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침출수량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3초

부정류 상태에서의 난지도 매립지 침출수 거동 예측 (The Behavior of Leachate on The Transient Condition in The Nanji Waste Landfill)

  • 강동희;조원철;이재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6권2호
    • /
    • pp.57-67
    • /
    • 2001
  • 본 연구는 난지도 매립지에서 기반암 및 풍화대층을 통해서 거동하는 침출수의 속도와 침출수량을 부정류 상태에서 예측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지하수 거동 모델인 MODFLOW와 지하수에 용해되어 있는 오염물질의 확산, 분산, 화학반응 등을 해석할 수 있는 MT3D를 이용하여 안정화 공사 이후 부정류 상태에서 침출수 거동을 해석하였다. 침출수 발생량은 최근 10년간의 기상자료를 이용해서 HELP모델로 산출하였다. 침출수 거동은 차수벽, 차수층 설치 전,후의 침출수위 변화에 의해 예측되었다.

  • PDF

목편살수여상 침출액비와 어분, 골분, 게껍질 혼합액을 이용한 상추의 수경재배 (Hydroponic Culture of Leaf Lettuce Using Mixtures of Fish Meal, Bone Meal, Crab Shell and the Pig Slurry Leachate of Woodchip Trickling Filter)

  • 류종원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5-226
    • /
    • 2010
  • 본 연구는 목편살수여상 pilot 장치를 설치하여 스크레파 축사에서 배출되는 뇨오수를 원수로 사용하여 가동한 후 침출액비를 공시재료로 하여 상추 양액재배 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침출액비 (SL) 단독처리구, 침출 액비+어분 (SL+FM), 침출액비+골분 (SL+BM), 침출액비+게껍질 (SL+CS) 혼합처리구. 침출 액비+부산물 (SL+FM+BM+CS) 혼합처리구, 대조구로 원예연 상추양액 (NS) 처리구 등 6개 처리구를 두었다. 침출액비와 부산물 혼합처리 후 전기전도도와 pH를 조정하여 상추의 양액재배를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목편살수여상 처리 과정중 pH는 처리 시작전 7.3에서 처리 후 8.5로 상승하였다. 전기전도도 (EC)는 처리전 17.05 mS/cm에서 처리 후 30일에는 9.7 mS/cm로 낮아졌다. 2. 침출액비는 부유물질 (SS)이 낮아 수경 재배시 관배수의 막힘문제 없이 활용이 가능하였다. 침출액비는 양분조성에서 칼륨함량이 높고 인산 함량이 낮았다. 3. 침출액비시용구 (SL)의 상추수량은 원예 연 표준양액재배 대비 75%를 나타내어 25% 수량저하를 나타내었다. 침출액비을 어분. 골분. 게껍질을 혼합한 처리구는 대조구 대비 85%. 79%. 80% 수량을 나타내어 어분의 첨가 효과가 가장 높았다. 침출액비와 어분 혼합액은 침출액비 단독처리구 보다 10% 증수를 나타내어 유기양액의 대체 원료로 사용이 가능 할 것으로 보인다.

새만금방조제에서 해수-담수 경계면 예측

  • 박유철;김강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532-535
    • /
    • 2003
  • 새만금 방조제를 통하여 새만금호로 유입되는 해수 침출수량과 새만금 방조제 내부에서의 해수와 담수 사이의 상호작용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는, 밀도 차이에 의한 흐름을 고려한 지하수 흐름 지배 방정식과 염류의 분산 및 이송 지배 방정식을 결합시킨 수치해석 모델이 이용되었다. 밀도류를 고려한 경우에는 밀도류를 고려하지 않았을 경우보다 해수 침출량은 다르지 않았으나, 해수 침출면의 길이가 축소되고 유속이 증가하였다. 부정류상태의 해수-담수 경계면은 정류 상태의 결과와 매우 달랐으며, 해수 침출면이 방조제의 하부가 아닌 상부에 존재함을 보였다.

  • PDF

침출수 재순환에 따른 매립가스 변화특성 연구 (Effect of Leachate Recirculation LFG Generation Characteristics)

  • 원승현;박대원
    • 유기물자원화
    • /
    • 제26권2호
    • /
    • pp.19-32
    • /
    • 2018
  • 본 연구는 침출수 재순환에 의한 매립가스에 대한 메탄가스 농도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실험대상 매립장 지역의 2010~2016년간 월평균 총강수량은 130.9mm, 2017년 6월 총강수량 73.7mm 이었다. 이러한 기상청 자료를 근거로 실험대상 매립장의 수분함수율은 낮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실험대상 매립장에 10개의 포집공을 선정하여 5톤의 침출수를 나누어서 투입하면서 매립가스 변화특성을 조사하였다. 침출수 투입하기 전 10개의 메탄가스 농도(평균) 투입전 30.14%, 투입후 메탄가스 농도(평균) 24.66%(6월 21일), 31.51%(6월 24일), 36.68%(7월 1일), 52.47%(7월 25일)로 메탄가스 농도가 증가하였다. 본 실험대상 매립장의 경우 5톤의 침출수를 투입한 결과 매립지의 유기물질 분해에 필요한 최적 함수율 50~65% 범위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매립폐기물 성상변화에 따른 침출수 수량 및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Leachate Quantity and Quality with Different Composition of Municipal Solid Waste in Solid Waste Landfill)

  • 박진규;김혜진;정새롬;이남훈;김석찬
    • 유기물자원화
    • /
    • 제15권2호
    • /
    • pp.109-117
    • /
    • 2007
  • 침출수의 수량 및 수질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세 종류(소각재 100%, 소각재 70%+일반생활폐기물 30%, 생활폐기물 100%)의 모형매립조를 실제 기상조건하에서 운영하였다. 실험결과, 누적 침출수 발생률이 모형매립조 A와 B가 모형매립조 C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매립조 A는 pH가 pH 9~11의 범위였으나 시간이 경과하면서 중성으로 점차 변하였다. 염소이온은 소각재를 매립한 모형매립조 A와 B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모형매립조 C의 경우 낮게 나타났다. 생활폐기물을 충전한 모형매립조 C의 경우 침출수내의 유기물 농도가 다른 모형매립조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

시설재배작물(施設栽培作物)의 질소시비량결정(窒素施肥量決定)을 위한 토양질소(土壤窒素)의 공급력(供給力) 측정방법(測定方法) 비교(比較) (Comparison of Laboratory Methods to Determine the Potential Nitrogen Supply of Soils for Nitrogen Recommendation of Vinyl House Crops)

  • 곽한강;송요성;연병열;허범량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82-287
    • /
    • 1996
  • 시설재배지(施設栽培地)에 적합한 질소공급력(窒素供給力) 지표(指標)를 알기 위하여 토양유기물(土壤有機物), 총질소(總窒素), 6N HCl가용질소 및 2M KCl, 0.01M $CaCl_2$, 0.01M $NaHCO_3$ 침출질소(浸出窒素)와 배추의 수량(收量) 및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과의 관계를 비교(比較)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배추수량(收量)과 침출방법(浸出方法)에 따른 질소함량(窒素含量)과의 상관(相關)에서 2M KCl침출(浸出) 총(總) 무기태(無機態) 질소(窒素)(r= 0.789)와 질산태질소(窒酸態窒素) (r=0.765)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토양유기물(土壤有機物) > T-N > 0.01M $NaHCO_3$ 침출질소(浸出窒素) > 0.01M $CaCl_2$ 침출질소(浸出窒素) > 2M KCl침출(浸出) $NH{_4}^+-N$ > 6N HCl가용질소순(可溶窒素順)으로 2M KCl침출(浸出) 총무기웅질소량(總無機熊窒素量)과 질산태질소(窒酸態窒素)가 시설재배지(施設栽培地)의 질소시비추천(窒素施肥推薦)을 위한 우수(優秀)한 지표성분(指標成分)이었다. 토양(土壤) 중 질산웅질소량(窒酸熊窒素量)과 시비질소량(施肥窒素量)의 합(合)과 배추의 수량(收量) 및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과는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있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으며, 토양의 질소함량과 시비효율(施肥效率)과는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다. 토양질소침출방법별(土壤窒素浸出方法別) 질소함량간(窒素含量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에서 $NO{_3}^-+NH{_4}^+-N$는 0.01M $NaHCO_3$와 0.01M $CaCl_2$ 침출성질소(浸出性窒素), OM은 T-N와 6N HCl가용성(可溶性) 질소(窒素), T-N는 6N HCl가용성질소(可溶性窒素) 및 0.01M $CaCl_2$ 침출질소(浸出窒素)와 높은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 내었다.

  • PDF

집중호우시 발생하는 난지도 매립지내의 지하수 거동 (Estimation of the Groundwater Movement Under the Heavyrainfall at Nanji Waste Landfill)

  • 구태훈;조원철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6권3호
    • /
    • pp.107-117
    • /
    • 2001
  • 집중호우시 난지매립장내의 지하수 거동의 특징은 HELP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침출수를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에서 사용한 평균 침출수량 대신 집중호우기간동안 평균보다 70배정도 많은 양을 나타내는 실제 일별 침출수양을 입력하여 계산하였다. 이때의 지하수 거동특성은 MODFLOW를 사용하여 모사하였다. 그리고 난지도 매립장에 슬러지층의 새로운 층을 입력하였다. 이번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다르게 지하수위가 훨씬 높게 나타난다.

  • PDF

시설 오이의 관비재배를 위한 토양용액과 엽병즙액중 질산태 농도 기준 설정 (A Criteria on Nitrate Concentration in Soil Solution and Leaf Petiole Juice for Fertigation of Cucumber (Cucumis sativus L.) under Greenhouse Cultivation)

  • 임재현;이인복;김홍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16-325
    • /
    • 2001
  • 비료의 효율적 이용 및 과다 시비에 따른 환경오염을 경감하고자 토양 및 식물체 중 질산이온 분석을 통한 간이진단기술을 검토하였다. 농가현장에서 토양중 질산이온을 추출하기 위한 간이검정방법으로서 porous cup을 이용한 토양용액채취법과 생토용적추출법은 실험실 분석법인 2M KCl 침출법과 비교하였고, 질산이온 간이측정기구인 compact ion meter, nitrate ion meter, test strip-소형 reflectometer법 등에 의한 질산이온 측정값은 실험실 정밀 측정장비인 IC 측정값과 비교하였다. 토양내 질소수준이 다른 하우스환경 하에서 오이의 재배기간동안 토양용액채취법과 생토용적침출법에 의한 토양중 질산이온농도는 주기적으로 monitoring 하였고, 엽병중 질산이온농도는 엽병 위치별로 분석하였으며, 토양과 식물체중 질산이온 농도들은 오이의 최종 수량과 관련하여 2차 회귀식으로 plotting 하였다. 질산이온 간이측정장비로서는 test strip을 이용한 소형 reflectometer법이 실험실 정밀 분석법인 IC에 의한 측정값과 가장 밀접한 상관성을 보였다. Porous cup을 이용한 토양용액채취법은 관수후 경과시간, 토양깊이, 점적호스로부터의 거리 등에 따라 토양용액중 질산이온 농도의 공간적 변이가 컸으나, 생토용적침출법과 2M KCl 침출법간 질산함량은 높은 상관성이 인정되었다. 엽병즙액중 질산농도의 엽의 위치에 따라 질산농도의 변화가 심하였고, 토양내 질소 수준에 따라 상위엽과 하위엽간 질소 농도의 분포 또한 상이하였다. 토양 및 식물체 엽병중 질산함량과 오이수량간 2차 회귀식으로부터 최고수량과 일치하는 각각의 질산 함량 수준을 검토한 결과, 토양용액채취법은 $400mg\;l^{-1}$ 수준, 생토용적 침출법은 $300mg\;l^{-1}$ 수준, 엽병즙액의 경우는 $1400mg\;l^{-1}$ 수준이었다. 여기서 엽병즙액과 오이수량간 상관성은 pot 시험을 통해 비교하였고, pot 실험결과 $1500mg\;l^{-1}$ 수준의 엽병내 질산농도 수준에서 최고 수량을 보여 하우스 실험결과와 유사하였다.

  • PDF

중국의 유황시비 및 유환연구 개관

  • Cao Zhihong;Hu Zhengyi
    • 한국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물학회 1996년도 유황비료 국제 심포지엄
    • /
    • pp.61-72
    • /
    • 1996
  • 중국 토양표토의 유황함량은 27에서 967mg S/kg(평균 233.2mg S/kg, n=632)범위에 있다. 이중 홍토(Haplic Acrisols)와 황갈색토(Eutric Cambisols)는 양쯔 및 Huaihe강 사이에 중국 중앙에 분포하고 유황함량은 각각 146과 159mg S/kg이다. 황색 목장토(Gleyic Cambisols)와 회색 목장토(Umbric Fluvisols)는 가장 높은 전 유황함량과 가장 높은 유황공급력을 가지고 있으나 제일 인산석회 침출 유황함량(현지유효 유황함량으로 평가)은 가장낮다. 그러나 황갈색 및 홍토는 이와는 반대 특성을 지니고 있다. Shajiang 흑토(Calcic Vertisols)와 논토양(Mollic/Eutric Fluvisols과 Anthraquic 상)은 총 유황함량, 인산 침출 유황함량과 잠재 유황 공급력에서는 중간에 속하고 남부 Huaihe강에 걸쳐있는 논토양에서 유황함량은 재배기간중 균형 상태에 있으나 전(前)작물에서 특히 밀과 유채에서는 부족한 상태이다. 황산염($SO_4^{2-}$)은 토양중 상하로 이동 되면서 균형을 유지하여 토양 수분함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제일인산칼슘 용액침출 유황 함량을 가지고 표토에서 유황의 과부족을 진단하기는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중국에서 수행된 유황시비 시험에서 20개 작목에서 평균 $4.3-40\%$의 수량증수를 기록하였으며 유황시비는 증수뿐만 아니라 작물의 질을 개선하나 담배잎의 연소성은 유황함량과 부의 상관이 있다.

  • PDF

부산 석대 폐기물 매립장 일대의 지하수 오염 (Groundwater Contamination at the Seokdae Waste Landfill Area of Pusan City)

  • 정상용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8
    • /
    • 1995
  • 매립장에서의 쓰레기는 주변 지역에 지하수오염, 악취, 유독가스 발생 등 큰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부산시에서 만 6년 동안 사용해 왔었던 석대 폐기물 매립장 주변의 지하수 오염실태를 파악하고, 그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 연구를 목표로 매립장 주변의 우물과 시추공 내의 지하수위, 수질, 대수층 특성 등을 조사하고, 또 주변 하천의 수질, 매립장 일대의 지하수 분포 및 유동 상태 등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지하로 침투하는 순수 침출수량은 일 평균 약 520 m$^3$로 추정되며, 침출수에 의한 지하수 오염범위가 매립장 중심에서 약 1-1.5 km 정도 까지에 이른다. 오염물질도 중금속류를 비롯한 기타 유해 성분들이 다량 존재한다. 앞으로 이 일대의 지하수를 보전 및 관리하기 위해서는 매립장과 지하수오염물질이 확산되고 있는 곳에 감시정을 여러개 설치하여 지하수위와 수질을 주기적으로 조사하고, 채수정을 설치하여 오염된 지하수를 뽑아내어 침출수 처리장에서 처리한 후 하천에 방류하여야 한다. 아울러 지하수 오염물질이 확산되고 있는 매립장 주변 지역에 차수벽 설치가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