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침투성실험

Search Result 57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Characteristics of Chloride Penetration in Cracked Flexural Member using Durable Materials (고내구성 재료를 사용한 휨부재의 균열에 따른 염화물 침투 특성)

  • Jin, Sang-Ho;Kim, Il-Sun;Kim, Myung-Yu;Yang, Eun-Ik;Yi, Se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08.11a
    • /
    • pp.401-404
    • /
    • 2008
  • Crack is a penetration path of harmful material such as chloride ion, and causes a serious deterioration in durability. So, the characteristics of chloride penetration are investigated for the cracked flexural concrete members using high-durable materials. For these, the flexural crack of beam specimen is introduced by transverse loading. And, Rapid Chloride Penetration Test (RCPT) and Long-term chloride penetration test are carried out to compare the chloride penetration depth. From test results when crack is happened, the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of the durable member was superior than that of the normal member. Blast furnace slag concrete member has a excellent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in long-term chloride penetration test.

  • PDF

Analysis of Flood Control Effects of Infiltration Gutter by Field Hydraulic Experiment (현장수리실험을 통한 투수성 침투측구의 치수효과 분석)

  • Lee, Chi-Hun;Lee, Hoon;Ahn, Jae-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71-171
    • /
    • 2012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로 서울을 비롯한 도시의 대규모 침수사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재난의 원인으로는 기록적인 집중호우의 영향도 컸지만 도시개발로 인한 불투수성 면적의 증가로 인하여 초기 우수배재가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이 대형피해의 원인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침투측구의 치수효과분석을 위하여 선행강우 조건 및 50, 100, 150mm/hr의 3가지 강우사상에 대하여 총 23회에 걸쳐 침투측구에 대한 수리실험을 완료하였고, 침투기능이 없는 일반 측구에 대한 실험도 침투측구 수리실험 조건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치수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침투 측구의 치수효과는 총강우량에 대한 총침투량, 총유출량, 유출시작시간, 종기침투능 및 종기침투능에 도달하는 시간 등을 산정하고 선행강우 조건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수리실험결과 가장 작은 강우강도인 50mm/hr 사상에서 측면에 설치된 침투측구의 치수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어. 침투측구의 경우 유출은 선행강우 조건이 없을 경우 일반 측구의 유출발생시간보다 약 53분 후에 발생하였으며, 선행강우 조건이 있을 경우 약 40분후에 발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투수성 침투측구에 대한 투수계수별 CN값을 산정하여 침투측구의 실무 적용방안을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여 풍수해저감을 위한 저감대책을 수립하고, 집중호우에 의해 발생되는 초기우수의 저류에 대한 정량적인 효과분석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ffect of Pressure on Liquid Absorbance in Main Wood Species of Pinaceae Grown in Korea Using Safranine Under Vacuum

  • Ahmed Sheikh Ali;Park Hyun-Dae;Chun Su-Kyoung
    •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 /
    • v.16 no.2 s.30
    • /
    • pp.1-11
    • /
    • 2005
  • 본 실험은 한국산 주요 침엽수인 소나무, 잣나무, 리기다소나무, 낙엽송의 safranine의 침투도를 실험하였다. 진공, 압력 및 safranine의 침투시간을 각각 다르게 하여 수종별 침투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진공조건의 변화에 따른 침투도 변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고, 압력조건의 차이에 의한 침투도는 다르게 나타났다. 목재의 방향별 침투도를 고찰한 길과 축방향, 방사방향, 접선 방향의 순서로 침투도가 높았다. 변재와 심재의 사이의 침투성을 고찰 한 결과 변재가 심재보다 쉽게 침투 되었다. 수종별 침투성을 고찰한 결과 소나무가 가장 우수했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Infiltration for Estimating Subsurface Runoff (지표하유출 산정을 위한 침투량의 비교분석)

  • Lee, Jae-Joon;Lee, S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40-540
    • /
    • 2012
  • 강우 발생시 유역에 집수된 물이 하천에 이르는 경로에 따른 유출은 지표유출, 지표하유출, 지하수유출로 구분된다. 정확한 수문순환 과정의 해석을 위해서는 지표 흐름뿐만 아니라 지표하 및 지하수 흐름의 해석이 중요한 실정이나 일반적으로 실무에서 사용되는 강우-유출해석 모형은 지표유출을 해석하기 위한 모형이 대부분이며, 지표하 유출과 침투량을 산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일반적인 강우-유출해석 모형은 Horton 방법, NRCS 방법, Green-Ampt 방법에 의해 유효우량을 분리하며, 이 과정은 침투량을 직접적으로 모형화 할 수 없으므로 지표 및 지표하, 지하수 흐름을 복합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모형이 질적이나 양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지표하 흐름과 침투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FE-FLOW, PM, MS-VMS, GMS, GW-VISTAS, ARGUS 및 MODFLOW와 같은 지하수 모형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표하유출 산정을 위한 침투량의 비교분석을 위해 현재 가장 범용되는 지하수 유동 모델링 프로그램인 Visual Modlfow 모형과 GMS 모형을 이용하여 침투량 산정을 위한 수치 모의를 진행하였다. 각 모형의 입력자료는 2009년 국립방재연구원에서 수행한 침투실험시설 자료를 이용하여 동일한 조건을 부여하고, 두 모형의 비교를 위해 Visual Modflow에서는 MODFLOW의 기본 해석방법인 유한차분법(FDM)을 이용하고, GMS 모형에서는 3차원 유한요소해석이 가능한 GMS-FEMWATER를 이용하였다. 두 모형의 수치모의 조건으로 2009년 국립방재연구원에서 수행한 침투실험방법과 동일하게 공극률에 따른 투수성 보도블럭의 구분과 50mm/hr, 100mm/hr, 150mm/hr, 200mm/hr의 강우강도별 선행함수조건에 따른 수치모의를 진행하였으며, 수치모의된 침투량의 적정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국립방재연구원의 침투실험 결과자료와 비교분석하였다. 침투실험 자료와 각각 수치모의된 침투량을 비교분석한 결과 서로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초기 침투시 상대오차가 비교적 크게 발생하였다. 이는 수치모형의 경우 수리실험과는 다르게 모의시작과 동시에 해당 강우강도의 침투가 시작되므로 초기 유입 유출량 발생시간의 차이가 종료시간까지 누적 침투량에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며, 매개변수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asic Properties of Penetrating repair material using Silicate-based Inorganic Materials (규산염계 무기 재료를 활용한 침투성 보수재의 기초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Ha, Sang-Woo;Oh, Sung-Rok;Choi, Yung-Wa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7
    • /
    • pp.39-45
    • /
    • 2017
  • In this study, permeable repair materials mainly composed of silicate - based inorganic materials(SIM), which are easily available domestically, were prepared as a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permeable repair materials using SIM. SIM were compared and examined for their performance as repair materials by selecting a product group which has many cases of use in foreign countries. The SIM used were mainly composed of sodium, potassium and lithium silicate. Performance evaluation of SIM was performed by absorption and penetration, compression and adhesion, rapid chloride ion penetration, rapid freezing and thawing, and chemical resistance test.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SIM showed effective performance in all areas, mainly because SIM permeates into the interior of the capillary and has a dense internal microstructure. Therefore, it can be used variously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concret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Hydraulic model experiment for infiltration in riverbank and its foundation (하부 투수층을 가지는 제방침투 수리모형실험)

  • Kim, Ji-Hyun;Lee, Nam-Joo;Yu, Kwon-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54-658
    • /
    • 2012
  • 국내에서 수행한 대부분의 제방 침투에 대한 수리모형실험 연구는 제체만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투수성 기초지반을 고려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 연구에서는 개정된 제방설계기준에 따른 1:3의 비탈경사와 투수성 기초지반을 가지는 제방의 침투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향후 제방침투 수치모의에 필요한 검보정 자료를 확보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위치한 낙동강 제2하구둑 건설 현장에서 제체의 재료를 채취여 입도분석과 들밀도시험을 통해 제방의 건조단위중량과 다짐도 및 제방의 투수계수는 각각 $1.372g/cm^3$, 93%, 1.35 m/day이며 통일분류법의 SM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0.45 m, 0.50 m, 0.55 m, 0.60 m의 4가지 수위(각각 Case-1~4) 조건에 대하여 정상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실험을 계속한 결과 각각의 실험조건별 침윤선은 대체로 동일한 양상을 보였지만 몇 지점에서 위압수두계 수위의 이상점이 발견되었다. 제방을 해체하면서 원인을 찾아본 결과 머드볼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침투 흐름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nalysis of Infiltration Capacity of the Permeable Block (투수성 보도블록의 침투능 분석에 관한 실험적 연구)

  • Lee, Hoon;Jung, Do-Joon;Kim, Young-Bok;Kim, Yun-T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9 no.4
    • /
    • pp.99-106
    • /
    • 2009
  • This research was to estimate quantitative infiltration volume of permeable block which is one of runoff reduction infiltration facilities. In this research, the permeable block experiments estimating infiltration volume for 50, 100, 150, 200 mm/hr rainfall intensity were carried out and hydraulic experiments results were compared with numerical simulation output to produce feasibility of numerical simulation. Final infiltration capacity analysis of permeable block hydraulic experiments reveals that every estimated infiltration volume before runoff beginning was above approximately 300.0 l despite rapid reduction of infiltration ratio and runoff initiation time were occurred in every rainfall intensity. Statistical calculation for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based on cumulative infiltration volume of hydraulic experiment and numerical simulation resulted in a high correlationship as $0.958{\sim}0.996$.

Durability Evaluation of Inorganic-Impregnated Concrete Exposed to Long-Term Chloride Exposure Test (무기계 침투제를 적용한 콘크리트의 장기폭로실험을 통한 염해 내구성 평가)

  • Kwon, Seung-Jun;Park, Sang-Soon;Lho, Byeong-Cheol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20 no.3
    • /
    • pp.283-290
    • /
    • 2008
  • The repair technique using surface impregnation of reactive compound is so effective for deteriorated concrete structures that many researches are recently focused on these works. Particularly, inorganic impregnant is regarded as ecofriendly material because there is no air-pollution during manufacturing process as well as field coating works. Furthermore, The delamination between old concrete and impregnated surface does not occur, resulting from different materi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evaluate the durability performance of surface-impregnated concrete, durability evaluation through the long-term exposure tests is significant, however, experiments are usually limited to the temporary and qualitative laboratorial scope. In this study, durability characteristics for inorganic and organic/inorganic impregnated concrete specimens are evaluated through longterm chloride exposure test. The specimens with 21MPa and 34MPa strength have been prepared and exposed to chloride attack in the atmospheric, tidal, and submerged conditions. Evaluation for compressive strength, chloride penetration, and electrical potential (half cell potential) for steel corrosion are performed for the specimens exposed for 2 years. From the results, no distinct strength gaining is observed but the resistance to chloride penetration and steel corrosion is evaluated to be improved through surface impregnation. The more improved resistance to chloride attack is measured in the inorganic impregnated concrete and the results from atmospheric condition show more improved resistance to chloride attack than those from submerged and tidal condition.

A Infiltration Analysis in Unsaturated Porous Layer with Permeable Sidewalk Block (투수성 보도블록에서의 불포화 투수층 침투 해석)

  • Lee, Jae-Joon;Lee, Ye-Hee;Kwak, Cha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05-905
    • /
    • 2012
  • 현재 도시유역의 홍수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우수유출 저감시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침투형 우수유출 저감시설의 경우 침투량 산정에 필요한 여러 인자 중 토성에 의해 저감 능력에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강우시 침투로 인한 토양내 함수비의 변화와 선행강우 조건 등에 의해 정량적인 분석이 어려워 활용도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9년 국립방재연구원에서 시행한 침투실험 자료의 조건과 동일하게 투수계수 및 형상이 다른 두 종류의 투수성 보도블록 A, B와 토양내 선행강우의 유무에 대하여 표 1과 같이 검증 케이스로 구분하고, 4 가지의 강우강도로 모의 조건을 설정한 후 불포화 투수층의 침투해석을 실시하고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모의결과에 대한 검증을 시행하였으며, 모의 결과의 검증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통계적인 적합도를 나타내는 평균제곱오차(RMSE), 평균편차비율(PBIAS), 모형 효율성 계수(NSE), 지속성 모형효율성 계수(PME)을 산정해 보았다. 검증 결과 그림 1과 같이 투수성 보도블록 B의 형태가 투수성 보도블록 A의 형태보다 적합도가 높게 나타났고, 50mm/hr의 강우강도에서 변동성이 크게 나타났으나, 50mm/hr를 제외한 나머지 강우조건에서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으며, 선행강우가 있는 조건이 선행강우가 없는 조건에 비해 높은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 PDF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Hydraulic well through Large-scale Embankment Test (대형제방실험을 통한 Hydraulic well의 효용성 검증)

  • Park, Min-Cheol;Kim, Jin-Man;Moon, In-Jong;Jin, Yoon-hwa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10
    • /
    • pp.24-35
    • /
    • 2017
  • This paper reports the results of afield appliance study of the hydraulic well method to prevent embankment seepage, the large-scale embankment experiment and seepage analysis to examine the traits of the seepage pressure. The experimental procedure was focused on the pore pressure after examining the detected value of the pore pressure gage. The inner water levels of hydraulic well were compared with the pore pressure data, which were used to inspect the seepage variations. Two different large-scale experiment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ints of the hydraulic wells. The decrease in seepage pressure reached a maximum of 37%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experimental pore pressure result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analyses. In addition, the pore pressure oriented from the water level variations of the hydraulic well showed similar patterns between the experiment and analysis, but if the hydraulic well was deeper, the analyzed water levels were larger than the experimental val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