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카본

Search Result 1,00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Electrical Properties and Synthsis of Large Area Conductive Nano Carbon Films by Linear Ion Beam Source

  • Yeo, Gi-Ho;Sin, Ui-Cheol;Yu, Jae-M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220.1-220.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PECVD 공법 중에 이온화 에너지가 높은 선형이온빔 소스를 이용하여 고온에서 전도성 카본박막을 코팅하였다. 카본 박막 코팅을 위한 Precursor는 $C_2H_2$ gas를 이용하였으며, 온도에 따른 카본 박막의 전기적 특성 및 두께에 따른 카본 박막 성장 구조를 분석하였다. 카본 박막의 전기적 특성은 Interfacial contact resistance (ICR)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접촉 저항 측정을 위한 모재는 SUS316L stainless steel을 사용하였고 카본 박막 성장 구조 분석을 위해서는 폴리싱된 Si-wafer를 사용하였다. 선형이온빔 소스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증착한 카본 코팅의 접촉저항 값은 50 nm 코팅 두께에서 $660m{\Omega}cm^2@10kgf/cm^2$으로 비정질상의 특성을 나타냈으며, 고온에서는 $14.8m{\Omega}cm^2@10kgf/cm^2$으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정질상의 카본 박막이 전도성을 가지는 카본박막으로의 성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도성 카본 박막의 성장 구조 분석은 FE-SEM 및 Raman spectrum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코팅 두께가 증가할수록 카본 입자들은 수nm에서 약 150 nm의 카본 cluster를 형성하며 성장하였다. 이때 전도성 카본 박막의 두께에 따른 접촉저항의 값은 고온 조건에서 카본 박막의 두께가 약 100 nm일 때, $12.1m{\Omega}cm^2@10kgf/cm^2$의 가장 낮은 값을 가졌다. 위의 결과를 경제성이 아주 우수한 대면적 전도성 나노 카본 박막의 상용화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미국의 카본 블랙 시장 분석

  • Yurcick P.A
    • The tire
    • /
    • s.96
    • /
    • pp.21-29
    • /
    • 1981
  • 현재 미국에서는 카본블랙 시장에 영향을 주는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즉, 카본블랙의 원료유 가격인상, 종류별 사용량의 변화, 가격인상 압력 등, 이 모든 요인들이 앞으로의 카본블랙 공업의 방향을 결정하게 될 것이다.

  • PDF

Joint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 composite solder (탄소나노튜브 복합솔더의 본딩특성)

  • Ko, Young-Ki;Sa, Yoon-Ki;Choi, Yu-Ri;Lee, Chang-Woo;Yoo, Se-Hoon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9.11a
    • /
    • pp.74-74
    • /
    • 2009
  • 카본나노튜브(CNT) 복합체는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카본나노튜브(CNT)를 간단한 볼밀공정을 사용하여 Sn3.5Ag solder ball과 SAC305 powder 표면에 혼합하고 이를 통해 접합부 특성을 관찰하였다. 볼밀을 실시하기 전 카본나노튜브(CNT)는 초음파을 이용하여 분산을 실시하였다. Sn3.5Ag solder ball의 직경은 450um이고 SAC305 powder의 직경은 약 30um이었으며 이때 사용한 볼밀볼의 직경은 각각 3mm, 1mm이다. 볼밀 회전속도는 약 300rpm이고 6, 12, 18, 24시간동안 볼밀을 실시하였다. 24시간 볼밀 후에도 solder ball과 solder powder의 모양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SEM을 통해 표면을 관찰한 결과 분산된 카본나노튜브(CNT)는 solder ball과 solder powder의 표면에서 관찰되었다. 카본나노튜브(CNT)가 삽입된 solder ball은 BGA coupon 위에 놓고 Reflow를 실시하여 접합하였고 solder powder은 flux를 첨가하여 paste로 제조하여 2012 chip에 대한 접합특성을 관찰하였다. 카본나노튜브(CNT)는 solder ball 내부의 표면근처에서 관찰되었으며 카본나노튜브(CNT)가 혼합된 solder ball은 Aging 실시 후에 IMC 두께가 카본나노튜브(CNT)가 혼합되지 않은 solder ball에 비해 두께가 작고 접합강도는 약 10% 증가하였다. 또한 카본나노튜브(CNT)가 혼합된 solder paste와 카본나노튜브(CNT)가 혼합되지 않은 solder paste를 비교한 결과 인쇄성은 모두 양호하였으며 카본나노튜브(CNT)가 혼합된 paste를 사용한 chip의 전단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 PDF

Effects of Surface-modification of Carbon Black on the Characteristics of Polymerized Toner (카본블랙의 표면개질이 중합토너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 Lee, Eun Ho;Kim, Dae Su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1 no.5
    • /
    • pp.628-633
    • /
    • 2013
  • Carbon black was surface-modified to prepare styrene-based suspension polymerized toner with excellent carbon black dispersibility inside toner particles. Carbon black was oxidized first to introduce hydroxyl groups on the surfaces, then esterification between the hydroxyl groups and carboxyl groups of organic acids (oleic acid, palmitic acid, acrylic acid) was followed to obtain organically surface-modified carbon black. The surface-modification of carbon black was confirmed by FTIR. Apparent carbon black dispersibility in the monomer mixture of the binder resin was tested and the particle size of dispersed carbon black was measured by particle size analyzer. Optical micrographs showed that carbon black dispersibility inside toner particles was improved considerably when the carbon black surfacemodified with oleic acid was used. The polymerized toner prepared with the carbon black surface-modified with oleic acid showed ideal particle size and size distribution as a toner.

전력케이블용 CNT 반도전 컴파운드의 특성 연구

  • Yang, Jong-Seok;Bae, Hye-Yeon;Jeon, Geun-Bae;Seong, Baek-Ryong;Park, Dong-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157-157
    • /
    • 2009
  • 다층카본나노튜브(MWCNT) 를 첨가한 전력케이블용 CNT 반도전 컴파운드를 용융혼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카본나노튜브, 카본블랙, 분산제, 가교조제 함량변화에 따른 초고압 CNT 반도전 컴파운드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카본나노튜브 단독, 카본나노튜브와 전도성 카본블랙을 혼용함에 따른 상승효과, 분산제와 가교조제 사용에 따른 초고압 전력케이블용 CNT 반도전 컴파운드의 우수한 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피치계 카본 부극재료의 리튬이차전지 반응특성 연구

  • 박영태;김정식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119-122
    • /
    • 1999
  • 페트롤리엄 피치와 콜타르 피치를 열분해하여 제조한 카본을 리튬이차전지용 부극재료로 사용한 반쪽전지를 제작하여 전극의 충방전 용량 및 cycle 특성, 카본의 열처리 온도와 용량과의 관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초기 충방전 용량은 콜타르 피치 카본의 경우 현저한 증가를 보였으며 페트롤리엄 피치 카본에서는 지속적인 증가를 보이다가 100$0^{\circ}C$ 이상의 온도부터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충방전 횟수가 증가할수록 충전용량은 감소하지만, 가역특성(reversibility)은 90% 이상으로 향상되었다.

  • PDF

Analysis of blue carbon storage research trends and consideration for definitions of blue carbon: A review (블루카본 저장 연구 동향 분석 및 블루카본의 정의에 대한 고찰: 리뷰)

  • Kyeong-deok Park;Dong-hwan Kang;Won Gi Jo;Jun-Ho Lee;Hoi Soo Jung;Man Deok Seo;Byung-Woo Kim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6 no.1
    • /
    • pp.82-91
    • /
    • 2024
  • In this study, research cases related to blue carbon storag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nd various definitions of blue carbon were considered in terms of spatiotemporal scope and scientific aspect. 444 pap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cases related to blue carbon storage, and analysis of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by year/country and keywords was performed. Publication of papers related to blue carbon storage has continued to increase since 2011, and more than 50 papers have been published annually since 2018. The most publications by country were in Australia with more than 100 papers, and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lso published more than 60 papers. Key terms related to "natural environment" and "storag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 the sentences defined in the 23 papers that presented the definition of blue carbon. The natural environments where blue carbon was stored were mostly mangroves, salt marshes, and seagrass beds, and blue carbon repository included sediments and even plants themselves. The existing definition of blue carbon focused on the vegetation environment as the storage environment for blue carbon. However, since blue carbon is stored in the sediments of coastal wetlands, it would be appropriate to define the coastal ecosystem, including non-vegetated mudflats, as the storage environment for blue carbon.

이온빔 보조 증착으로 제조된 카본 박막의 특성 연구

  • 손민규;박형국;손영호;박노길;정재인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132-132
    • /
    • 1999
  • 카본 박막은 내마모성, 내산성, 윤활성 및 높은 경도를 가지고 있어, 경질 박막 및 기능성 박막으로 주목을 받고 있으며 그 응용 분야가 매우 크다. 본 연구는 전자빔(Electron Beam)을 카본 grain을 증발시킴과 동시에 아르곤 보조 이온빔을 조사시켜 이온에너지에 따른 박막의 물성변화를 관찰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이용한 이온빔 증착 장치의 장점은 이온 충돌 에너지의 조절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카본 박막의 제조는 이온빔이 증착된 고진공 증착 장치를 이용하였고 이원빔원으로는 Oxford Applied Research 사의 RF 방전형 이온빔을 이용하였다. 배기장치는 유회전펌프와 터보펌프를 사용하였다. 기판은 홀더에 장착하기 전에 전처리를 거친 후 용기 내에서 이온빔에 의해 2차 청정을 하였다. 빔전압이 500V, 빔 전류는 4mA/cm2 및 RF power를 400W로 하여 기판 청정을 거친 후 전자빔을 이용하여 흑연을 증발시켜 박막을 제조하였다. 이때 이온빔 전압을 100~500V, RF power를 400~550W 으로 조절하였다. 카본 grain을 Si 및 Slide Glass 기판위에 1$\AA$/sec의 증착율을 유지하면서 증착하였다. 카본 박막의 박막은 평균두께는 0.3~0.4$\mu\textrm{m}$이며 SEM을 이용하여 단면을 관찰하였다. 라만 분광분석을 통하여 비정질 카본 박막의 결합특성을 조사하였고 scratch tester를 이용하여 박막의 밀착력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카본 박막의 전도도 특성을 알고자 비저항을 측정하였으며, 박막의 성분 분석을 위한 AES 분석을 하였다. 1)AES 결과:표면에서와 박막 내부에서는 불순물인 산소나 질소의 함량이 거의 존재하지 않음을 관찰하였다. 2)경도:1,000~1,400kg/mm2 3)라만 분광 분석:300V의 이온 에너지를 분기로 박막 구조의 변화에 의한 스팩트럼의 변화를 보였다. 4)비저항:10-2~10-1$\Omega$.cm

  • PDF

스퍼터링으로 제조된 비정질 카본박막의 특성

  • 박형국;정재인;손영호;박노길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131-131
    • /
    • 1999
  • 비정질 카본 박막은 다이아몬드와 유사한 높은 경도, 내마모성, 윤활성, 전기절연성, 화학적 안정성, 그리고 광학적 특성을 가진 재료로서 플라즈마 CVD를 이용한 합성방법으로 제조된 박막이 주로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을 이용하여 다양한 조건의 카본 박막을 제조하였다. 카본 박막의 제조는 이온빔이 장착된 고진공 증착 장치를 이용하였고 시편의 청정시 사용된 이온빔의 조건은 빔 전압이 500V, 빔 전류는 0.1mA/cm2로 기판 청정을 거친 후 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을 이용하여 흑연을 증발시켜 박막을 제조하였다. 기판과 타겟의 거리는 13cm로 고정시킨 후 타겟 전류는 1A로 유지하면서 30분간 증착하였다. 기판은 Si-wafer와 glass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기판 인가전압, 아세틸렌 유량, 기판 온도등을 변화시켜가면서 각각 카본 박막을 제조하였다. 비정질 카본박막의 막은 평균 두께는 0.4~1.2$\mu\textrm{m}$이며 SEM을 이용하여 단면의 성장구조를 관찰하였다. 라만 분광분석과 FTIR 분광분석을 통하여 비정질 카본 박막의 결합특성을 조사하였고 scratch tester를 이용하여 박막의 밀찰력을 관찰하였다. 제조된 박막의 두께는 아세틸렌 가스 이용시 1$\mu\textrm{m}$ 이상의 박막의 제조가 가능하였으며 카본 박막의 라만 분광특성은 고체 탄소 물질의 S와 G-peak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판 인가전압, 아세틸렌 가스 유량 변화에 따른 peak의 위치 이동 및 FWHM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RFIR 결과는 아세틸렌 가스의 유량이 증가에 따라 C-H 결합 분포가 증가며 기판 인가 전압이 증가할수록 C-H 결합분포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냈다. 이는 이온 충돌 효과에 따라 결합력이 약한 C-H 결합이 우선적으로 파괴되는 현상으로 생각되어 진다. Scartch tester 측정 결과 박막의 밀착력은 실험조건에 따른 경샹성은 보이고 있지 않으나 10N 정도이며 60N 이상의 강한 밀착력을 가진 박막도 제조되었다.

  • PDF

Effect of Acid-Base Characteristics of Carbon Black Surfaces on Mechanical Behaviors of EPDM Matrix Composites (카본블랙 표면의 산-염기 특성변화가 카본블랙/EPDM 복합재료의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Park Soo-Jin;Kang Jin-Young;Hong Sung-Kwon
    • Polymer(Korea)
    • /
    • v.29 no.2
    • /
    • pp.151-155
    • /
    • 2005
  • The effect of acid-base treatments of carbon blacks (CBs) was investigated i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Bs/rubber composites.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the CBs were determined by the pH, acid-base values, and surface energetics. Their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s were also evaluated by the crosslink density $(V_e)$ and tearing energy (T). As an experimental result, acidically treated CBs led to the increase of the specific component $({\gamma}s^{sp})$, resulting in decreas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s. However, basically treated CBs showed a higher value of the dispersive component $({\gamma}s^L)$ than that of the untreated or acidically treated CBs. It was also found that the interaction of the CBs-rubber was improved, resulting in the improvement of the crosslink dens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s. It was then remarked that the acid-base characteristics of the CB surfaces made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ubber matrix compos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