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침엽

검색결과 440건 처리시간 0.027초

측백나무속(Thuja)의 잎에 합유된 Monoterpenoids 분석을 통한 종간의 화학분류학적 연구 (Systematics of Thuja Based on Leaf Monoterpenoids)

  • 조규갑;김종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3호
    • /
    • pp.161-164
    • /
    • 2004
  • 본 실험에서는 Thuja 속 7종(Thuja orientalts, T. orientalis 'Avrea Nana', T. orientalis cv. compacts, T. occidentalis, T. occidentalis 'Boothii', T. occidentalis 'Pumila', T. occidentalis 'Tiny Tim')의 침엽에 함유된 monoterpenenoids를 GC-MS로 분석하여 종간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총 30종류의 성분이 검출되었는데 그 중 α-pinene, camphene, sabinene, myrcene, limonene, bonyl aetate, γ-terpinene, α-terpinenyl acetate는 7종 식물모두에서 검출되었다. Thuja속 7종에서 추출된 monoterpenenoids는 종간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Thuja orientalis 'Avrea Nana'(11 Compounds)는 가장 작은 성분이 나타났고 Thuja occidentalis 'Pumila'(26 Compounds)는 가장 많은 종류의 성분이 검출되었다. 검출된 성분을 토대로 종간의 유사성을 PAUP(Phylogenetic Analysis Using Parsimony) 프로그램으로 분계분석을 하였다. 분계도는 4가지 형태가 나타났고 Thuja occidentalis와 Thuja occidentalis 'Boothii'가 가장 유사한 유연관계를 보였다.

침엽수림과 혼효림에서 토양특성과 토양세균 군집이 산양삼 초기 생육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Properties and Soil Bacterial Community on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of Wild-simulated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in Coniferous and Mixed Forest)

  • 김기윤;김현준;엄유리;전권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83-194
    • /
    • 2020
  •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soil properties and soil bacterial community on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of wild-simulated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in coniferous and mixed forest experimental fields. Methods and Results: The soil bacterial community was analyzed using a high throughput sequencing technique (Illumina MiSeq seque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il bacterial community, soil properties,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wild-simulated ginseng were analyzed using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PCoA) and th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oil properties and soil bacterial commun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forest physiognomy. Results of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PCoA showed that the soil properties (soil pH,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soil bacterial community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ree species ratio and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of wild-simulated ginseng. Conclusions: This study clearly demonstrated the effect of soil properties and soil bacterial community on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of wild-simulated ginseng in coniferous and mixed forest. Moreover, these results will help in the selection of suitable cultivation sites for wild-simulated ginseng.

산림전용에 따른 폐잔목의 임산바이오에너지 잠재적 공급량 분석 (Biomass Energy Potential of Wood Waste due to Forest Land Conversion)

  • 권순덕;손영모;박영규
    • 임산에너지
    • /
    • 제25권2호
    • /
    • pp.16-21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전용에 따라 발생되는 폐잔목의 임산바이오에너지 이용 가능량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5년간(2001-2005) 연평균 약 7,806ha의 산림이 타용도로 전용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연평균 $266,551m^3$의 입목이 벌채되었다. 산림전용에 따른 폐잔목의 임산바이오에너지 이용가능량(바이오매스)을 분석한 결과, 지난 5년간 침엽수림의 경우 연평균 약 57,945ton, 활엽수림은 44,379ton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에서 전체적으로 연간 102,325ton을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림전용시 발생하는 단위면적당 이용 가능한 임산바이오에너지량은 매년 증가추세를 보였으며, 지난 5년간 연평균 발생량은 약 13.0ton/ha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산 세포성 점균의 1신종 Dictyostelium floridum sp. nov. (A New Species of Cellular Slime Molds from Korea, Dictyostelium floridum sp. nov.)

  • 홍정수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4호
    • /
    • pp.393-401
    • /
    • 1992
  • 한라산의 삼림 토양에서 앞서 보고된 신종 Dictyostelium flavidum Hong et Chang(노랑장대팡이)에 이어서 또하나의 신종이 기록되었다. 이것은 특징적인 넓은 꽃잎 모양의 집합체와 기부부근에 집중적인 긴 가지를 갖는 꽃모양의 군체를 나타내어 Dictyostelium floridum sp. nov. Hong et Chang(한국명 신칭 : 꽃구슬팡이)으로 명명되었다. D. floridum sp. nov.는 위의 특징 외에도, 1) 극낭이 뚜렷한 포자, 2) 기부에서 정단으로 올라갈수록 심하게 가늘어지는 자루, 3) 흔히 원뿔형이거나 구형이 기부, 4) 하나의 점액질에 단단히 묻혀 있는 여러 개의 기부, 5) 여러 층의 세포로 구성된 퇴형의 정단에 의해 특징된다. 또한 이 종은 온도에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이며, macrocyst나 microyst는 형성하지 않는다. 이 종은 처음 토양으로부터 분리된 이후 계속적인 계대배양을 통하여 형태적 특징뿐만 아니라 발생과정 및 성장습성이 자세히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특징들과 데이터는 다른 유사한 종과 비교되었다. 이 종은 1990년 해발 1600 m 이상의 한라산 침엽수림 토양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약한 영양배지인 0.1% lactose-peptone 배지에서 Escherichia coli와 함께 $18-22^{\circ}C$에서 이원배양되었다.

  • PDF

CuAz-3처리 리기다소나무 제재목을 이용한 구조용 집성재 성능 평가 (Performance of Structural Glulam Laminated with CuAz-3 Preservative Treated Lumber)

  • 김광모;엄창득;이상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6호
    • /
    • pp.521-530
    • /
    • 2011
  • 구조용 집성재의 시장 수요가 확대되고 다양화되면서 교량이나 파고라와 같이 외기에 노출되는 조건에서 사용하기 위한 고 내구성 구조용 집성재에 대한 시장 요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산 침엽수재로 제조되는 구조용 집성재에 적합한 방부처리 기술 및 기준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방부처리된 국산 리기다소나무 제재목을 이용하여 구조용 집성재를 제조하고 제조 단계별 생산수율과 KS 품질기준 충족여부를 평가하였다. 방부집성재의 제조수율은 일반 집성재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목재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집성재 제조수율 향상방안과 함께 부산물에 대한 효율적 활용방안도 함께 검토되어야 한다. 리기다소나무 방부처리재의 경우 불균일한 방부약제 흡수량으로 인하여 구조용 집성재 제조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집성재 제조 후에 유용성 방부제를 처리하는 방안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요구되었다.

침엽수재(針葉樹材)의 1차조직(次組織)과 2차조직(次組織)의 미세구조(微細構造) (Fine Structure of the Primary and the Secondary Tissues in a Coniferous Wood)

  • 이원용;김남훈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6권1호
    • /
    • pp.1-7
    • /
    • 1989
  • X선회절법(線回折法)을 이용(利用)해 소나무(Pinus densiflora)의 1차조직(次組織)과 2차조직(次組織)의 미세구조(微細構造)의 차(差)를 검토(檢討)했다.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1차조직(次組織)과 2차조직(次組織)에서 (200)면(面)과 (004)면(面)의 면간격(面間隔)은 차이(差異)가 없었다. 2. 1차조직(次組織)과 2차조직(次組織)의 상대결정화도(相對結晶化度)는 각각(各各) 23%와 35%로 다소(多少) 차이(差異)가 있었다. 3. 미결정(微結晶)의 폭(幅)은 1차조직(次組織)과 2차조직(次組織)과의 차이(差異)가 없었다. 4. 1차조직(次組織)의 미결정(微結晶)의 배향(配向)은 무배향(無配向)을 나타냈지만 2차조직(次組織)의 미결정(微結晶)은 섬유축(纖維軸)에 $20{\sim}25^{\circ}$ 의 배향도(配向度)를 나타냈다.

  • PDF

유럽너도밤나무 군락과 독일가문비 조림지의 생태특성 비교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icea abies Plantation in Comparison with Fagus sylvatica Population)

  • 이영근;조현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5호
    • /
    • pp.377-382
    • /
    • 2000
  • 독일가문비 조림지를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를 하여 이곳의 원식생인 유럽너도밤나무군락과의 비교를 통해 식생구조, 종조성, 생태계, 생활형의 차이점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독일가문비 조림지에서의 평균출현 종수는 13종이었으며, 이들 종은 생태적 분포특성에 따라 유럽너도밤나무림에 나타나는 종, 자연 침엽수림에 나타나는 종, 그리고 개벌 후의 나지에 나타나는 종 등 크게 세가지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Luzulo-Fagetum군락에서는 Luzula luzuloides가 우점종이나 독일가문비 조림지에서는 Avenella flexuosa가 우점하고 있었다. 조림지 내의 초본식물을 Ellenberg의 지표종에 따라 분석한 결과, 호광성식물과 강산성식물이 증가하고 있었다. 한편 생활형 분석에서는 지표식물, 지상식물 그리고 반지중식물이 증가하고 지중식물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들은 과거 유럽너도밤나무군락이 우점하던 지역에 조성된 독일가문비 조림지가 생태학적 불안정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Johansen 공적분(共積分)을 이용(利用)한 일가(一價)의 원칙(原則) 분석(分析) : 캐나다 침엽수재(針葉樹材) 시장(市場) 적용(適用) (Testing Market Integration in the Canadian Softwood Lumber Markets)

  • 지기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1호
    • /
    • pp.1-8
    • /
    • 2000
  • 본 연구(硏究)는 Johansen 공적분(共積分) 분석(分析) (cointegration analysis)을 이용하여 캐나다 (Canada) 내(內)의 5개 지역(地域) (Atlantic, Quebec, Ontario, Prairie, British Columbia) 침엽수(針葉樹) 제재(製材) (softwood lumber) 가격(價格)의 일가(一價)의 원칙(原則) (law of one price)이 성립하는지 구명(究明)하는데 그 목적(目的)이 있다. 1987년 10월부터 1998년 11월까지의 월간(月刊) 시계열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단위근(單位根) 검증법(檢證法)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Augmented Dickey-Fuller (ADF) 검증법을 이용한 결과 연구에 이용된 모든 수준변수 (level variables)들은 불안정적(不安定的) (non-stationary)이지만 차분변수 (differenced variable)들은 안정적이므로 공적분 분석의 선결조건(先決條件)이 만족되었다. Johansen 공적분 분석결과 캐나다 (Canada) 내(內)의 5개 지역(地域) 침엽수(針葉樹) 제재가격(製材價格)의 일가(一價)의 원칙(原則) (law of one price)이 성립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강원도 삼척 산불피해지역에서 피해목 제거 전과 후의 서식환경 및 설치류 개체군 특성 차이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Habitat and Rodent Populations Between Before and After Damaged Tree Removals at Forest Fired Areas in Samcheok, Gangwon Province, Korea)

  • 이은재;이우신;이영근;이명보;임신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1호
    • /
    • pp.113-117
    • /
    • 2008
  • 본 연구는 2000년도에 산불이 발생한 강원도 삼척의 침엽수림 지역에서 피해목 처리 전과 후의 서식환경 및 설치류 개체군 특성 차이를 구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피해목 제거 후 고사목과 수목잔존물의 수는 감소한 반면, 천이 단계의 진행으로 인해 하층 피도량 및 관목의 본수는 증가하였다. 전체 설치류 개체군 밀도, 흰넓적다리붉은쥐 및 대륙밭쥐의 개체군 밀도는 피해목 제거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등줄쥐의 개체군 밀도는 증가하였다. 피해목의 제거로 인한 서식환경의 변화는 설치류의 종 구성을 변화시켰으며, 특히 산림성 설치류에게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구 동천동 청동기시대 취락유적 출토 목질류 수종 분석 연구 (Study of the Species of Trees Used for Wooden Artifacts Excavated from a Bronze-Age Settlement Site in Dongcheon-dong, Daegu)

  • 이효선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0권
    • /
    • pp.49-60
    • /
    • 2018
  • 대구 칠곡지구 일대 유적은 청동기시대 및 삼국시대 대규모 취락지가 확인된 고고학적 조사로 그 의의가 크다. 특히 대구 동천동 취락유적에서는 청동기시대 수혈주거지, 고상건물지, 석관묘, 우물, 집수기, 집석, 구상유구, 경작지, 환호, 하도 등의 유구가 확인되어 청동기시대 당시 취락의 전모를 알 수 있는 많은 자료가 조사되었다. 본 조사는 대구 동천동 취락유적 내 청동기시대 하도 유구 출토 목기 8점에 대한 수종분석 결과이다. 조사 결과, 침엽수재 수종인 소나무류(Pinus spp.)가 2점, 전나무속(Abies spp.) 수종이 2점, 활엽수재 수종인 상수리나무류(Quercus sp.)가 4점 식별되었다. 용도미상으로 분류된 3점의 목기는 소나무류와 전나무속 수종이였으며, 건축부재 5점은 소나무류가 1점, 상수리나무류가 4점이었다.