약국 아토피성 화장품 시장 100억 원을 포함해 현재 700억원대로 급성장하고 있어 앞으로 확고한 수익 시장으로 자리잡을 것이라 전망되고 있다. 현 사회에서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는 아토피 피부를 치료할 수 있는 다양한 화장품 제품들이 급증하고 있으므로, 본 기획에서는 아토피 화장품 시장의 현황, 동향 및 전망을 분석하여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