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캔디다증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4초

Nystatin에 반응하지 않는 만성 구강 캔디다증 증례에서 Fluconazole의 효과에 관한 보고 (The Effects of Fluconazole on Chronic Oral Candidiasis Refractory to Nystatin: Case Report)

  • 이은진;박원규;고홍섭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1호
    • /
    • pp.27-33
    • /
    • 2008
  • 구강 캔디다증은 주요 기회감염 균주인 Candida 속(屬) 진균류에 의한 감염성 질환으로 구강점막에 발생하는 진균 감염 중 가장 흔하지만, 만성증식성(chronic hyperplastic type)이나 정중능형설염(median rhomboid glossitis)과 같이 드문 형태의 경우 오진의 가능성이 있고 효과적인 치료법의 결정도 어려운 경우가 있다. 본 증례에서는 만성증식성 구강 캔디다증 및 정중능형설염으로 진단된 환자에서 nystatin 처방에 효과적으로 반응하지 않아 fluconazole을 투여하여 증상의 경감과 치유를 보인 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편백 피톤치드가 Candida albicans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Effect of Chamaecyparis obtusa tree Phytoncide on Candida albicans)

  • 강수경;어규식;전양현;홍정표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5권1호
    • /
    • pp.19-29
    • /
    • 2010
  • 나무가 갖는 특유의 향인 피톤치드는 휘발성 화학물질로서, 식물이 방어를 위해 스스로 생성하여 발산하는 물질이며, 항균, 방충, 소취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천연 물질이다.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 Sieb. et Zucc.; Japanese cypress)에서 추출한 피톤치드 정유가 구강 내 상주균주이면서 구강 캔디다증을 일으키는 Candida albicans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편백 피톤치드와 함께 C. albicans 를 배양한 후, 성장정도, 생존력 및 형태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피톤치드는 C. albicans에 강한 항진균력을 보였고, C. albicans에 대한 피톤치드의 최소억제농도(MIC)는 0.25%, 최소살균농도(MFC)는 0.5%였으며, 성장 곡선 상에서, MIC에 근접한 농도의 피톤치드는 C. albicans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피톤치드를 첨가하여 배양한 C. albicans는 투과전자현미경 상에서, MIC 농도에서 대다수의 세포가 세포질 내 전자밀도가 높은 과립물질과 공포를 보이는 비전형적인 형태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피톤치드는 C. albicans에 대해 살균작용에 의한 항진균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피톤치드의 항진균력은 구강 내 상주균주이면서 특별한 경우에 구강 캔디다증을 일으키는 C. albicans에 유효하게 작용하며, 이를 이용한 구강 위생용품의 적용으로 구강 캔디다증의 예방과 치료 및 예후관리에도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리라고 생각된다.

캔디다$\cdot$알비칸스 (Candida Albicans)

  • 김영환
    • 월간양계
    • /
    • 제4권8호통권34호
    • /
    • pp.53-56
    • /
    • 1972
  • 콕시듐증이라고 진단되어 우수한 콕시료 치료제를 투여하였으나 어찌된 일인지 완치가 되지 않고 때로는 그 증상이 더욱 악화되어 의외의 폐사를 내는 사례가 여러분의 양계장에는 없었읍니까? 성의껏 육추를 했으나 성장이 고르지 못하고 성성숙이 일제히 되지 않아 산란피크가 70$\~$75$\%$에서 끝나는 경험을 한적은 없읍니까? 별다른 원인없이 위와 같은 결과를 경험하였다면 우선 곰팡이의 일종인 캔디다$\cdot$알비칸스의 감염을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 PDF

임상가를 위한 특집 2 - 구강 캔디다증 (Oral Candidiasis)

  • 김옥준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8권5호
    • /
    • pp.355-364
    • /
    • 2010
  • The frequency of mucosal and cutaneous fungal infection is increasing worldwide, which is due to the increase of immunocompromised patients. Candida albicans are the principal species associated with human oral mycosis and are known to be the most virulent among pathogenic Candida spp. In this review, oral candidiasis were classified and oral mucosal manifestations of candidiasis were filed. And its diagnosis and management would be reviewed briefly.

Candida albicans의 마이크로RNA 동정과 분석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microRNAs in Candida albicans)

  • 조진현;이헌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494-1499
    • /
    • 2017
  • Candida albicans에 의한 구강 감염(캔디다증)은 구강 점막에 빈번하게 발생하며 잘 알려진 질병이다. 구강 캔디다증은 생명을 위협하는 정도의 곰팡이 감염증은 아니나, 특정상황에서 개인에게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 RNA는 세포 내에서 다른 타겟 유전자를 저해하는 작은 크기의 RNA 분자이며 단백질을 코딩하지는 않고 번역과정을 억제하는 조절자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C. albicans의 마이크로RNA를 처음으로 동정하고 그러한 마이크로RNA가 지닌 기능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C. albicans의 small RNA를 차세대 염기분석법을 통하여 분석하고 그러한 RNA들의 2차 구조를 생물정보학적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분석한 small RNA들은 마이크로 RNA라고 불리울 수 있는 특징들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별히 높게 발현되고 있는 두개의 마이크로 RNA 정도 크기의 RNA가 CBP1 유전자의 3' 말단 비번역구역(UTR)에서 반대방향으로 발현하는 것을 밝혀 내었다. 우리는 이러한 C. albicans의 RNA가 CBP1 유전자를 타겟으로 하여 조절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RNA를 인위적으로 합성한 후 세포 내로 주입하고, 형광형미경으로 도입 사실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4시간과 8시간 후에 CBP1의 발현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C. albicans가 마이크로RNA에 의한 RNA 간섭(RNAi) 작용이 다른 진핵세포와는 다르게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Candidiosis 치료제 개발을 위한 약용 및 야생 식물의 항진균 활성의 검색 (Screening of anti-candidiosis agent from medicinal and wild plants)

  • 손호용;금은주;권윤숙;권기석;진익렬;권하영;권정숙;손건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04-617
    • /
    • 2003
  • 안전성이 확보된 식용, 또는 약용식물로부터 항캔디다 활성이 우수한 항진균 후보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298종의 천연물로부터 추출부위 및 추출 용매를 달리하여 384종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추출물의 항캔디다 활성을 disc-paper를 이용한 생육 저지환의 유무 및 크기 판정과 microbroth dilution법을 이용하여 C. albicans KCTC 1940과 S. cerevisiae IFO 0233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20종 식물로부터 조제된 25종의 추출물이 우수한 항캔디다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고, 그 중에서도 멍석딸기, 정향, 천황련, 작약, 모란, 대극잎 추출물은 강력 한 항캔디다 활성$(MIC=50 \mug/m\ell)$을 보였다. 특히, 멍석딸기(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정향(부탄올 추출물), 호장근(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작약(부탄올 추출물), 대극잎(메탄올 추출물)의 경우에는 C. albicans에 높은 선택독성을 나타내어, 안정성이 확보된 식물 추출물로부터 새로운 진균 감염증 치료제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