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컴퓨터 아트

Search Result 8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Simulation and Post-representation: a study of Algorithmic Art (시뮬라시옹과 포스트-재현 - 알고리즘 아트를 중심으로)

  • Lee, Soojin
    • 기호학연구
    • /
    • no.56
    • /
    • pp.45-70
    • /
    • 2018
  • Criticism of the postmodern philosophy of the system of representation, which has continued since the Renaissance, is based on a critique of the dichotomy that separates the subjects and objects and the environment from the human being. Interactivity, highlighted in a series of works emerging as postmodern trends in the 1960s, was transmitted to an interactive aspect of digital art in the late 1990s. The key feature of digital art is the possibility of infinite variations reflecting unpredictable changes based on public participation on the spot. In this process, the importance of computer programs is highlighted. Instead of using the existing program as it is, more and more artists are creating and programming their own algorithms or creating unique algorithms through collaborations with programmers. We live in an era of paradigm shift in which programming itself must be considered as a creative act. Simulation technology and VR technology draw attention as a technique to represent the meaning of reality. Simulation technology helps artists create experimental works. In fact, Baudrillard's concept of Simulation defines the other reality that has nothing to do with our reality, rather than a reality that is extremely representative of our reality. His book Simulacra and Simulation refers to the existence of a reality entirel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concept of reality. His argument does not concern the problems of right and wrong. There is no metaphysical meaning. Applying the concept of simulation to algorithmic art, the artist models the complex attributes of reality in the digital system. And it aims to build and integrate internal laws that structure and activate the world (specific or individual), that is to say, simulate the world. If the images of the traditional order correspond to the reproduction of the real world, the synthesized images of algorithmic art and simulated space-time are the forms of art that facilitate the experience. The moment of seeing and listening to the work of Ian Cheng presented in this article is a moment of personal experience and the perception is made at that time. It is not a complete and closed process, but a continuous and changing process. It is this active and situational awareness that is required to the audience for the comprehension of post-representation's forms.

TYME: Interactive Typography for a poetic expression in Multimedia Environment (TYME: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시적 표현을 위한 인터랙티브 타이포그래피)

  • Hwang, Sh-Mong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9 no.6 s.68
    • /
    • pp.27-32
    • /
    • 2006
  • TYME is an interactive typography program based on the ephemeral nature of time. It is a text based poetic tool, built with Processing. This project is presented as a performance that utilizes a computer with a display screen, a projector, and speakers. As the user types, white characters appear, flow on the score on the screen and trigger jazz sounds, then characters disappear into black space in several seconds on the screen like smoke. Typography from this invented instrument is evocative and wistful, and allows the user to associate with ephemeral time. While typing the characters as though playing an instrument at intervals of time, the user can freeze the motion and print out or save otherwise fleeting moment with a button. I intend to contain both characteristics: the amorphous shape of smoke and the elusive attribute of smoke for the expression of intangible and ephemeral time. Every alphabetic shape is derived from the video dips that I shot of smoke. The resulting alphabetic images are then programmed using the Processing scripting language and which can then be typed on the screen with a keyboard. TYME could be a model as a project that reflects the unfixed quality of digital typography, and as a design approach for interactive expressive typography by scripting code. This project also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typographic play, which can be realized in an computational environment like this model.

  • PDF

RealBook based on the interface of Tabletop display (테이블탑 디스플레이 기반 RealBook)

  • Song, Dae-Hyeon;Yang, Hee-Kyeong;Lee, Chil-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a
    • /
    • pp.112-11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테이블탑 디스플레이을 기반으로한 RealBook에 대하여 제안한다. 전자책은 일반 종이책이 아닌 컴퓨터를 이용한 가상의 책으로써 사용자가 독서를 하는 도중 동영상 자료를 보거나 배경음악을 들을 수 있게 해주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이다. 또한, 테이블탑 디스플레이 플랫폼에서 사용하므로 손의 직접적인 터치를 이용하여 전자책과 사용자 간의 좀 더 다양한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테이블탑 디스플레이에서는 손가락의 터치 점을 이용하여 다양한 제스처를 정의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기존 입력 장치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전자책을 체험하는 것을 돕는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 전자책과 차별화된 상호작용 디지털와 아날로그를 결함한 책(Real book)으로써 전자책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고, 미디어 아트와 스토리텔링 기법을 접목시켜 사용자에게 정보 전달뿐만 아니라 예술과 오락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앞으로 컴퓨터와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활용될 수 있고 향후 미래 지향적 시스템이 될 것이다.

  • PDF

Interactive media facade based on image processing (영상처리 기반의 인터랙티브 미디어파사드에 관한 연구)

  • Jun, Ha-Ree;Yun, Hyun-Jung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1 no.3
    • /
    • pp.46-54
    • /
    • 2015
  •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s advancing to levels which influence the formation of city landscapes and spaces. The use of media facade is creating modernized city-spaces with contemporary application of various digital mediums. In this way, media facade functions as media-art in an artistic point of view, while also providing the means for buildings to become landmarks in a city-scape point of view. Going a step further, media facade using interaction is drawing a lot of attention as it enables communication with the city inhabitants instead of one-way contents provision. This paper will research such interactive media facade using transparent display glass currently being used as construction building material and its potential growth.

Real-Time 3D Oriental Color-Ink Painting (Kubelka-Munk모델을 응용한 실시간 3차원 수묵담채화 렌더링)

  • Oh, Crystal S.;Nam, Yang-Hee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1 no.1
    • /
    • pp.1-7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3D 게임이나 가상현실, 인터렉티브 아트 등의 실시간 환경의 컨텐츠 제작에 활용가능한 수묵담채화풍의 렌더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기존의 3차원 수묵화 렌더링 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색채표현법과 그 합성법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색채표현법의 경우, 일반적으로 삼색을 단계적으로 겹쳐서 표현하는 수묵담채화의 특성에 따라, 실제 그림을 그릴 때에 적용되는 삼색의 혼합방법과 순서가 자동으로 적용될 수 있는 삼색기반 구조를 통해 농담과 질감효과를 표현했으며, 또한 이러한 삼색레이어의 합성을 위해서는 안료의 광학적 성질을 반영하여 실제 회화매체에 가까운 색상을 재현할 수 있는 Kubelka-Munk(KM)모델을 적용한다. 기존의 KM모델은 비사실적 렌더링 연구 분야에서 수채화, 유화 등 서양화를 대상으로 한 색채 합성에 적용되어 왔기 때문에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만으로는 삼색레이어가 겹쳐질 때 나타나는 수묵담채화의 특징과 천연 재료를 사용하는 동양 안료의 색상을 정확히 반영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제 수묵담채화에 이용되는 전통안료의 색상 분석을 통해 KM모델에 적용할 파라미터들을 추출하고, 앞에서 설계한 삼색 기반 구조에 따라 색상을 합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AI Pattern of the Side-scrolling Action Game (횡 스크롤액션 게임의 AI패턴 연구)

  • Cho, Ui-Ddum;Kim, Seung-Hyeon;Lee, Hee-Seok;Lee, Da-Som;Myeong, Jin-Lee;Lee, Hyun-Woo;Park, Chan-Il;Lee, Jong-Won;Oh, Hyoun-Ju;Kim, Sang-Jung;Kang, Myu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7a
    • /
    • pp.289-292
    • /
    • 2014
  • 게임에서 AI(Artificial Intelligence)는 게임의 재미요소와 가장 밀접한 부분이며, 대부분의 게임에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단순한 AI패턴은 게임플레이에 지속성을 저하시키며 게임의 재미요소 하락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2D 횡 스크롤 액션 게임으로 "아트록스"를 개발하여 게임의 흥미를 높일 수 있는 AI패턴을 연구하였다.

  • PDF

Characteristics of digital contents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music (국악을 소재로 한 디지털 콘텐츠의 특징)

  • Son, Ju-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531-534
    • /
    • 2022
  • 최근 국악계가 지향하는 국악의 발전 방향은 국악의 대중화 및 현대화에 초점이 맞춰져있다. 이에 국악인들은 창작 국악, 크로스 오버 국악 등의 새로운 국악을 연주하는 공연을 진행해오고 있으나 타 분야의 기술 융합을 통한 국악 관련 콘텐츠 개발의 측면에서 제작된 디지털 콘텐츠들은 두각을 드러내지 못했다. 다수의 선행연구에서는 국악 소재 디지털 콘텐츠에 관한 학술적 연구가 미미하다고 언급하며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국악 소재 디지털 콘텐츠의 특징에 관한 사례연구를 진행했다. 사례조사 범위는 국내 스마트폰 보급이 본격화 된 2009년부터 2022년까지로 설정하여 해당 자료를 수집했다. 본 연구의 분석기준은 사례를 크게 콘텐츠의 기능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로 나누어 국악과의 연계성을 분석하는 데에 집중했다. 연구 결과 팬데믹으로 인한 언택트 형태의 온라인 국악 교육 콘텐츠가 주를 이루었고, 정보 콘텐츠와 교육 콘텐츠의 사례가 모두 이에 해당했다. 공연 콘텐츠는 LED 기술을 사용한 의상을 입은 퍼포먼스형 공연의 형태와 3D 미디어 아트가 주가 되는 음악회의 형태가 있고, 오락 콘텐츠는 리듬 게임과 스토리텔링형 게임으로 나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언급한 국악 콘텐츠 연구의 한계점을 해소하고자 수집한 자료를 본 연구의 분석 기준에 적용하여 특징을 도출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향후 국악 소재 디지털 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할 방향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또한 사례의 연도별 추이를 파악하였으므로 국악을 소재로 한 콘텐츠 제작 사례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는 향후 연구자들에게 기초자료로서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Real-time Interactive Particle-art with Human Motion Based on Computer Vision Techniques (컴퓨터 비전 기술을 활용한 관객의 움직임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실시간 파티클 아트)

  • Jo, Ik Hyun;Park, Geo Tae;Jung, Soon Ki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21 no.1
    • /
    • pp.51-60
    • /
    • 2018
  • We present a real-time interactive particle-art with human motion based on computer vision techniques. We used computer vision techniques to reduce the number of equipments that required for media art appreciations. We analyze pros and cons of various computer vision methods that can adapted to interactive digital media art. In our system, background subtraction is applied to search an audience. The audience image is changed into particles with grid cells. Optical flow is used to detect the motion of the audience and create particle effects. Also we define a virtual button for interaction. This paper introduces a series of computer vision modules to build the interactive digital media art contents which can be easily configurated with a camera sensor.

The production of multimedia contents for using by the media arts (미디어 아트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 조재영;송학현;김태곤;김윤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2.11a
    • /
    • pp.356-360
    • /
    • 2002
  • This study is about the way of music composition which is based on S/W system and also shows the skill of moving image edit for using the composed music. The result of this contents informs the mixture of a composed music by the Midi program and a moving image for using by the S/W system, also guides many students that the Computer Music Composition and Image Edit is not a difficult sphere. It is not only a main subject but also a main goal of this study.

  • PDF

The Projection Mapping using Jigsaw Puzzle and Augmented Reality (직소 퍼즐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프로젝션 맵핑)

  • Jung, Juhee;Oh, Kyou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1023-1025
    • /
    • 2014
  • 프로젝션 맵핑은 사물 위에 연출된 영상을 입힘으로써 사물에 시각적 효과를 주는 기법이다. 하지만 기존 방법은 사물의 위치, 방향을 맞추기 위해 여러 가지 비용과 노력이 필요하다. 우리는 직소퍼즐과 증강현실을 이용해 기존 방법의 한계를 개선한 새로운 프로젝션 맵핑 기법을 제안하다. 사용자는 직소 퍼즐을 맞춤으로써 콘텐츠 제작에 자연스럽게 참여하며, 완성된 퍼즐 이미지는 마커로 사용된다. 사물에 투영될 최종 영상은 인식된 마커의 방향을 따르기 때문에 사물과 투영 영상을 맞추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제안된 방법은 미디어 아트, 교육용 콘텐츠, 컴퓨터 비전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