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침지법

검색결과 274건 처리시간 0.029초

자생 숙은노루오줌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환경조건과 화학적 처리의 영향 (Effec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Chemical Treatments on Seed Germination of Astilbe koreana (Kom.) Nakai)

  • 장보국;조주성;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35-240
    • /
    • 2016
  • 본 연구는 절화, 관상 및 의약소재로 이용가치가 높은 자생 숙은노루오줌의 종자 번식법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종자는 크기가 0.62×2.22 ㎜이며, 1,000립중은 40.5 ㎎으로 조사되었다. 종자의 기간별 수분흡수율을 조사한 결과, 2.57%였던 수분함량이 침지처리 24시간 만에 29.8%로 증가하였으며, 종피의 팽창이 관찰되었다. 숙은노루오줌의 종자는 저온요구성 광발아성으로 15℃, 명조건에서 최종발아율(40.8%)이 가장 높았으며, 발아상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발아율은 낮아졌다. 암조건에서는 어느 온도조건에서도 전혀 발아되지 않았다. 종자에 생장조절제 및 무기염류를 처리한 결과, KNO3는 농도에 관계없이 무처리구에 비해 우수한 발아촉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KNO3 20 mM 처리구에서 최종발아율(77.8%)과 발아세(96.1%)가 향상되었으며, 평균발아소요일수(11.3일)와 T50 (6.5일)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었다.

각시가자미껍질로부터 젤라틴 제조를 위한 조건의 검토 (The Suitable Processing Condition for Gelatin Preparation from Yellowfin Sole Skin)

  • 김진수;김정균;조순영;강경수;하진환;이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16-723
    • /
    • 1993
  • 현재 우리나라 수산가공업계에서 많이 취급하고 있는 어종인 각시가자미로부터 부산되는 껍질을 이용하여 품질좋은 젤라틴을 제조하기 위하여 알칼리추출법에 의한 젤라틴의 최적 추출, 정제 가공조건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각시가자미껍질을 이용한 젤라틴의 추출 및 탈색은 원료 껍질을 1.5% 수산화칼슘용액($5^{\circ}C$)에 5일간 침지하여 2일간 수제한 다음 탈수하여 탈수한 껍질에 대하여 $pH5.0{\sim}7.0$으로 조정한 용액을 6배 가한 후 $50^{\circ}C$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고, 추출용액에 대하여 3%가 되게 활성탄을 처리하여 감압농축 및 건조한 제품의 품질이 가장 좋았다. 그러나 최적조건하에서 제조한 각시가자미껍질 젤라틴도 현재 시판되고 있는 돼지껍질 젤라틴에 비하여는 물리적 특성이 상당히 낮아, 어류껍질로부터 식용 등의 품질이 우수한 젤라틴을 제조하고자 할 때에는 반드시 단백질수식화 등과 같은 제조방법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리라 판단되었다.

  • PDF

Sodium Hypochlorite 처리(處理)에 의한 한국잔디 종자(種子)의 발아촉진(發芽促進) (Stimulation of Seed Germination of Korean Lawn grass (Zoysia japonica Steud.) by Sodium Hypochlorite Treatment)

  • 구자형;이종석;이영복
    • 농업과학연구
    • /
    • 제11권2호
    • /
    • pp.201-206
    • /
    • 1984
  • 효과적(效果的)이고 용이(容易)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한국잔디(Zoysia japonica Steud.) 종자(種子)의 발아(發芽) 촉진방법(促進方法)을 모색(摸索)코자 sodium hypochlorite(SH)용액(溶液)을 사용하여 종피처리(種皮處理)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종자(種子)를 4%의 SH용액(溶液)에 2시간(時間) 침지처리(浸漬處理)한 후(後) 8시간(時間) 수세(水洗)한 결과(結果) KOH처리(處理)에 비(比)하여 발아촉진효과(發芽促進效果)가 좋았다. 2. SH처리(處理) 후(後) 수세시간(水洗時間)에 따라서 발아율(發芽率)에 차이(差異)가 있었으나 대체로 4~8시간(時間)의 수세(水洗)가 가장 효과적(效果的)이었다. 3. SH처리(處理) 후(後) GA를 처리(處理)함으로써 발아(發芽)가 더욱 촉진(促進)되었으나 무처리구(無處理區)에서는 GA처리(處理)에 의한 발아촉진효과(發芽促進效果)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4. SH처리(處理)는 KOH처리(處理)에 비(比)하여 균유(菌類)의 종자감염율(種子感染率)을 크게 감소(減少)시켰다. 5. SH처리(處理)는 한국잔디 종자(種子)의 발아촉진(發芽促進)을 위해서 KOH처리법(處理法)에 비(比)하여 쉽게 준비(準備)할 수 있고, 안정성(安定性)이 있으며, 취급(取扱)하기 쉬운 효과적(效果的)인 종피처리방법(種皮處理方法)이라고 생각된다.

  • PDF

등수국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몇 가지 요인 (Several Factors Affecting Seed Germination of Hydrangea petiolaris Siebold & Zucc.)

  • 조주성;정정학;김수영;이주영;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34-539
    • /
    • 2014
  • 본 연구는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III 등급이며, 국외반출 시 승인이 필요한 보호종인 등수국의 종자 번식법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종자의 크기는 $1.36{\times}0.84mm$이며, 1,000립 중은 $2.3{\pm}0.02mg$이었다. 종자는 타원형으로 표면에 주름이 있었으며, 황색의 미립종자였다. 침지처리에 의해 종자의 함수율은 48시간 만에 3.9%에서 31.9%로 급속히 증가하여 최대 함수율을 보였다. 온도 및 광조건에 따른 발아율은 $25^{\circ}C$, 명조건에서 가장 높았으며(78.0%), $GA_3$ 용액에 48시간 처리함으로써 발아율, 발아세 및 $T_{50}$이 매우 향상되었다. 특히 $GA_3$ 처리구는 $100{\sim}500mg{\cdot}L^{-1}$의 농도에서 발아율이 90.0% 이상으로 매우 우수였으며 발아세와 $T_{50}$을 무처리에 비해 향상시킬 수 있었으므로, $GA_3$는 등수국 종자의 발아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절한 화학적 처리방법으로 판단되었다.

인천지역 유통 과일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 및 위해성 평가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and Risk Assessment in Some Fruits on the Market in Incheon, Korea)

  • 정세진;김혜영;김지형;염미숙;조중희;이수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1-120
    • /
    • 2014
  • 인천시내에 유통되는 오렌지, 키위 등 215건의 과일에 대하여 분석대상 농약 259종에 대한 잔류농약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전체 수거 과일의 56.3%에서 기준이내 농약이 검출되었으며, 이중 수입과일은 60.8%, 국내산 과일은 45.1%의 검출률을 나타내었으나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품목은 없었다. 그 중 감귤류의 농약 검출률은 83.9%로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농약성분별 검출빈도는 carbendazim(13.1%), imazalil(11.7%), thiabendazole(10.7%), fludioxonil(9.8%) 순으로, 검출된 농약의 위해성 평가결과 해당 농산물섭취에 따른 인체 유입 농약의 일일섭취추정량 ADI%는 0.00011~0.98795% 수준으로 위해성은 낮은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감귤류와 같은 과피를 제거 하고 섭취하는 과일은 과피 제거로 91.6%의 잔류농약 경감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세척 후 섭취하는 형태인 포도나 체리 등은 수돗물 침지 후 세척법에 의해서 평균 43.1%의 잔류농약 감소를 보여, 과일섭취에 따른 위해성 역시 상당부분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요소수지를 주체로 한 편직물구조 개선연구 (Urea Resin Treat Effects on Silk Textiles)

  • 최병희;이양후;김한수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5-23
    • /
    • 1978
  • 본 연구는 견직물의 촉감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바람직한 방추성을 보유하는 보다 좋은 요소수지가 공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년간에 걸친 보고이다. 특히 본보고는 요소와 결합하는 폴마린양을 극소화한데 특징이 있고 일반요소수지보다도 더욱 우수성을 보이는 반금속성요소수지(Homo Metalic Urea Resin)을 개발하였다는 사실도 첨가하며 본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보고에 수록된 요소수지조성은 폴마린함량을 극소화하였고 조성된 수지에서 거의 폴마린냄새를 인정할 수 없을 정도였으며 이전에 보고된 어느 것보다 가장 소량의 폴마린으로 요소수지를 만들었다. 2. 필자가 최초로 만든 화합물 즉 uric zincchloride와 폴마린을 원료로 하여 새로운 반금속성요소수지(Homo Metalic Urea Resin)를 개발하였다. 이 방법은 합성수지처리와 중앙처리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3. 위의 두가지 수지처리에서 방추도, 강연도 및 발키네스 등이 증가되었는데 신규개발한 수지가 더욱 좋은 결과를 보였다. 4. 견방사나 저연사견직물이 생사나 고연사손직물의 경우보다 좋은 방추개선을 보였다. 5. 두가지 수지처리법이 모두 실용상의 경제성이 좋았다. 6. 강력과 신도가 수지처리후 다소 저하되었는데 이것은 수지처리로 가교작용과 증량작용이 일어났기 때문이었다. 7. 특수한 요소수지처리방법으로 양모와 유사한 견사제조법도 개발했다. 이 방법은 요소용액에 침지한 생사를 폴마린가스로 충만된 밀실에 방치해 둠으로서 생사표면에 스케일을 발생하게 한 것이다.

  • PDF

수용계를 이용한 TiO$_2$Sol의 제조와 박막의 특성 (Preparation TiO$_2$sol using aqueous system and characteristics of its thin film)

  • 김성도;조경식;김성진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71-277
    • /
    • 2000
  • 투광성 $TiO_2$박막을 다량의 물을 사용한 티타늄알콕사이드 수용계로부터 sol-gel법으로 제조하였다. sol의 제조를 위해 각각 1 mole의 titanium(IV)iso-propoxide, acetylacetone과 8 mole의 isopropyl-alcohol로부터 킬레이트 화합물을 만들었다. 그리고 sol의 안정성을 위한 0.02~0.50 mole의 HCI과 코팅 접착성을 위한 0.3 mole의 polyethylene glycol을 함유한 50 mole의 수용액을 엄밀히 제어하여 킬레이트 화합물에 적하하였다. 제조된 sol로부터 dipping, 건조 및 $400^{\circ}C$에서 열처리하여 $TiO_2$박막을 제조하였으며, XRD, SEM, UV-visible spectrometer 등을 이용하여 특성을 검토하였다. TTIP : AcAc : IPA : $H_2$O : PEG : HCl의 몰비가 1 : 1 : 8 : 50 : 0.3 : 0.15인 조성을 갖는 중성 sol은 30일까지도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였고 코팅성이 양호하였다. 30회까지 반복 침지하고 건조 및 열처리한 anatase상 $TiO_2$박막은 평활한 표면과 두께 약 2 $\mu\textrm{m}$의 치밀한 미세구조를 보였다. 제조한 $TiO_2$박막은 가시광선 영역에서 약 80%의 투과도를 나타내었다.

  • PDF

전기전도도 시험방법을 활용한 산업부산물 포졸란재료의 반응성 평가 (Evaluation on Reactivity of By-Product Pozzolanic Materials Using Electrical Conductivity Measurement)

  • 최익제;김지현;이수용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421-42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전기전도도 시험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산업부산물재료의 포졸란 반응성을 평가할 수 있는 대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재료는 일반적으로 포졸란 재료로 활용되고 있는 산업부산물 플라이애시(class F, C) 2종, 실리카퓸(densified, undensified) 2종, 메타카올린과 포졸란 반응성이 정량적으로 증명되지 않은 산업부산물인 벤토나이트, 그라스울, 세라믹을 활용하여 포졸란 반응성을 측정 하였다. 각 재료가 $40^{\circ}C$ 포화수산화칼슘 수용액에 침지된 이후의 전기전도도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450{\sim}500^{\circ}C$에서 관찰된 수산화칼슘의 분해량을 통해 포졸란 반응성을 교차 검증하였다. 28일 압축강도 또한 포졸란 반응에 의한 역학적 성능의 개선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활용되었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전기전도도 최대값과 4시간후의 전기전도도의 차이를 활용하여 포졸란 반응성을 평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나타났다. 이러한 방법을 활용할 경우 수산화칼슘 함유량에 근거한 포졸란 반응성 평가와 매우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28일 압축강도 측정을 통해 얻은 결과와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전기전도도 시험법이 포졸란 반응성이 증명되지 않은 재료의 포졸란 반응성평가에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식성 코팅 강재의 부식시험 종류 별 내식성 비교 평가 (Evaluation of corrosion resistance for various coated steel sheets by different types of corrosion test method)

  • 박재혁;황성화;박준무;엄진환;윤용섭;이명훈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3-163
    • /
    • 2017
  • 철강재는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경제성이 뛰어나고 기계적 성질도 우수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철강재는 부식 환경에 취약하기 때문에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내식성을 부여하는 표면처리를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철강재에 대한 내식성 표면처리로는 용융아연도금(HDG)과 용융알루미늄도금(HDA)이 우수한 내식성과 다양한 특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아연과 알루미늄을 접목시킨 갈바륨(GL)도금 또한 우수한 내식성 코팅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에는 기존 용융아연도금에 알루미늄(Al) 과 마그네슘(Mg)을 첨가한 3원계 도금강판이 개발되어 기존 용융도금강판 대비 고내식 코팅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적용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강판소재의 내식성 평가에 대해서는 실제 사용할 환경에 폭로하여 비교-시험 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고 신뢰도가 높은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경우에 따라 수년에서 수십년에 이르는 장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므로 이 방법을 대체하기 위한 각종 가속적 부식 시험들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즉, 그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염수분무(SST), 침지(Immersion) 및 전기화학적 분극(Polarization) 등 실내에서 부식 시험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부식 가속 시험들은 실제 외부에서 폭로 시험한 결과와의 상관성이 불명확한 경우가 많아 종종 해석에 어려움을 갖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 시험 방법들은 동일 재료를 시험하더라도 시험방법의 차이에 따라 부식요인이나 해석방법이 다르므로 인해 그 내식성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그 중 시험목적에 따라 전기화학적 분극 또는 임피던스 분광법(EIS)과 건조 및 습윤 등의 부식 환경 인자들을 적용한 복합부식시험(CCT) 방법은 근사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이들 시험 또한 실제 부식 환경과는 여러 환경 및 요인들이 다르기 때문에 그 시험방법에 따라 목적하는 시험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어 해석-평가 하기에 종종 곤란을 갖는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재현성이 우수하고 실제 부식 환경을 유사하게 모사할 수 있는 내식성 시험과 해석-평가에 대한 내용이 주요한 과제로 사료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내식성 코팅 강판소재들에 대하여 염수분무(SST), 복합부식(CCT), 갈바닉 시험, EIS 시험을 통하여 부식시험 종류 및 시험 환경, 코팅 소재 별 부식경향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들 부식 진행과정에서는 미세구조관찰(SEM), 결정구조 분석(XRD) 및 원소조성 분석(EPMA)을 통해 다양한 조건에 따른 강판소재들의 부식경향을 비교-평가하고, 실제 환경과의 상관성 및 가속관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σ, m, p-위치로 치환된 Difluoroaniline을 첨가제로 사용한 안의료용 렌즈 고분자의 물리·광학적 특성 (Opto-Physical Properties of Ophthalmic Lens Polymer Containing σ, m, p-Substituted Difluoroaniline as Additives)

  • 노정원;성아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9-77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플루오로로 치환된 아닐린 (2,4-difluoroaniline, 2,6-difluoroaniline, 3,4-difluoroaniline)을 첨가제로 사용한 기능성 콘택트렌즈를 제조한 후 각각의 물리 광학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방법: 친수성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를 제조하기 위해 HEMA(2-hydroxyethylmethacrylate), NVP(N-vinyl pyrrolidone), MA(methacrylic acid), 교차결합제인 EGDM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그리고 개시제인 AIBN(azobisisobutyronitrile)을 기본배합으로 한후, 불소로 치환된 aniline을 첨가하였다. 콘택트렌즈 제조방법은 cast mould법을 사용하여 공중합 하였으며, 제조된 콘택트렌즈는 0.9% NaCl normal saline에 완전히 침지시켜 24시간 수화 후 콘택트렌즈의 물리 광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2,4-, 2,6- 및 3,4-difluoroaniline을 비율별로 첨가한 sample의 함수율을 측정한 결과, 첨가제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함수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굴절률의 경우 첨가제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함수율과 반비례 하여 굴절률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제조된 고분자에 대한 자외선 영역의 광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2,4-difluoroaniline를 첨가제로 사용한 경우, UV-B(9.8~51.4%), UV-A(58.8~79.2%) 그리고 visible transmittance(87.0~90.4%)의 투과율을 나타내었고, 2,6-difluoroaniline를 첨가제로 사용한 sample 렌즈는, UV-B(80.2~83.2%), UV-A(85.8~86.4%), 그리고 visible transmittance(90.8~91.4%)의 투과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3,4-difluoroaniline를 첨가제로 사용한 고분자 렌즈는, UV-B(3.8~30.4%), UV-A(47.8%~74.4%) 그리고 visible transmittance(86.2~91.0%)의 투과율을 각각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2,4-difluoroaniline 그리고 3,4-difluoroaniline은 자외선 차단성을 지닌 착색 안의료용 렌즈 재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