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카제인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2초

단백질 종류와 급여수준이 흰쥐의 혈중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otein in Diet-induced Hypercholesterolemia Rats)

  • 김명주;이미경;장주연;김대곤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46-253
    • /
    • 1997
  • 단백질의 종류 및 급여수준이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학자 1% 콜레스테롤과 0.25%의 콜산나트륨을 첨가하여 고콜레스테롤 혈증을 유도토록 조제한 실험식이에 대두단백질과 카제인의 공급수준을 달리하여 급여하고 혈청내 지질대사를 관찰하였다. 혈중 총지질 함량은 콜레스테롤 투여시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단백질 급여로 증가가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두단백질이 더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콜레스테롤 투여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단백질 급여로 증가가 억제되었으며, 단백질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고 인지질 함량은 콜레스테롤 투여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총 콜레스테롤 함량과 유리 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골레스테롤 투여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카제인 급여군에 비해 대두단백 급여시 유의적으로 증가가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VLDL- 및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콜레스테롤 투여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단백질 급여 수준이 증가할수록 그 증가가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콜레스테롤 투여로 인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대두단백질이 카제인에 비해 감소 정도가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단백질의 종류와 급원이 지질함량에 영향을 미치므로써 고콜레스테롤 혈증을 예방·치료하기 위하여 단백 급여, 특히 대두단백 급여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을 사료된다.

  • PDF

난백분말과 유제품을 이용한 요구르트의 제조 (The Preparation of Yogurt from Egg White Powder and Milk Products)

  • 고영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46-554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난백분말 3% (w/v)와 포도당 2% (w/v)에 4종의 유제품 4% (w/v)를 각각 첨가하여 기질을 만들고 젖산균(Lactobacillus)으로 발효하여 호상의 요구르트를 만든 후, 첨가된 유제품이 젖산균의 생육과 산생성 및 요구르트의 품질(관능성, 휘발성 향기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L. acidophilus로 24시간 발효된 시료의 경우, 산도는 우유 시료(대조군)에 비하여 유제품 첨가 시료가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유제품 첨가 시료 가운데는 카제인 시료의 산도가 가장 낮았다. 생균수는 우유 시료가 $2.0{\times}10^{9}/mL$인데 비하여 유제품 첨가 시료는 $5.0{\times}10^{8}{\sim}8.0{\times}10^{8}/mL$으로 현저하게 낮았다. L. acidophilus로 16.5시간 발효시켜 만든 호상요구르트의 관능성을 보면, 전반적인 기호도는 우유요구르트(표준시료)보다 유제품 첨가 시료가 저조하였으나 카제인 시료의 경우는 표준시료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p<0.05), 유제품 첨가 시료 중에서는 유청 시료의 관능성이 가장 저조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L. acidophilus (KCTC 2182)는 시료에 따라서 다소 차이가 있으나 발효 과정에 acetone, ethanol, diacetyl, acetoin을 생성하였다.

  • PDF

난백분말과 카제인으로 만든 요구르트에서 당의 첨가 효과 (The Effects of Sugar Addition in Yogurt Prepared from Egg White Powder and Casein)

  • 고영태;이주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3-161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난백분말과 카제인에 당(포도당, 과당, 유당)을 첨가하고 젖산균(Lactobacillus)으로 발효 시키면서 첨가된 당이 젖산균의 산생성과 생육, 요구르트의 관능성 및 휘발성 향기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난백분말 2%(W/V)와 카제인 3%(W/V)에 당 0.5, 1 또는 2% (W/V)를 첨가하고 L. acidophilus로 발효하여 만든 시료에서 젖산균의 산생성은 우유 시료(대조군)보다 낮았으며, 포도당과 과당은 1%와 2% 가 0.5%보다 생산성이 높았으나, 유당은 당 농도에 의 하여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L. acidophilus의 생균수는 우유 시료가 24시간 발효 후에 3.6$\times$$10^{9}$인데 비하여, 2%(W/V) 포도당 또는 과당을 첨가한 시료는 5.6-6.0X$10^{8}$으로 낮았으며, 유당 첨가 시료는 3.2$\times$$10^{7}$ 으로 가장 낮았다. 우유 시료와 당 첨가 시료를 L.acidophilus로 30시간 발효시키면서 산생성과 생육을 관찰했을 때, 전 실험 시간에 걸쳐서 우유 시료의 산생성과 생균수가 높았다. 관능검사의 결과(L. acido-philus 16.5hr.발효)를 보면 우유 시료(표준시료)보다 과당 첨가 시료는 다소 우수하였으나, 유당 첨가 시료는 현저하게 저조하였다. L. acidophilus는 시료에 따라서 다소 차이는 있으나 발효 과정에 acetone, ethanol, diacetyl, acetoin을 생성하였다.

  • PDF

흰쥐 베타-카제인 유전자의 발현조절 부위를 이용하여 유선에서 사람 락토페린을 발현하는 형질전환 생쥐의 개발 (Expression of Human Lactoferrin in the Mammary Glands of Transgenic Mice using Regulatory Elements of Rat $\beta$-Casein Gene)

  • 김선정;이고운;배수경;조용연;한용만;이철상;이경광;유대열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3-139
    • /
    • 1994
  • Two human lactoferrin expression vectors(pCChcLf and pCChcLf-1) were constructed using rat $\beta$-casein gene and human lactoferrin cDNA. The recombinant DNAs containing human lactoferrin cDNA were microinjected into the fertilized eggs of hybrid mice (BDF1 : C57BL$\times$DBA) and the DNA-injected eggs were treansferred into the oviducts of foster mothers. Genomic DNAs were isolated from the tails of mice born from the microinjected eggs and analyzed by Southern blot analysis. As a result, 5 and 9 transgenic mice with CChcLf and CChcLf-1 gene were produced, respectively. To determine tissue-specificity of transgene expression, Northern blot analysis was performed. Female transgenic mice were killed at day 10 of lactation and total RNAs from various tissues were isolated. Based on Northern blot analysis, it was shown that transgene was mainly expressed in the mammary glands of transgenic mice. In addition, the human lactoferrin in milk was detect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For this study, milk was obtained from the mammary glands of the transgenic mice at day 10 of lactation. In line #2 of CChcLf and line #7 of CChcLf-1 transgenic mice, human lactoferrin was secreted into the milk at concentration levels of 340ng/ml and 60ng/ml, respectively.

  • PDF

프로테아제와 리파제의 혼합에 따른 세척성의 변화 (Effects of Mixing Protease and Lipase on Detergency)

  • 서수진;박정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5-213
    • /
    • 200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mixing protease and lipase on detergency. The detergency of protein soiled, oil soiled and protein-oil soiled cloths and the relative hydrolytic activity of enzymes were examined. The protease-lipase added detergent solution was most effective for the removal of protein in protein-oil soiled cloths. This is because the lipase removed the protein that was physically bound to oil as well as the protease removed the protein. The protease added detergent solution was second effective, the lipase added detergent solution was third effective, and the detergent solution without protease and lipase was the least effective. The protease-lipase added detergent solution was also most effective in the oil removal from protein-oil soiled cloths. Unlike in protein removal, however, the protease added detergent solution was more effective in oil removal than the lipase added detergent solution. This is because the removal of oil bound to protein by protease was more effective than the removal of oil by lipase. In soiling-washing cycles, however, the effects of lipase increased, and as a result, the detergency of protease added detergent solution and the lipase added detergent solution became similar.

  • PDF

증량된 요소수지 접착제와 소나무 간벌재로 제조된 파티클보드의 성질 (Properties of Particleboard Made from Pinus densiflora Thinning Log with Extended Urea-Formaldehyde Resin Adhesive)

  • 오용성;곽준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1호
    • /
    • pp.22-26
    • /
    • 2003
  • 증량제로서 카제인과 콩을 첨가한 요소수지 접착제와 소나무 간벌재 파티클로 실험실 파티클보드를 제조하였다. 소나무 간벌재 파티클로 제조된 파티클보드를 성능 평가한 결과 소나무 간벌재는 파티클보드의 원료로서 적합하다. 증량된 요소수지로 접착된 파티클보드는 증량제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기계적인 성능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요소수지 접착제의 고형분량에 대해 카제인은 15%까지 콩은 20%까지 첨가하여 파티클보드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Penicillium brevi-compactum을 이용한 면역억제제 Mycophenolic Acid 발효에서 탄소원 및 질소원의 영향 (Effects of Carbon and Nitrogen Sources on Immunosuppressant Mycophenolic Acid Fermentation by Penicillium brevi-compactum)

  • 노용택
    • 미생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49-25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탄소원 및 질소원의 이용 패턴과 mycophenolic acid의 생성 패턴을 확인하기 위하여 먼저 5 L 발효조에서 mycophenolic acid 발효의 경시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다음에는 여러 가지 탄소원들이 세포 생장과 mycophenolic acid 생산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과당이 mycophenolic acid 발효에 가장 좋은 탄소원이었지만, 값이 고가인 단점이 있어서, 과당을 지니고 있는 설탕이 주성분인 당밀을 탄소원으로 사용한 결과 mycophenolic acid의 산업적 생산에 가장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당밀을 첨가한 실험구는 포도당을 탄소원으로 사용한 대조구에 비하여 발효 생산성이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양호한 세포 생장과 높은 mycophenolic acid 생산을 얻기 위하여 다양한 무기질소원과 유기질소원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무기질소원들 가운데 요소는 암모늄 형태의 질소원을 천천히 공급함으로써 생장과 mycophenolic acid 생산을 저해하는 배양액의 급격한 pH 하락을 일으키지 않았다. 요소를 첨가한 실험구는 질산암모늄을 첨가한 대조구보다 발효 생산성이 3.6배 증가하였다. 카제인, 펩톤, casamino acid 같은 우유 단백질 유래 유기질소원들은 대조구에 비하여 mycophenolic acid 발효 생산성을 최고 3.4배까지 증진시켰다. 카제인의 가수분해물인 펩톤과 casamino acid는 mycophenolic acid 발효 생산성뿐만 아니라 세포 생장도 촉진하였다.

생육촉진물질이 첨가된 난백분말과 카제인으로 만든 젖산균 발효식품의 동결건조 (Freeze Drying of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Food Prepared from Egg White Powder and Casein Supplemented with Growth Stimulating Agent)

  • 고영태;이은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337-1344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난백분말과 카제인 기질에 생육촉진물질을 첨가하여 만든 젖산균 발효식품의 동결건조에 의한 젖산균 생균수의 변화, 관능성의 변화, 경도,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동결 또는 동결건조에 의하여 젖산균 발효식품의 pH 거의 변화가 없으나, 생균수는 동결, 특히 동결건조 도중에 급격히 감소하였고, 동결 전의 균수를 I00%로 했을 때, 동결 후의 생존율을 $72.0{\sim}82.4%$, 동결건조 후의 생존율은 $10.0{\sim}20.4%$였다. 동결건조 전 시료와 동결건조-환원된 시료의 관능성을 비교하여 보면, 대체적으로 동결건조 전의 시료가 동결건조-환원된 시료보다 관능성이 우수하였으나, 동결건조시킨 고체상의 발효유 및 젖산균 발효식품도 환원성이 뛰어나고 기호도가 양호하였다. 동결건조 전의 젖산균 발효식품과 동결건조-환원된 젖산균 발효식품의 휘발성 향기 성분의 변화를 보면, 동결건조에 의하여 모든 시료의 휘발성 향기 성분의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그 감소 정도는 시료 별로 차이가 있었다.

  • PDF

체세포배발생을 통한 오일팜나무(Elaeis guineensis Jacq.) 클론의 기내증식 및 RAPD를 이용한 체세포변이의 검정 (In vitro propagation of oil palm (Elaeis guineensis Jacq.) clones through somatic embryogenesis and analysis of somaclonal variation by RAPD)

  • 안인숙;박혜림;손성호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9권3호
    • /
    • pp.196-204
    • /
    • 2012
  • 본 실험은 오일팜나무에서 somatic embryo mass(SEM)를 유도한 후 이로부터 식물체 분화를 통한 클론묘 대량증식 시스템을 확립하고, 기내 배양에 의하여 야기된 체세포변이의 확인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오일팜 조직배양묘의 정단 부분을 $NaH_2PO_4{\cdot}2H_2O$와 카제인이 첨가된 1/2MS 수정 배지에 배양하여 체세포배성 캘러스를 유도하였다. 유도된 체세포배성 캘러스는 몇 번의 계대배양을 통하여 SEM으로 발달하였다. SEM 조직은 단단하며, 강하게 붙어있어서 개개의 체세포배를 따로 분리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SEM 조직을 $NH_4NO_3$, 카제인, L-ascorbic acid가 첨가된 MS 수정 배지에 배양하였을 때 신초가 성공적으로 분화하였다. 기내 오일팜나무를 야외로 순화하여 완전한 오일팜나무 클론묘를 획득할 수 있었다. 기내 배양묘 중 건강하고 생장이 양호한 신초를 무작위로 95 개체를 선발하여 RAPD 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19개의 random primer를 사용하여 95 개체에 대한 RAPD를 수행한 결과, 대부분의 primer에서는 동일한 밴드 형태를 보여 어떠한 변이도 감지할 수 없었다. 그러나, MspI으로 절단된 genomic DNA를 BNR36 primer로 PCR을 수행하였을 때, 개체 간 차이를 보이는 밴드 형태를 나타내어 체세포변이를 감지할 수 있었다. 95 개체 중 #22, #28, #35, #77 의 4 개체에서 약 1kb 부근의 밴드 하나가 없었으며, 그 중 #28, #35, #77의 밴드 강도는 정상 밴드보다 월등히 강한 것을 확인하였다. NCBI 분석 결과, 이 변이 밴드는 오일팜나무의 엽록체 게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오일팜나무의 클론묘 대량증식 시스템을 확립할 수 있었고, RAPD 분석을 통하여 기내 상태에 있는 조직배양묘의 체세포 변이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방법 확립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