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침투성농약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1초

Xenorhabdus nematophila K1 대사물질 3-(4-hydroxyphenyl)-propionic acid의 고추 역병과 탄저병에 대한 방제 효과 (Control Effects of 3-(4-Hydroxyphenyl)-propionic Acid Isolated Xenorhabdus nematophila K1 against Phytophthora Blight and Anthracnose of Red Pepper)

  • 천원수;김도연;김용균;홍용표;이영근
    • 식물병연구
    • /
    • 제19권3호
    • /
    • pp.208-215
    • /
    • 2013
  • 3-(4-Hydroxyphenyl)-propionic acid (HPP)는 곤충 병원 세균인 Xenorhabdus nematophila K1의 대사산물이다. 이 물질의 고추의 역병과 탄저병에 대한 방제가능성을 평가하였다. HPP는 역병균과 탄저병균의 균사생장을 현저하게 억제하였다. 이 항균력은 자연 태양광 아래에서 25일이상 유지되었으며, 토양수 내에서도 상실되지 않았다. HPP의 고추 뿌리를 통한 식물체 내 침투 및 상향이행성이 입증되었다. HPP 현탁액을 고추의 근권토양에 관주하고 지상부에 10일 간격으로 살포하였을 때, 약해 발생 없이 역병과 탄저병 발생이 크게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HPP를 고추 역병 및 탄저병 방제를 위한 침투성농약으로 개발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담배가루이 Biotype B와 Q의 약제감수성과 효소활성 비교 (Comparison of insecticide susceptibility and enzyme activities of biotype B and Q of Bemisia tabaci)

  • 김은희;성재욱;양정오;안희근;윤창만;서미자;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20-330
    • /
    • 2007
  • 충북 진천군 이월면 장미재배지와 경남 밀양시 고추밭에서 채집한 담배가루이에 대해서 16S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각각의 PCR 산물을 EcoT14 I (Sty I)과 Stu I을 처리한 결과 경남 밀양시 고추밭에서 채집한 담배가루이는 Sty I 에서 555pp와 311bp 두 개의 단편이 만들어져 biotype Q임을 확인하였고, 충북진천군 장미재배지에서 채집한 담배가루이는 Stu I에서 560bp와 3060p 두 개의 단편이 만들어서 biotype B임을 확인하였다. 두 biotype에 대한 12종 살충제로 발육단계별 약제감수성, 침투이행성 및 잔효성을 비교하였고, esterase, acetylcholinesterase (AChE), glutathione S-transferase 등의 효소활성에 미치는 저해정도를 검토하였다. 두 biotype간에 약제감수성 차이가 있었고, biotype B가 Q보다 더 감수성이었다. 엽면침투이행성과 근부침투이행성 및 잔효성에서도 biotype B가 Q보다 더 감수성이었다. 유기인계인 fenitrothion과 카바메이트계인 fenothiocarb의 저해제에 대해서 esterase, acetylcholinesterase (AChE), glutathione S-transferase등의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biotype Q가 B보다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담배가루이 biotype Q가 B보다 약제에 대해서 저항성임을 알 수 있었다.

아메리카잎굴파리 (Liriomyza trifolii)에 대한 살충활성과 방제효과 (Activity and control effects of insecticides to American serpentine leafminer, Liriomyza trifolii(Diptera: Agromyzidae))

  • 김길하;이영수;박선영;박용석;김정화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6-5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33종의 살충제에 대한 아메리카잎굴파리 (Liriomyza trifolii)의 발육단계별 약제감수성을 조사하고, 약제를 선발하여 침투이행성, 잔효성 및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아메리카잎굴파리 알에 대해서는 spinosad가 70%의 살충률을 보인 것 외에 대부분의 약제들은 살충활성이 낮았다. 갓 부화한 유충에 대해서는 abamectin, cartap, emamectin benzoate, diflubenzuron + chlorpyrifos, milbemectin이 90%이상의 높은 살충활성을 보였다. 유충 ($2{\sim}3$령)에 대해서는 abamectin, cartap, cyromazine, emamectin benzoate, diflubenzuron +chlorpyrifos가 95% 이상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번데기에 대해서는 cartap + buprofezin이 98.6%의 놀은 살충활성을 나타내었고, 성충에 대해서는 모든 약제가 70% 이하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알에 대해서 emamectin benzoate와 milbemectin은 각각 53.3, 47.9%로 중간정도의 엽면침투이행성을 보였으며, 나머지 약제들은 낮았다. 유충과 성충에 대한 침투이행효과는 시험한 6약제 모두 30% 이하이었다. Abamectin, emamectin benzoate, milbemectin의 잔효성은 약제처리 후 10일째까지 각각 91.4, 90.4, 91.9%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4일째에도 85%이상의 살충활성을 나타냈다. 방제효과 시험에서 abamectin, cyromazine, emamectin benzoate, milbemectin은 약제처리후 14일째까지 각각 96.0, 97.4, 94.5, 95.4%의 놀은 방제가를 나타냈다. Cartap과 cartap + buprofezin이 강남콩잎에 약해를 나타내었으나 그 외 약제들은 약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abamectin, emamectin benzoate, milbemectin은 아메리카잎굴파리의 방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고체상에서 환팽창 반응에 의한 카르복신 유도체의 합성시도 (Attempted Synthesis of Carboxin Derivative through Ring Expansion Reaction on Solid Phase)

  • 한호규;배수열;남기달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85-190
    • /
    • 2005
  • 최초의 침투이행성 농약 살균제, 카르복신 1의 유도체인 16을 고체상에서 합성하였다. 1,3-옥사티올란 유도체를 아실화 반응성을 갖고 있는 4-하이드록시-3-나이트로벤조페논 고체상 6에 연결하여 9를 82%의 수율로 합성하였다. 고체상의 1,3-옥사티올란 9의 황원자를 MCPBA로 산화한 다음 생성된 설폭사이드 10을 산촉매 존재하에서 환팽창하여 상응하는 고체상에 연결된 다이하이드로-1,4-옥사티인 유도체 12를 합성하였다. 고체상의 1,3-옥사티올란 9의 산화물을 p-메톡시아닐린과 반응시켜 1,3-옥사티올란 14, 1,3-옥사티올란 설폰 15, 다이하이드로-1,4-옥사티인 16, 그리고 아세토아세트아닐라이드 유도체 17을 각각 41%, 35%, 14%, 10% 수율로 얻었다.

고추의 부위별 카벤다짐과 클로르피리포스의 잔류 양상 (Residue of Pesticides Carbendazim and Chlorpyrifos in Different Parts of Red Pepper)

  • 박해인;황재문;김병수;이미경;최영욱;이민호;정은정;김정한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46-253
    • /
    • 2011
  • 재배형태별(노지, 비가림 하우스)로 고추의 재배에 사용되는 carbendazim과 chlorpyrifos의부위별 잔류량에 대해 조사를 하였다. carbendazim과 chlorpyrifos 모두 농약 살포 2시간 후에는 비가림하우스보다 노지에서 잔류량이 높았으며, 시일이 경과한 5일과 10일 후에는 오히려 비가림하우스에서 높았다. 노지에서 초기 농약잔류가 비가림하우스보다 높음에도 불구 하고 농약의 분해가 더 빨랐다. 시간이 경과하여 5일차에는 carbendazim이나 chlorpyrifos은 과탁/과경 > 과경/과탁 > 과육의 순으로 농약 잔류가 높았으며, 잎의 농약잔류량은 다른 부위보다 아주 높았다. carbendazim과 chlorpyrifos의 경감율은 수확이 늦추어짐에 따라 감소되지만, 10일차에 과육에서 19.1%와 66.4%, 과탁에서 45.2%와 62.3%, 그리고 과경에서 41.6%와 72.0%로 각각 나타났다. 또한 15일차의 경감율은 과육에서 31.1%와 75.3%, 과탁에서 43.5%와 81.7%, 그리고 과경에서 47.7%와 82.8%로 나타났다. 따라서 carbendazim은 과탁 > 과경 > 과육의 순으로, chlorpyrifos는 과경 > 과탁 > 과육의 순으로 경감율을 보였다. 잔류량 반감기는 carbendazim에서 과육은 29.6일, 과탁은 13.6일, 과경은 16.0일 이었고, chlorpyrifos에서는 과육 8.3일, 과탁 8.3일, 과경 6.3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침투성농약인 carbendazim이 chlorpyrifos보다 반감기가 모든 부위에서 길었으며, 부위별로는 두 성분 다 과육에서 반감기가 긴 것으로 나타났다.

몇가지 작물중 침투성 살충제 carbofuran의 잔류 및 안전성 평가 (Residue analysis of the systemic insecticide carbofuran in some crops and its safety evaluation)

  • 이재구;최신종;경기성;안기창;권정욱
    • 농약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37-46
    • /
    • 1999
  • 침투성 살충제 carbofuran의 작물체중 잔류성과 그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carbofuran을 살포했을 것으로 간주되는 감자와 땅콩 및 마늘 시료를 주산지 부근의 대규모 시장에서 수집한 후 carbofuran과 carbofuran의 식물체중의 주 대사산물로 보고된 3-hydroxycarbofuran의 잔류량을 조사하고 carbofuran의 각 작물체내 대사 양상을 구명하기 위하여 각 작물의 phesphate buffer 추출액중 carbofuran의 분해실험을 수행하였다. 여러 지역의 시장으로부터 수집한 총 20 점의 완숙마늘 시료중 2점 (M-12와 M-16)의 시료에서 0.13과 0.07mg/kg의 carbofuran이 검출되어 10%의 검출빈도를 보였으나, 그 잔류량은 잔류허용기준인 0.5 mg/kg 보다 훨씬 작았다. 3-Hydroxycarbofuran은 총 20점의 시료중 1점 (M-12)의 시료에서 0.13 mg/kg이 검출되어 5%의 검출빈도를 보였으며, 풋마늘과 감자 및 땅콩 시료중 carbofuran과 3-hyoxycarbofuran의 잔류량은 분석결과 모든 시료에서 검출한계 미만이었다. 완숙마늘의 1일 섭취량에 근거한 carbofuran의 최대 섭취추정량은 0.0013mg으로 1일 최대섭취허용량인 0.55 mg의 0.24%이었으며, 마늘과 감자 및 땅콩시료에서 carbofuran이 검출되지 않아 마늘과 감자 및 땅콩 경작시 carbofuran을 사용하여도 생산물은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Carbofuran은 각 작물의 phosphate buffer 추출액중에서 주로 가수분해에 의하여 주 대사산물인 carbofuran phenol (m/z 164)을 생성하였으며, 그 양은 배양기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 PDF

데치는 시간이 침투성 및 비침투성 농약 처리 엽채류의 위해성 요인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lanching Time on Changes of Hazardous Factors in Leafy Vegetables Treated by Pesticides)

  • 안태현;전혜경;홍정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01-208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lanching time on changes of hazardous factors in leafy vegetables treated by systemic and non-systemic pesticides. Changes of hazardous factors in leafy vegetables treated by systemic and non-systemic pesticides showed the same trend. In changes of microbial counts in leafy vegetables according to blanching time, the total plate coun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blanching and total coliforms were not detected in any of the vegetables. In traceable metal contents of fresh vegetables before washing, the levels in spinach, chard and whorled mallow were 0.042, 0.040 and 0.032 ppm for Pb, 0.020, 0.023 and 0.019 ppm for Cd, and 0.029, 0.034 and 0.030 ppm for As, respectively. Therefore, the levels of Pb, Cd and As in leafy vegetables were very traceable and in terms of food safety there was no problem. On the other hand, the traceable metal contents in leafy vegetabl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y blanching and blanching time. Nitrate contents in fresh vegetables before washing were detected at traceable levels. The nitrate contents in spinach, chard and whorled mallow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22\%,\;17\%\;and\;14\%$ after blanching time of 5 min, 9 min and 10 min, respectively.

베타-케토아세트아닐라이드 염화물 유도체의 토마토 역병에 대한 작용 특성 (Biological properties of $\beta$-ketoacetoanilide chlorides against late blight of tomato)

  • 최경자;장경수;김진철;이선우;조광연;남기달;한호규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7-144
    • /
    • 2004
  • 페닐기의 4 위치(para)에 치환체가 존재하는 베타-케토아세트아닐라이드 염화물은 선택적으로 토마토 역병에 대하여 살균 활성을 보였다. 베타-케토아세트아닐라이드 염화물 5종(KIST163, KIST170, KIST260, KIST263, KIST267)을 선발하여 이들의 토마토 역병에 대한 예방효과, 치료효과, 침투이행성, 약효 지속성 및 성체실험과 같은 약제의 작용특성을 조사하였다. 그들 모두는 예방효과를 보였으며, KIST163과 KIST170의 $EC_{50}$은 각각 21.9와 $14.5{\mu}g/mL$로 우수한 예방효과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이들 화합물의 토마토 역병에 대한 치료효과는 거의 없었으며, 토양관주처리 후의 침투이행성에 의한 방제효과는 미미하였다. 접종 7일전에 처리한 KIST163과 KIST170의 $100{\mu}g/mL$는 75%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여 약효 지속성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토마토 성체를 이용한 토마토 역병 방제실험에서 5종 화합물 중 특히 KIST163과 KIST170은 방제효과가 높아 $100{\mu}g/mL$에서 95%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베타-케토아세트아닐라이드 염화물 유도체 5종은 주로 경엽처리 예방제이며, 이들 중 KIST163과 KIST170은 포장에서도 토마토 역병에 대하여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판단되었다.

딸기 중 침투성 및 비침투성 농약에 따른 잔류특성 연구 (Comparison of Residue Patterns for Systemic and Non-systemic Pesticides in Strawberry)

  • 유정선;곽혜민;장희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05-311
    • /
    • 2020
  • BACKGROUND: The healthy food trend has encouraged the consumption of natural products, including berries. This trend is expected to increase the strawberry consumption. There has been a concern about the exposure of pesticides approved for use on strawberry. In this study, the dissipation patterns of systemic and non-systemic pesticides were evaluated in strawberry under plastic-covered greenhouse conditions. METHODS AND RESULTS: Cyflumetofen and dimethomorph were applied on strawberry in the critical GAP (Good Agricultural Practices). Strawberries were harvested at 0, 1, 2, 3, 5, 7 and 10 days after final application of the pesticides. The analyses of the residual pesticides were performed by HPLC-DAD with C18 column. The limits of quantitation (LOQ) of cyflumetofen and dimethomorph were 0.04 and 0.02 mg/kg, respectively. The recovery of cyflumetofen and dimethomorph were 88.1 ~ 103.3% and 79.0 ~ 110.2% for the spiked two levels (LOQ and 10LOQ), respectively. The biological half-lives of cyflumetofen and dimethomorph werer 7.5 and 8.9 days, respectively. The dissipation rates in strawberry were calculated by the statistics method at a 95% confidence level. The distribution showed that pesticides with low log Pow were indicated by the decreased dissipation rate and pesticides with similar log Pow and low solubility also showed the decreased dissipation rate. CONCLUSION: The residues of cyflumetofen and dimethomorph in strawberry at time 0 after the final application were below the established MRL in Korea. The dissipation behavior of systemic and non-systemic pesticides in strawberry is affected by their log Pow and water solubility values.

신규 살충제 flupyrazofos의 배추좀나방에 대한 작용특성 (Property of action of new insecticide, flupyrazofos against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 김길하;문선주;장영덕;조광연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17-125
    • /
    • 1998
  • Flupyrazofos [O,O-diethyl-O-(1-phenyl-3-trifluoromethyl-5-pyrazoyl)thiophosphoric acid ester]는 trifluoromethyl기가 존재하는 피라졸계통의 유기인계 살충제이다. 이 화합물은 배추좀나방에 대해서 탁월한 살충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작은각시들명나방과 멸강나방에 대해서도 우수한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배추좀나방의 알, 번데기, 성충에 대해서는 살충효과가 떨어지지만, 유충은 발육 단계에 관계없이 강한 살충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살충효과의 발현속도는 매우 빨랐다($LT_{50}$=0.9 hrs, $LT_{95}$=4.5 hrs). 침투이행성 효과는 없었지만, 잔효성은 있었다. 유기인계, 피레스로이드계 및 IGR계 저항성계통에 대해서 비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채집지역별 살충제 감수성은 실내계통(S)과 큰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flupyrazofos는 야외에서 배추좀나방, 멸강나방, 작은각시들명나방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