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침지식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19초

침지형 막결합 연속회분식 반응기의 운전에서 폐수의 도입단계가 제거효율과 여과성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illing Step on the Removal Efficiency and Filtration Performance in the Operation of Submerged Membrane-Coupled Sequencing Batch Reactor)

  • 김승건;이호원;강영주
    • 멤브레인
    • /
    • 제21권3호
    • /
    • pp.263-269
    • /
    • 2011
  • 침지식 막결합형 연속회분식 생물반응기에서 폐수의 도입단계가 제거효율과 여과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호기성 단계의 초기에 공급할 경우(Mode-1)와 무산소 단계의 초기에 공급할 경우(Mode-2)에 대하여 89일 동안 동시에 운전하였다. COD 제거효율과 여과성능은 2가지 운전방식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영양염류(총질소와 총인)의 제거효율에 있어서 Mode-2가 Mode-1에 비해 보다 효과적이었다. Mode-2의 경우 COD, 총질소 및 총인의 제거율은 각각 99.1, 73.3 및 77.7%이었다.

침지식 평판형 연속회분식 박반응기에서 유입 유기물 부하의 변화에 따른 영양염류의 제거 특성 (Nutrient Removal Characteristics on Organic Material Loadings in Submerged Flat Sheet Type Sequencing Batch Membrane Reactor)

  • 김승건;이호원;강영주
    • 멤브레인
    • /
    • 제20권3호
    • /
    • pp.241-248
    • /
    • 2010
  • $0.4\;{\mu}m$의 세공크기를 갖고 있는 평막이 침지된 연속회분식 반응기에서 유입 유기물 농도가 영양염류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분리막의 여과성능과 영양염류 제거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유입 유기물의 농도를 200 mg/L (Run-1), 400 mg/L (Run-2) 및 800 mg/L (Run-3)로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실험하였다. COD/N 및 COD/P의 비가 증가할수록 T-N 및 T-P의 제거율은 모두 증가하였다. Run-1, Run-2 및 Run-3에서 T-N의 평균 제거율은 각각 28.1, 32.6 및 90.4%이었으며, 투과수의 T-N 평균 농도는 각각 32.0, 30.0 및 4.3 mg/L 이었다. 또한 Run-1, Run-2 및 Run-3에서 T-P의 평균 제거율은 각각 13.6, 35.3 및 93.1%이었으며, 투과수의 T-P 평균 농도는 각각 3.11, 2.33 및 0.25 mg/L이었다.

Threonine과 Sucrose를 이용한 인삼의 색상 발현 모니터링 (Monitoring of Roast Color Formation in Ginseng Using Threonine and Sucrose)

  • 이기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735-740
    • /
    • 2014
  • 본 연구는 인삼의 threonine/sucrose 용액 침지 및 볶음온도에 따른 색상의 발현특성을 조사하였다. 인삼의 아미노산 및 당 혼합용액 침지 및 볶음 조건은 threonine 농도($X_1$, 0.1~0.9%), sucrose 농도($X_2$, 1.0~3.0%) 및 볶음온도($X_3$, $130{\sim}170^{\circ}C$)이며, 종속변수로는 갈색도, Hunter's colors 및 관능적 색상을 반응표면분석을 통하여 모니터링 하였다. 갈색도와 기계적 색도에 대한 회귀식의 $R^2$은 모두 0.8758이상으로 5%의 유의수준에서 유의성이 있었다. 인삼추출물의 갈색도가 가장 높은 침지 및 볶음조건은 threonine 농도 0.70% 및 sucrose 농도 2.32%에서 침지한 후 건조하여 $166.03^{\circ}C$에서 25분간 볶음처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볶음 인삼의 적색도가 가장 높은 침지 및 볶음조건은 threonine 농도 0.74% 및 sucrose 농도 2.19%에서 침지한 후 건조하여 $165.40^{\circ}C$에서 볶음처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황색도가 가장 높은 침지 및 볶음조건은 threonine 농도 0.61% 및 sucrose 농도 2.84%에서 침지한 후 건조하여 $159.16^{\circ}C$에서 볶음처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적 특성으로서 볶음 인삼의 색상에 대한 관능평점은 threonine 농도 0.53% 및 sucrose 농도 1.01%에서 침지한 후 건조하여 $146.96^{\circ}C$에서 25분으로 볶음처리한 것이 가장 높은 기호도 (7.27)를 나타내었다.

천연 항균복합제재용액을 침지 및 재배용수로 처리한 콩나물의 선도유지 효과 (Preservative Effect of Soybean Sprouts Pre-soaked and Cultivated in the Solution of Natural Antimicrobial Mixture)

  • 정준호;조성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7-21
    • /
    • 2004
  • 본 실험에서는 식품의 미생물작용에 의한 변질의 저해 효과가 뛰어난 식물성천연항균제품(botanical antimicrobial agent)에 천연보조제(인삼추출물, 알로에, 매실추출물)를 첨가하여 paper disk법에 의한 항균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인삼추출물을 첨가한 천연복합항균제재(BAAG)에서 생육저해환이 가장 크고 뚜렷하게 나타났다. 한편, 천연 항균복합제재 용액에 콩나물용 콩을 농도별로 각각 침지 처리하여 냉장 및 상온에 저장하면서 대장균수, 총균수의 변화를 살펴보고, 외관상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수도수로 침지처리한 대조구와 비교하면서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대장균은 BAAG의 침지처리에 의해 성장이 억제되었으며 처리농도가 증가시킬수록 균증식 억제 효과가 뚜렷하였고, 총균수도 BAAG 처리구의 콩나물이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외관상의 변화와 상품 가치를 측정한 결과는 수도수처리구인 대조구 콩나물이 저장 3일 후부터 부패취와 함께 표피의 점질성 갈변이 형성되어 상품가치가 크게 떨어진 상태였다. 위와 같은 결과, BAAG용액 속에서 콩나물 콩을 발아시켜 침지 처리함으로써 콩나물의 유통기간을 상당기간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배추의 염절임 및 탈염 공정중 물질이동 (Mass Transfer during Salting and Desalting Processes of Chinese Cabbage)

  • Kim, Dong-Kwan;Kim, Myung-Hwan;Kim, Byung-Yong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17-322
    • /
    • 1993
  • 배추의 염절임(5$0^{\circ}C$, 25% 소금용액)및 탈염(5$0^{\circ}C$, 증류수)과정중 침지시간에 따른 물질이동을 수분흡수 또는 유출, 소금유출 또는 흡수 및 환원당유출로써 조사하였다. 염절임 과정중 수분유출과 소금흡수는 초기 6시간 침지과정에서 빠르게 이루어진 후 증가현상이 둔화되었다. 24시간 염절임 과정 후 초기 100g 배추무게당 수분유출과 소금흡수는 각각 33.35g과 6.26g이었다. 염절임과정중 수분함량은 94.29%에서 83.11%로 줄어들었다. 환원당농도 역시 29.2mg/$m\ell$에서 6.5mg/$m\ell$로 낮아졌으며, 침지시간(hr) 의 평방근을 이용한 직선식은 Y=30.1841-5.0269√t이었다. 24시간 염절임 한후 탈염과정에서의 수분흡수와 소금유출은 초기 4시간 침지과정에서 빠르게 이루어진 후 직선적으로 계속적인 증가현상을 나타내었다. 12시간 탈염과정 후 초기 100g배추 무게당 수분흡수는 20.82g이 었으며, 소금유출은 9.14g이었다. 탈염과정에서의 소금유출이 염절임과정의 소금흡수보다 높은 이유는 염절임 및 탈염과정에서 배추의 고형분 유출에 기인된 것이었다. 12시간의 탈염공정으로 김치 제조시 배추의 적정 소금농도인 3%로 낮출수 있었다. 이때의 환원당농도는 1.6mg/$m\ell$로 낮아졌으며, 침지시간의 평방근을 이용한 직선식은 Y=6.7854-1.5992√t로써 염절임 공정의 기울기값 (-5.0269)과 비교할때 탈염공정에서의 환원당 겉보기 유출속도는 낮았다.

  • PDF

상어육(肉)중의 수분유지제(水分維持劑) 침투(浸透) (Penetration of Some Humectants into Shark Muscle)

  • 이종수;구재근;차용준;이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75-481
    • /
    • 1984
  • 상어육을 시료로 하여 sucrose, sorbitol, glycerol, propylence glycol등 4 종류의 수분유지제(水分維持劑) 용액 중에서 침투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침투에 미치는 수분유지제(水分維持劑) 농도 및 온도의 영향을 검토하고 침투속도식을 유도하였다. 상어육을 10% 수분유지제(水分維持劑) 용액에 침지할 때는 10시간 전후, 30% 용액에서는 7 시간 정도에서 거의 평형에 도달하였다. 수분유지제(水分維持劑) 종류에 따른 침투 속도는 분자량이 작을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빨랐다. 그리고한종류의 수분유지제(水分維持劑)를 10%로 하여 침지할 경우와 여러종류의 수분유지제(水分維持劑)를 각각 10% 되도록 혼합한 용액에 침지할 경우 침투속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상어육을 10% 및 30% 용액에 침지할 경우 수분유지제(水分維持劑) 침투량은 다음의 회귀직선식으로 예측가능 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M\;=\;a\;{\log}(c{\cdot}t)\;+\;b$$ (M : 침투량, t : 침지시간, c : 수분유지제(水分維持劑)농도, a, b : 상수)

  • PDF

침지식 여과조를 이용한 합성 폐수의 탈질화 (Denitrification of Synthetic Wastewater in Submerged Biofilter)

  • 오승용;조재윤;김인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35-346
    • /
    • 1997
  • 연구는 순환 여과식 어류 양식 시설에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선라이트 골판을 여과재료로 한 침지식 여과조의 적정 탈질 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외부 탄소원으로 메탄올과 글루코스를 사용하여 수리학적 체류 시간 (hydraulic retention time, HRT)과 COD에 대한 NO 하(3) 상(-)-N 비율 변화에 따른 적정 탈질 조건을 알아보았다. 질산성 질소와 총무기질소(TIN)의 제거 효율은 HRT 4 시간보다는 8 시간이 좋았으며, 글루코스보다는 메탄올을 이용한 것이 좋았다(P<0.05). 최대 질산성 질소 제거는 글루코스의 경우 HRT 8 시간과 C : N 비율 4일 때 86.3%였고, 메탄올은 HRT 8시간과 C : N 비율 5일 때 97.8%, 6일 때 92.2%를 보여 C : N 비율 5가 가장 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 총무기질소 제거 효율은 HRT 8 시간일 때 C : N 비율 5에서 글루코스는 71.5%, 메탄올은 96.9%을 보였다. 탈질화에 필수적인 혐기적 조건은 HRT 8 시간과 C : N 비율 5 이상이 되었을 때 이루어진 것으로 보아 적정 C : N 비율과 혐기적 조건이 이루어졌을 때의 최적의 탈질 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침지식 막여과 공정을 이용한 정수장 배출수 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treatment for water treatment residual sludge using submerged membrane system)

  • 김준현;이주형;문백수;곽영주;장정우;김진호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81-193
    • /
    • 2014
  • Various treatment system for residuals have applied to save water resources, but most of them were not be satisfied with legal standard consistently. In this study, submerged membrane treatment system was operated to treat water treatment plant residuals and operation parameters was evaluated. Result of this experiment, high concentration organic matters contributed to high increase Transmembrane pressure(TMP) of membrane system(from 0.05 bar to 0.35 bar). And backwash process was effective to stabilize membrane system operation. After Cleaning-In-Place(CIP), permeability was recovered about 100 % from first operation condition. Inorganic matters (Fe, Mn, Al, Ca, Mg) were not effective membrane filtration performance. The quality of residual treatment was satisfied with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 and a treated water from that system was suitable for water reuse.

활성슬러지 수용액 내 침지식 정밀여과용 중공사막의 산기량에 따른 임계 투과유속 (Critical Flux with Respect to Aeration Rate for the Submerged Microfiltration Hollow Fiber Membrane in the Activated Sludge Solution)

  • 정도인;정건용
    • 멤브레인
    • /
    • 제26권2호
    • /
    • pp.166-17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산기량의 변화에 따른 임계 투과유속을 투과유속단법으로 측정하였다. 유효 막 면적이 $85cm^2$이고 공칭 세공크기가 $0.4{\mu}m$인 중공사형 막모듈을 MLSS 5,000 mg/L인 활성슬러지 수용액에 침지시켜 투과 실험하였다. 산기시키지 않을 경우 임계 투과유속은 $15.2L/m^2{\cdot}h$로 측정되었으나 산기량을 100에서 1,000 mL/min까지 증가시키면 임계 투과 유속이 20.6에서 $32.5L/m^2{\cdot}h$까지 크게 상승하였다.

호기성(好氣性) 침지형(浸漬型) 생물막공법(生物膜工法)에서 온도(溫度)가 처리효율(處理効率)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Treatment Efficiency in Aerated Submerged Biofilm Process)

  • 박종웅;유명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89-196
    • /
    • 1991
  •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침지형(浸漬型) 생물막(生物膜) 반응조(反應槽)에서 온도(溫度)의 변화(變化)가 미생물(微生物) 성상(性狀)과 처리효율(處理効率)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였다. 침지형(沈漬型) 생물막(生物膜) 반응조(反應槽)에서 온도와 매체충전율(媒體充塡率)을 변화시켜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생물막(生物膜) 밀도(密度), 부착미생물량(附着微生物量), 생물막(生物膜)두께는 온도(溫度)와 매체충전량(媒體充塡量)의 변화에 상당한 영향을 받는다. 2. 반응조 내의 총(總) 미생물(微生物) 중 부유미생물(浮遊微生物)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10-50%로 부유미생물(浮遊微生物)이 기질제거(基質除去)에 관여하는 역할을 무시할 수 없음이 입증되었다. 3. 온도와 총 미생물농도에 따른 BOD 제거효율(除去効率)을 나타내는 관계식을 유도할 수 있었다. 4. 본 공법(工法)은 온도변화에 강(強)한 편으로, Van't Hoff-Arrhenius 변형식(變形式)을 이용하여 구(求)한 온도보정계수(溫度補正係數)는 1.042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